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렌즈로 본 세상

‘보물섬’ 제주

  • 배수강 기자 bsk@donga.com

‘보물섬’ 제주

  • 동서 73㎞, 남북 41㎞인 타원형의 화산섬 제주도는 섬 전체가 ‘화산 박물관’이다. 한라산(1950m)과 크고 작은 오름 360여 개가 펼쳐져 있고, 땅 아래에는 160여 개의 용암동굴이 섬 전체에 산재한다. 

    생물권보전지역 지정(2002), 세계자연유산 등재(2007), 세계지질공원 인증(2010) 등 유네스코(UNESCO) 3관왕은 제주가 왜 ‘보물섬’인지 잘 보여준다.
마그마가 바다 밑에서 분출해 형성된 성산일출봉.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마그마가 바다 밑에서 분출해 형성된 성산일출봉.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제주 돌문화공원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돌하르방. [GettyImage]

제주 돌문화공원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돌하르방. [GettyImage]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서귀포시 산방산 부근 낮은 돌담과 어우러진 유채꽃밭. [GettyImage]

서귀포시 산방산 부근 낮은 돌담과 어우러진 유채꽃밭. [GettyImage]

새섬과 서귀포항을 연결하는 제주 명소 새연교. [GettyImage]

새섬과 서귀포항을 연결하는 제주 명소 새연교. [GettyImage]

은어가 살 만큼 맑은 물로 유명한 서귀포시 강정천. [GettyImage]

은어가 살 만큼 맑은 물로 유명한 서귀포시 강정천. [GettyImage]

 유네스코가 지정한 제주 생물권 
    보전지역인 사려니숲길. [GettyImage]

유네스코가 지정한 제주 생물권 보전지역인 사려니숲길. [GettyImage]



신동아 2020년 6월호

배수강 기자 bsk@donga.com
목록 닫기

‘보물섬’ 제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