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뤄질 수 없는 과거 회귀에 대한 열망

이뤄질 수 없는 과거 회귀에 대한 열망

1/3
  • 어른이 된 후 우리는 시간의 무참한 폭력 앞에 속수무책이다. 우주로 날아오르는 자전거는 어쩌면 자기 최면에 의해서나 가능할지 모른다. 우리는 과거에 대한 회한을 달래기 위해 환상을 갖는다. 달의 뒤편으로 가는 자전거 여행이 눈물겨운 이유다.
이뤄질 수 없는 과거 회귀에 대한 열망

화양연화(좌) 프랑켄슈타인(우)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사랑하는 여자를 떠나보내고, 이제야, 그녀가 듣고 싶었던 고백을 한다. 검은색 깔끔한 정장 슈트를 입은 남자는 등 돌려 떠나는 여자가 자신이 50을 세기 전에 돌아올 것이라고 주문을 건다. 아니, 그것은 주문이 아니라 소원에 가깝다. 안타깝게, 그녀의 이름을 숨죽여 부르지만 한번 떠나간 그녀는 돌아오지 않는다. 9주 반 동안 사랑을 나눴던 그들의 이야기다.(‘나인 하프 위크’)

여기 또 다른 남자가 있다. 그는 긴 사랑의 여정을 지나 마음속 화인(火印)처럼 남은 그녀를 지우기 위해서 먼 곳에 와 있다. 그 먼 곳의 이름은 바로 앙코르와트. 남자는 앙코르와트 비밀의 문 앞에 서서 그간의 일을 고백한다. 아무도 들을 수 없는 빈 공간 너머 추억은 시간이 되어 사라져간다. 그는 그렇게 그녀와의 일을 서둘러 과거완료형으로 만들어버린다.(‘화양연화’)

추억은 힘이 세다. 추억의 힘은, 결코 되돌릴 수 없다는 데서 비롯된다. 지금 이 순간도 눈 깜빡할 사이에 지나 과거가 되면, 바꿀 수가 없다. 지울 수도 없다. 영화 속에서 수많은 사람이 과거로 되돌아가고 싶어 안달한다거나, 잠깐의 실수로 잃어버린 그녀를 되찾으려 전전긍긍할 때 혹은 그 지독한 바람이 이뤄져 과거로의 시간여행이나 영생이 이루어진다면, 아마도 그것은 그만큼 화석이 된 과거를 말랑말랑한 현재로 되돌리고픈 열망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뤄질 수 없는 과거 회귀에 대한 열망

오만과 편견

과거라는 형벌

하지만 냉혹하게도, 지나간 시간은 되돌아오지 않는다. 보르헤스의 소설처럼 3월보다 먼저 4월이 오는 세계는 오지 않는다. 벤자민 버튼처럼 아흔 살로 태어나 영아로 죽을 수도 없다. 이 멋진 시간여행은 오로지 소설과 영화 안에서만 가능하다.



영화가 힘이 세다면 아마도 이런 이유에서일 테다. 영화는 되돌아간 시간을 계속해서 되감기해 보여준다. 때로는 필름의 녹화분을 지우고 새로운 영상을 담을 수도 있다. 다른 감독이 리메이크해서 완전히 다른 영화를 만들 수도 있다. 지독히도 후회스러운 사건에 용서를 구할 수도 있다. 놓쳐서 안타까워, 지금도 잊지 못하는 그녀를 영화 속에서라면 다시 불러올 수도 있다. 시간의 일회성과 죽음의 필연성 앞에 영화는 환상이 된다.

노랗게 물든 은행잎이 떨어지고 나면 내년에도 푸른 은행이 달리지만, 어제의 그 은행은 아니다. 가을이면 왜 단풍이 드는지 과학은 설명해주지만, 지나간 추억에 달리 어쩔 길 없는 상황 속에서 과거를 들여다보는 사람의 심리는 알 길이 없다. 추억은 방울방울이라지만, 놓쳐버린 인생의 길은 안타까움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Somewhere In Time, 1980.

15년 전쯤 TV를 멍하게 바라보던 소녀는 어떤 영화를 보게 된다. ‘슈퍼맨’으로 나왔던 남자 주인공이 주연을 맡았던 것 같고, 여자 배우가 매혹적이었던 것 같다. 내용은 이렇다. 어떤 남자가 우연히 머문 호텔에서 아름다운 여성의 사진을 보게 된다. 그녀에게 무작정 빨려 들어간 남자는 여자를 만나기 위해 전전긍긍한다. 문제는 여자가 60여 년 전 활동했던 여배우라는 사실. 남자는 여자를 만나기 위해 자기최면을 건다. 진심으로 최면을 건 덕분에 남자는 60여 년의 세월을 거슬러 여자를 만난다. 그런데 남자는 자기 시대에서 가져온 1979년 동전을 보는 바람에 다시 현재의 시간으로 튕겨져 나오고 만다.

줄거리를 요약하니 엉뚱하고 비논리적인 시간여행 영화에 불과한 이 작품은 사춘기 시절 내 머릿속에 남아 내내 묘한 기시감(旣示感)과 슬픔을 전달해주었다. 영화가 준 슬픔은 마치 오후 네 시 집에 돌아갔을 때 나를 기다려줘야 할 엄마는 집에 없고 마루 한 가득 조금 일찍 떨어진 햇빛이 가득한 느낌과도 닮았다. 오후 네 시의 쓸쓸함이라고 부를 수 있을 그 이상한 상실감과 슬픔이 영화 속에 가득했다. 마루턱에 걸터 앉아 무릎까지 내려앉은 석양을 맞으며 혼자 노래를 흥얼거리는 어린 소녀의 실루엣 같은 느낌 말이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본 이 영화는 ‘슈퍼맨’ 크리스토퍼 리브와 TV드라마 ‘닥터 퀸’으로 알려진 제인 세이모어가 주연을 맡은 ‘사랑의 은하수’라는 작품이었다. 한국어 번역 과정에 약간 어설픈 제목을 갖게 된 영화의 원제는 ‘Somewhere In Time’인데, 원제가 영화의 분위기에 훨씬 더 어울리는 듯싶다. 사실 이 영화는 개연성이나 필연성이라는 서사적 원칙을 두고 보았을 때 지나치게 우연적이고 비과학적인 작품이다. 시간여행이라는 SF적 소재를 다루고 있긴 하지만 너무 공상적이라 판타지에 가깝고 때로는 웃음이 나올 만큼 억지스럽기도 하다.

1/3
강유정│영화평론가 noxkang@hanmail.net│
목록 닫기

이뤄질 수 없는 과거 회귀에 대한 열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