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닭실마을 전경.
춘향전 주인공인 성이성 선생이 1613년 건립해 후학 양성에 힘쓴 곳이다. 선생은 이몽룡의 실제 인물로 여겨진다. 경북 영주에서 출생해 인조 5년 문과에 급제한 이후 사간원 사간, 홍문관 교리를 거쳤다. 이어 네 차례 암행어사를 맡은 것으로 나와 있다.
연세대 국문과 설성경 교수의 끈질긴 추적 끝에 밝혀진 사실이고 KBS TV는 ‘역사 스페셜’을 통해 “이몽룡은 실제 인물이었다”고 한 바 있다. 그래서 봉화 땅을 밟는 외지인에게 계서당은 의외의 놀라움을 안긴다. 요즘 말로 치면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대목이다.
안내판과 팸플릿이 전하는 이야기는 이렇다. 아버지 성안의가 남원부사로 재직할 당시 10대의 성이성은 남원 땅에서 과거 공부에 열중했다. 그러던 어느 날 광한루를 구경하던 중 춘향을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졌다. 요즈음 말로 필이 꽂힌 것이다. 이후 아버지가 한양으로 부임하자 아버지를 따라간 성이성은 과거에 급제했다. 이후 그는 두 차례 호남으로 암행했으며 자신의 저서인 ‘호남암행록’에서 “눈 내리는 겨울 광한루에 올라 옛 생각에 밤늦도록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기술했다.
이몽룡의 실제 인물
하지만 당시 사회 분위기 때문인지 무명의 춘향전 작자는 성이성의 이름을 그대로 쓰지 못하고 이몽룡이라는 가공의 인물을 등장시켰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곳을 찾는 낯선 이들은 안내 입간판이 전하는 러브 스토리에 고개를 끄떡이며 저마다 셔터를 눌러대기에 바쁘다.
봉화로 가는 길은 이미 가을빛이다. 여름은 어느새 높아진 하늘 저편으로 사라지고 없다. 가을은 계엄군처럼 소리 소문 없이 들녘 곳곳에 포진하고 있다.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해 영주 부석사를 옆에 끼고 한참 달리는 봉화군 물야로 가는 길, 개량종이 아닌 오리지널 키 작은 코스모스와 벌개미취, 구절초가 길옆에서 서걱거린다. 고추는 스스로 빨갛게 물들고 있다.

계서당 사랑채.
모두에게 잊힌 땅인 절대 오지, 봉화가 일반인에게 다시 알려진 것은 아무래도 영화 ‘워낭소리’ 덕분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소와 함께 자란 기성세대의 가슴을 먹먹하게 했던 이 다큐멘터리 영화의 무대가 바로 이곳이다. 영화를 본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산골짝 마을. 그나마 읍 소재지에는 4, 5층짜리 건물이 몇 동 있다. 그러나 읍을 제외한 지역은 밋밋하다. 굽은 소나무가 선산 지킨다고 하더니, 오지라는 점 덕분에 지금 시대에 오히려 각광받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정자가 가장 많다. 확인된 것만 101곳, 사라진 정자까지 포함하면 170 곳을 훌쩍 넘긴다고 한다.
춘양목으로 불리는 잘생긴 소나무가 지천이다보니 솔잎조차 풍성한가보다. 내놓을 먹을거리가 변변치 않은 곳인데 딱 한 가지 유명한 게 있다. 바로 솔잎 돼지갈비다. 솔잎 위에 갈비를 얹어두고 불을 지펴 구워낸다. 솔향이 고기 깊숙이 스며들어 송이 맛까지 난다. 언젠가 서울 강남 거리를 지나다 본 봉성 솔잎갈비의 본고장이 바로 봉성면 봉성마을이다. 빈한했던 시절, 이른 봄날 물오른 소나무 가지의 단물까지 빨아먹던 장년 세대들에게 향수라는 맛까지 더해져 찾는 이가 많다고 식당 주인이 말한다.

오전약수터.
한반도의 허리인 백두대간 태백과 거기서 굽이쳐 나온 소백의 틈, 이른바 양백 사이에 자리한 데다 태백산과 청량산, 소백산으로 둘러싸여 세숫대야의 물처럼 고요히 담겨 있는 땅. 분지인 만큼 개마고원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춥고 눈까지 많다. 그래서 기차역조차 봄볕이 간절한 춘양역(春陽驛)으로 불린다. 또한 이곳에서 자라는 금강 소나무의 이름마저 춘양목(春陽木)인 것이다.
동해안 울진의 해산물과 영남 내륙의 농산물이 오고 가는 땅, 봉화는 아득한 옛날, 보부상들이 지나다니던 길목이었다. 몸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등짐을 지고 고갯길을 집 삼아 다니던 사람들, 울진에서 해산물을 잔뜩 지고 멀리 안동 벌로 오가는 고된 여로를 숙명으로 알고 살았다.
피곤한 보부상들이 즐겨 찾았던 곳이 오전약수터다. 이들이 쑥대밭에서 잠시 졸다 꿈에서 발견했다고 해서 약수터 입구에는 보부상 조각상이 서 있다. 그러나 미적 감각을 전혀 찾아볼 길 없는 조각상은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다. 오전 약수는 탄산수다. 실제 마셔보니 탄산음료의 독특한 맛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