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어떤 北 잠수함도 때려잡을 수 있다”

Interview - 초대 잠수함사령관 윤정상 제독

“어떤 北 잠수함도 때려잡을 수 있다”

1/4
  • ● 北 잠수함보다 조용하고 성능도 우수
  • ● 원자력잠수함 갖고 싶지만 기술·비용 만만찮아
  • ● 전투함은 한 방, 항모는 세 방에 반 토막
  • ● 금전적 보상, 인사 혜택으로 사기 올리겠다
“어떤 北 잠수함도 때려잡을 수 있다”
윤정상(해사 38기) 소장이 초대 잠수함사령관에 임명되자 해군 안팎에선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첫째는 그의 실력을 인정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궂은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그의 인품을 알기 때문이다. 그와 한 부대에서 근무했던 한 영관급 장교는 “내가 지금까지 모신 지휘관 중 단연 최고”라며 “매사 합리적이고 부하들을 인격적으로 대한다”고 치켜세웠다.

윤 사령관은 인터뷰에서 “북한 잠수함이 위협적이긴 하지만 우리가 충분히 때려잡을 수 있다”고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동석한 부사령관 권정섭 준장, 참모장 권원표 대령, 제93잠수함전대장 정일식 대령 등도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했다.

▼ 사령부 창설의 의미를 설명한다면.

“안전이 보장된 가운데 더욱 효율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고 하겠다. 그간 분산됐던 기능을 사령부 내에서 통합한 것이다. 우리 잠수함 전력이 계속 증강되는 상황에서 좀 더 전략적인 지휘가 필요하다. 잠수함은 은밀함이 생명이다. 자칫 작전이 노출될 수 있기에 자세한 얘기는 곤란하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이 시간에도 잠수함은 (물속에) 들어가 있다는 거다. 어디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웃음).”

▼ 미군 잠수함도 들어와 있지 않나.



“한반도 인근 해역에는 주변국 잠수함이 많다. 잠수함은 공해상 어디든 갈 수 있다. 어디서 움직이는지는 미군도 우리도 서로 안 가르쳐준다.”

소음과의 전쟁

▼ 잠수함이 전략무기라 동맹국끼리도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건가.

“우리가 209급 잠수함을 운용한 지 20년 넘었다. 각종 해외훈련에는 이 배만 참가시키고, 214급은 안 보낸다. 아예 노출하지 않는 것이다. 잠수함의 생명은 소음에 달렸다. 사람마다 개성 있는 목소리를 내듯 잠수함마다 독특한 소음이 있다. 소음이 노출되면 식별되고 추적당하기 쉽다.”

▼ 주변국 잠수함 전력을 비교하면 우리가 열세 아닌가.

“일본은 24척 정도 운용한다. 214급보다 훨씬 큰 3000t급 신형 잠수함들을 갖춰 우리와 수준 차이가 난다. 중국은 굉장히 빠른 속도로 신형 잠수함을 개발 중이다. 러시아, 미국은 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운용하는 나라이니 말할 나위도 없고. 북한도 잠수함을 운용한 지 50년 가까이 된다. 독자적으로 설계·건조하는 능력을 가졌다. 물론 잠수함만으로 작전하는 건 아니다. 잠수함과 수상함의 역할이 따로 있다. 적정 수준에서 균형을 갖춰야 한다. 조금 부족하다는 느낌은 있지만 예산이 뒷받침돼야 하니….”

▼ KSS-3 사업은 문제없나.

“209잠수함의 수명이 다하는 시기와 맞물려 개발될 것이다.”

3000t급 잠수함을 2020년까지 실전 배치하는 것이 KSS-3 사업이다. 말하자면 구형과 신형을 1대 1로 교체하는 셈이다.

▼ 북한 잠수함 중에 구형이 많다고 해도 천안함 사건에서 보듯 매우 위협적이지 않나.

“일단 통으로 만들어 물속에 집어넣으면 그 안의 장비가 신형이든 구형이든 탐지하기 어렵다. 북한은 구형과 신형 합해 70~80척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일단 양적인 면에서는 우리가 확실히 밀리는 것 같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소음이다. 얼마나 조용한 잠수함을 많이 가졌는지가 관건이다. 꼭 1대 1로 싸우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잠수함이 북한 것보다 조용하고 성능도 우수한 것이 사실이다. 공산권에서 만든 잠수함이 대체로 시끄럽다.”

▼ 우리가 북한 잠수함의 소음을 포착한 적이 있나.

“나포한 북한 잠수함을 수리·복원해 3년간 운용해서 유익한 정보를 얻었다. 하지만 아무래도 미국이 더 많은 정보를 가졌다. 북한이 이란에 수출한 잠수함의 소음을 잡아내니까. 그런 정보는 한미 간에 공유한다.”

▼ 천안함을 공격한 게 연어급이라고 한다. 해당 수역의 수심이나 조류 등 해저 환경이 어쨌든 우리 영해에 들어와 공격에 성공했다는 건 대단한 능력 아닌가.

“북한은 군복무를 10년씩 하니 배를 타도 오래 탄다. 장비가 노후해도 운용은 잘할 것이라고 본다.”

1/4
조성식 기자 | mairso2@donga.com
목록 닫기

“어떤 北 잠수함도 때려잡을 수 있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