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10일 국회에서 열린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가 선서를 하고 있다.
신년교례회에서 오장섭 충청향우회 총재는 “충청도가 21세기 우리 역사의 중심에 있다. 충청도가 이 나라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분위기를 띄웠고,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은 충청인의 자부심을 북돋웠다.
“충청도 양반 동네가 충청인들의 눈부신 활약에 힘입어 전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엄청도’로 발전하고 있다. 600년간 이어온 수도 서울에서 경제부처가 세종시로 많이 이전하면서 경제 중심의 신수도권으로 태어났고, 역사상 처음으로 충청 인구가 호남을 추월하면서 영충호 시대를 맞고 있다.”(이시종 충북지사)
“이제 드디어 충청인들이…”
이날 향우회 신년교례회에 참석한 전직 고위공무원 A씨는 2월 25일을 ‘충청인들이 대한민국 정치 중심지를 점령한 상징적인 날’이라며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올해 신년교례회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충청’의 ‘충(忠)’은 ‘중심(中心)’을 뜻하는 만큼 이제는 충청도가 대한민국의 중심이 될 거라며 서로를 격려했다. 충청 출신 중진 정치인들이 여야 가리지 않고 머리를 맞대 우리의 꿈(충청 출신 대통령 탄생)을 이뤄야 한다는 데 의기투합했다.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결속력이 아주 강해졌다. 예전에는 모여도 정치 얘기는 거의 안 했는데, 이번엔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한 묘한 감정이 생겼다. 45년 전 상경해 공직생활하면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설움을 당했는데, 이제 드디어 충청인들이….”
A씨에 따르면, 참석 인사 대부분은 이완구 총리의 인사청문회 얘기와 충청 출신 정치인들의 대권 가능성 등 주로 충청 대망론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충북 음성 출신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수도권과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고, 앞으로 남북 문제나 통일 분야에서 성과를 내면 대망론을 실현할 수 있다는 등의 선거전략 얘기도 오갔다. 충청도의 급성장으로 충청 인구가 호남 인구를 넘어선 만큼 이제 그에 합당한 정치·경제적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는 게 A씨의 전언이다.
그의 말마따나 한동안 ‘뜬구름’ 같던 충청 대망론은 이완구 총리의 인사청문회를 거치면서 불이 제대로 붙었다. 청문회에 앞서 역대 총리 후보자들을 낙마로 이끈 단골 소재인 병역 기피와 부동산 투기 의혹을 비롯해 교수 특혜 채용, 차남 건강보험료 미납 의혹 등이 불거졌고, 언론사 인사와 보도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발언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이 총리 후보자는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2월 11일 “웬만하면 넘어가려 했는데 더는 그럴 수 없게 됐다”며 낙마시킬 의지를 내비쳤고, 새누리당도 이 후보자의 인준 찬성을 만장일치 당론으로 정하지 못했다. 그런데 안대희, 문창극 전 총리후보자의 ‘낙마 트라우마가’ 짙게 드리워진 순간 돌연 ‘충청 민심’이라는 구원의 손길이 뻗쳐왔다. 당시 이 후보의 차기 총리 적합도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10%포인트 이상 높았지만, 이후 충청 지역 민심은 달라졌다.
“호남 의원이 질문한다”
한국갤럽이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첫날인 2월 10일부터 12일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충청지역에서 이 후보자가 ‘차기 총리로 적합하다’는 응답 비율은 33%로 ‘부적합하다’는 응답(38%)보다 5%포인트 낮았다. 그러나 리얼미터가 2월 13일 충청지역 여론조사를 한 결과 ‘총리로 적합하다’는 응답 비율은 무려 65.2%로 나타나 ‘부적합’(29.2%) 응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인사청문회를 거치며 ‘적합’ 의견이 두 배 가까이 급상승한 것.
여론분석 전문가들은 2월 11일 인사청문회 증인으로 나온 강희철 충청향우회 명예회장이 전북 순창 출신의 새정치연합 진선미 의원의 질문에 “충청 총리 후보가 나오는데 호남분이 계속 질문한다”고 한 발언이 반전의 시작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1월 새정치연합 전당대회 과정에서 당시 문재인 당대표 후보가 한 ‘호남 총리 발언’이 오버랩되면서 충청지역 여론을 움직이게 했다는 분석이다. 결국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충청 민심을 의식한 야당은 표결 불참 대신 자유투표를 선택했고, 임명동의안은 찬성률 52.7%(재석의원 281명 중 찬성 148명)로 가결됐다.
전직 고위공무원 A씨도 “향우회에서 만난 인사들은 ‘강희철 명예회장을 국회의원 시켜야 한다’며 내놓고 강 명예회장을 칭찬하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건국 이래 충청 출신 직선 대통령이 없었고, 수도권·호남 대(對) 영남의 세력균형 정국에서 캐스팅보트 노릇에 머물렀던 오랜 ‘한(恨)’이 대망론의 기저에 흐른다는 게 그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