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암 박사’ 박재갑 교수가 들려주는 ‘똥 건강법’

“옅은 갈색은 간 질환, 회색은 담도 폐쇄, 자장면 색은 위장관 출혈 의심해야”

‘암 박사’ 박재갑 교수가 들려주는 ‘똥 건강법’

2/4
똥 색깔 변하면 상황 심각

‘암 박사’ 박재갑  교수가 들려주는 ‘똥 건강법’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m. 어떤 음식이든 1박2일이면 변이 되어 배출된다.

▼ 자신의 똥을 관찰하는 사람이 그리 많을지 의문입니다.

“양변기 쓰고 나서 똥 안 보는 사람이 없을걸요. 조금이라도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은 똥에 피가 묻었는지, 똥 색깔이 달라졌는지 무의식적으로 보게 돼 있어요. 환자들이 병원에 와서 똥 얘기하는 걸 들어보면 놀랄 겁니다. ‘양변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참 이상한 취미가 생겼구나’ 싶을 정도입니다(웃음).”

▼ 건강에 이상이 생긴다고 대변의 색깔이 바로 달라지진 않잖아요.



“그렇죠. 대변의 색깔이 달라질 정도라면 사태가 심각한 거죠. 대부분의 사람이 색깔이 달라지기 전에 병원을 찾아와요. 똥에 피가 섞이면 아차 싶은 거죠. 피가 붉으냐 검으냐에 따라 달라요. 붉은 피가 섞여 나오면 항문이나 직장, 대장에 출혈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대장이 워낙 기니까 피가 항문까지 내려오면서 똥에 섞여 버리면 중간중간 검은색을 띠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검은 똥은 선지를 먹어도 나올 수 있거든요. 출혈이 없어도 적혈구 내에 철 성분이 산화되면서 똥이 검어지기도 합니다. 요즘은 너도나도 와인을 즐겨 마시는 분위기인데, 적포도주를 많이 마셔도 검은 똥을 눌 수 있어요.

만일 자장면 색깔의 똥을 눴다면 문제가 달라요. 흑변이 나오면 상부 위장관의 출혈을 의심해봐야 해요. 또 혈액이 위장관을 지나면서 위산이나 장내 세균에 의해 흑변으로 바뀔 수도 있고요. 방치하면 소화성 궤양 혹은 위암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빈혈을 치료하려고 철분제를 복용했거나 감초 식품을 먹어도 흑변이 나올 수 있어요.”

단, 박 교수는 “(똥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거린다면 문제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건강하면 똥 냄새가 고약하지 않아요. 똥 냄새는 자연의 냄새잖아요. 닭똥 특유의 냄새가 있듯이 인분에도 특이한 냄새가 있어요. 하지만 기분이 나쁠 정도는 아닙니다. (똥 냄새는) 대장 내에 있는 세균 때문에 나요. 똥 냄새가 심한 사람은 장 안에 세균이 득실거리고 있는 겁니다. 대장에 요구르트에 들어 있는 유산균이나 올리고당 같은 좋은 균이 많으면 냄새가 심할 리 없어요.”

시원하게 한 덩어리로

그는 “점심에 청국장을 먹었다”면서 청국장과 변에 대해 재미있는 얘기를 들려줬다.

“우리나라 사람들, 청국장 좋아하거든요. 콩을 발효시켜 만든 게 청국장 아닙니까. 콩을 발효시킬 때 냄새가 얼마나 고약합니까. 서양인은 이 냄새를 ‘똥 냄새 같다’고 하잖아요. 똥 냄새와 청국장 냄새가 이웃사촌쯤 됩니다. 똥이든 청국장이든 세균이 발효돼 냄새가 나거든요. 좋은 세균은 발효되고, 나쁜 세균은 부패하잖아요. 대장 내에 좋은 세균이 많아야 냄새 덜 나는 똥을 누게 되는 거죠.”

대장에는 500종이 넘는 세균이 살고 있다. 대장균은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해서 비타민 B, 비타민 K, 아미노산 등을 몸에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배탈이 나거나 설사를 할 땐 몸에 이로운 세균보다 해로운 병원성 균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고 보면 된다.

▼ 대변의 색깔로 여러 질병을 의심할 수 있겠군요.

“지나치게 옅은 갈색이면 적혈구가 파괴되는 자가면역 질환이나 간 질환을 의심해야 해요. 희거나 회색이라면 담도가 폐쇄됐을 수 있고요. 피와 고름이 섞인 설사를 한다면 대장이나 직장에 염증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또 채식을 한 것도 아닌데 기름지고 양이 많으면 췌장염에 의한 흡수장애가 있을 수 있어요. 똥에 코 같은 점액이 자꾸 묻어나오면 대장암을 의심해야 합니다. 대장암을 만드는 세포가 점액질을 분비하거든요.”

똥이 영어로는 ‘덩(dung)’이다. 발음이 비슷하지 않은가. 대변 볼 때 ‘똥’ 하고 튀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속설이 있다. 동양에서는 ‘쌀이 소화되고 남은 찌꺼기’라는 의미로 분(糞) 혹은 변(便)이라고 했다.

2/4
이은영 신동아 객원기자 donga4587@hanmail.net / 일러스트·김영민
목록 닫기

‘암 박사’ 박재갑 교수가 들려주는 ‘똥 건강법’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