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저성장 한국경제의 新성장동력 관광산업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1/2
  •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우리 경제에 관광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최근 아시아 신흥국의 급성장으로 이들 국가의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2020년 방한 관광객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관광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했다.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관광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외화 획득 효과가 크며 내수 증진 및 고용창출 부문에서도 경제 기여도가 높은 산업이다. 최근 한국 경제는 고도성장 이후 구조적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관광산업의 외화가득률은 약 83%로 전 산업 평균(73%)이나 제조업 평균(59%)을 큰 폭으로 상회한다. 외래 관광객에 의한 숙박, 식음료, 오락, 교통, 상품 구입 활동 등 소비 지출 증가는 곧 내수 시장의 확대로 연결된다. 또한 관광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이기 때문에 여타 산업 대비 고용창출 효과가 높다.

특히 우리 관광산업은 아시아 신흥국에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국내에 미칠 경제적 영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신흥국은 거대한 인구 규모, 소득 수준의 지속적 상승 등을 기반으로 세계 관광시장에서 영향력 확대가 예상된다. 특히 한국과는 거리적 인접성, 문화적 연관성 등으로 다른 나라들에 비해 국내 관광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방한 관광객의 약 60% 비중에 육박하는 아시아 신흥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2020년 방한 관광객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관광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했다.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亞 신흥국 관광객 800만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최근 한국을 찾는 관광객 수가 급증하면서 2014년 방한 관광객 수가 1400만 명을 돌파했다. 증가율은 2005년 3.5%로 2008년까지 한 자릿수에 불과했으나 2010년 12.5%, 2011년 11.3% 등으로 급등했으며, 2014년에는 전년대비 16.6% 성장했다.

관광객 수 증가에 힘입어 관광수입 역시 증가하면서 관광수지 적자 폭이 감소하는 추세다. 2014년 1~11월 누적 기준 관광수입은 약 16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6% 급증했다. 같은 기간 누적 기준 관광수지도 약 15억 달러 적자로 전년 동기 적자 규모 25억 달러 대비 약 9억 달러 감소했다.

한국을 찾는 관광객 중에서 아시아 지역의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 관광객 수는 2005년 약 440만 명에서 2014년 1170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아시아를 제외한 기타 지역의 관광객 수는 현재 약 250만 명에 그쳤다. 이에 따라 전체 방한 관광객 중에서 아시아 지역의 비중이 2005년 73.7%에서 2014년 82.4%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아시아 지역 중에서도 중국, 태국, 필리핀 등 아시아 신흥국에서의 방한이 급증하는 추세다. 과거에는 일본 등 아시아 선진국 사람이 전체 방한 관광객의 절반을 상회(2005년 50.5%)했으나, 이후 300만~400만 명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치면서 전체 방한 관광객 대비 비중이 2014년 25.9%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아시아 신흥국에서의 방한은 2005년 140만 명에서 2014년 약 800만 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14년에는 전체 관광객 대비 비중이 56.5%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아시아 신흥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구 비중을 차지한다. 유엔 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세계 인구는 72억44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아시아 신흥국 인구는 약 41억3000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57%를 점유한다.

아시아 신흥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성장 추세를 기반으로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 2014년 경제성장률은 6.5%로 추정된다. 최근 성장 추세가 소폭 하락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세계 및 신흥국 경제성장률을 상회한다. 아시아 신흥국의 1인당 GDP(PPP 기준)는 2014년 약 9140달러로 2005년 4220달러보다 2배 이상 성장했다.

아시아 신흥국 국가별 1인당 소득 및 해외 관광객의 한국 방문 비율을 통해 2020년 방한 해외 관광객 수를 추정해 봤다. 우선 1995~2012년 90개국의 소득 및 인구, 해외 관광객 수 자료를 기초로 소득 수준과 해외 관광객 비중(해당국 해외 관광객 수 / 해당국 인구)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1인당 소득이 증가할수록 해외 관광객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국가별 1인당 소득 변수를 통해 2020년까지 아시아 신흥국의 국제 관광 수요를 추정했다. 이후 국가별 한국 방문 비율을 적용해 이 중 한국으로 유입되는 관광객 수를 추정했다. 또한 추정한 방한 관광객 수 및 1인당 지출 경비를 기준으로 국내 총지출액을 전망한 후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했다.

1/2
백다미 |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dm100@hri.co.kr
목록 닫기

관광객 2300만 생산유발 80조(2020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