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상은 고수에겐 놀이터 하수에겐 생지옥

국내 첫 바둑 영화 ‘신의 한 수’

세상은 고수에겐 놀이터 하수에겐 생지옥

1/2
세상은 고수에겐 놀이터 하수에겐 생지옥

영화 ‘신의 한 수’.

바둑은 동아시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게임이다. 즐기는 인구도 적지 않다. 그러나 흑돌과 백돌로 이뤄진 그 형태는 외견상 너무 단순하다. 움직임 또한 정적이다. 텔레비전의 바둑 중계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바둑을 잘 모르는 사람에겐 난해하고 지루한 장면의 연속이다.

이런 이유로 바둑은 쉽게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단지 몇몇 영화에서 등장인물들이 바둑을 즐기는 장면이 양념처럼 등장했을 뿐이다. 장이모의 ‘영웅’(2002)에서 무명(이연걸)과 은모 장천(견자단)의 결투 장면 때 은모 장천이 바둑을 두는 설정이 등장한다. 그런데 올해 바둑을 주된 모티프로 하는 영화 두 편이 개봉됐다. 한 편은 ‘스톤’(조세래, 2014)이고 다른 한 편은 7월 초 개봉된 ‘신의 한 수’(조범구, 2014)다.

서양에선 바둑과 유사한 체스가 종종 영화의 주요 소재가 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영화로 프랑스 영화인 ‘데인저러스 무브스’(Dangerous Moves, 리차드 뎀보, 1983), 할리우드 영화인 ‘나이트 무브스’(Knight Moves,칼 쉔켄, 1992), 할리우드 영화인 ‘서칭 포 바비 피셔’(Search- ing for Bobby Fischer, 스티브 제일리언, 1993)가 있다.

동아시아 바둑 vs 서양 체스

‘데인저러스 무브스’는 냉전의 막바지인 1980년대 초반 만들어졌다. 소련에서 서방으로 탈출한 젊은 체스 천재 파비우스 프롬(알렉산더 아르바트)은 월드 체스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챔피언인 소련의 유대계 아키바 리브스킨드(미셸 피콜리)와 대결한다. 이 승부는 단순한 체스 대결이 아니라 서방과 소련의 자존심을 건 한판이 된다. 이에 따라 첩보기관까지 나서서 상대방의 심리적 약점을 잡아 무너뜨리려 한다.



‘나이트 무브스’는 스릴러물이다. 한 체스 챔피언(크리스토퍼 람베르)은 우연히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다. 그를 의심하는 경찰과 정신과 의사(다이안 레인)가 살인 사건을 해결한다.

‘서칭 포 바비 피셔’는 미국의 체스 천재 조슈아 웨이츠킨의 실화를 다뤘다. 웨이츠킨의 아버지인 프레드 웨이츠킨이 쓴 책을 원작으로 삼았다. 스포츠 전문기자인 프레드(조 만테냐)는 어느 날 아들 조슈아(맥스 포메랑)가 체스에 소질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래서 유명한 체스 코치인 브루스 판돌피니(벤 킹슬리)를 고용한다.

판돌피니는 조슈아를 월드 체스 챔피언이던 바비 피셔의 무자비한 체스 스타일에 따르도록 지도한다. 그러나 조슈아는 워싱턴에서 만난 체스의 달인인 비니(로렌스 피시번)의 속기 체스 스타일에 더 끌린다. 무협지에서 정통파와 변칙파가 서로 다른 무공 스타일을 놓고 대결하듯 판돌피니 식의 제도권 체스와 비니 식의 재야 체스가 대립한다. 이 영화는 바비 피셔가 체스를 두는 장면, 언론과 인터뷰하는 실제 장면을 삽입하고 있다. 이 장면들은 조슈아가 체스 선수로 성장하는 장면과 대비되게 배치돼 있다.

아버지 프레드는 조슈아를 정통 체스 플레이어로 키우려고 한다. 바비 피셔는 오로지 체스에만 관심을 둔 편집증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어머니 보니(조앤 알렌)는 아버지 프레드의 노선에 반대하면서 체스에 인간적인 성격을 부여하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데인저러스 무브스’는 체스를 둘러싼 국제정치 세계를 보여주고, ‘나이트 무브스’는 살인 사건과 연관된 스릴러물 형태를 취하며, ‘서칭 포 바비 피셔’는 체스 천재의 성장과 가족 이야기를 다룬다. 이들 영화는 체스를 가장 중요한 소재로 삼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영화 제목이 압권

‘신의 한 수’는 바둑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한국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바둑이라는 독특한 소재에다 액션, 범죄 그리고 복수극을 결합했다. 한국 사회의 특성상 이해가 되는 면도 있다. 남북 간 바둑 교류가 있었던 것도 아니어서 남북 문제를 바둑에 대입하긴 어렵다. 현실에선 한국, 중국, 일본의 프로 바둑기사들이 각종 국제기전에서 치열하게 승부를 펼친다. 영화가 이러한 국가 간 바둑 대항전을 영화의 중심 이야기로 끌어와 민족주의에 어필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가대표’ 등 많은 스포츠 영화가 이런 이야기 구도를 사용했기 때문에 신선미가 떨어진다.

1/2
노광우 │영화 칼럼니스트 nkw88@hotmail.com
목록 닫기

세상은 고수에겐 놀이터 하수에겐 생지옥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