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국내 유일 ‘케어기빙’ 교육 특성화 돌봄과정은 고령화 시대 ‘힐링캠프’

고려사이버대

국내 유일 ‘케어기빙’ 교육 특성화 돌봄과정은 고령화 시대 ‘힐링캠프’

1/3
  • ● 2009년부터 191명 수료…“돌봄 문제 깨달았다”
  • ● 가족 병수발 한계, 전문가들이 체계적으로 보살펴야
  • ● 돌봄제공자는 ‘숨은 환자’… 일시 보호시설 등 지원 필요
국내 유일 ‘케어기빙’ 교육 특성화 돌봄과정은 고령화 시대 ‘힐링캠프’
얼마 전 70대 노인이 치매 걸린 아내를 목 졸라 숨지게 한 뒤 자신도 투신하려던 사건이 크게 보도됐다. 아내를 자식들에게 맡기지 않고 직접 수발해온 노인은 경찰조사에서 “자식에게 짐을 남기고 갈 수 없어 같이 죽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놨다. 그런 아버지에 대해 아들은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 사건이 며칠 주요 뉴스로 다뤄지면서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것은 남의 일 같지가 않기 때문이다. 누구나 치매 혹은 다른 중증으로 노년을 힘들게 보낼 수 있고, 그런 가족을 돌봐야 하는 처지에 몰릴 수 있다. 노환을 앓는 부모를 누가 수발할 것인지를 놓고 형제자매끼리 얼굴 붉히는 일, 이미 겪었거나 앞으로 닥칠 수 있는 우리의 문제다. ‘돌봄의 대상’인 노인 문제는 고령화 시대에 우리가 풀어야 할 시급한 사회 현안이다.

그런데 여기 한 가지 빠진 게 있다. 이런 노인을 돌보는 사람들, 즉 케어기버(caregiver)에 대한 논의다. 고려사이버대의 한국 로잘린카터 케어기빙연구소(RIC-Korea) 조경진 교수(문화콘텐츠학과)는 “사회복지학에서는 옷 입기, 대소변 조절하기 등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케어기빙(care-giving)이라고 한다”며 “케어기버가 돌보는 대상에는 유아나 장애인도 있지만,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노인에 대한 케어기빙”이라고 강조했다. 노인은 늘고 청년은 감소하는 인구구조 면이나 부모 수발을 기피하는 탈가족화 면에서 케어기버 문제는 아무도 직시하진 않지만 이미 만연해 있고 시급히 해결할 사회문제라는 것이다.

2년 새 3000여 명 수강

“케어기버가 스트레스, 우울증,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고통 받는다는 것은 여러 연구 결과에 나타납니다. 케어기버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치면 최근 이슈가 된 사건에서 보듯이 노인을 학대하거나 극단적으로는 살해하는 일까지 벌어집니다. 흔히 ‘패륜’이라고 하지만,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케어기버를 ‘숨은 환자(hidden patient)’라고 부릅니다.”



고려사이버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케어기빙전문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로잘린 카터가 설립한 미국 조지아사우스웨스턴주립대 RCI(Rosalynn Carter Institute for Caregiving)와 협약을 맺고 RCI-Korea를 설립, 2010년 3월부터 케어기빙 교육을 시작했다. 미 RCI와 RCI-Korea는 공동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료자에게 공동 명의의 국문 및 영문 수료증을 수여한다. 매년 미국에서 RCI 주최로 열리는 케어기빙 학술대회를 통해 연구 교류도 활발하다.

고려사이버대는 케어기빙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케어기버에 대한 이해와 관리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케어기빙의 중요성을 알리고, 케어기빙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조 교수는 “사회복지학과와 상담심리학과 학생들이 주로 이 교육에 참여하지만, 교양과목으로도 인기가 높다”고 전했다. 벌써 3000여 명의 학생이 이 교육을 거쳐 갔고, 191명이 교육과정을 수료했다.

조 교수는 2012년 2학기에 ‘케어기버의 여정’이란 과목을 진행했다. 한 학기 내내 이 수업은 일종의 ‘힐링캠프’ 같았다고 한다. 500여 명의 수강생은 케어기버로서 힘들었던 점을 토로했고, 케어기버 역할을 하는 어머니나 아내를 지켜보며 안타까웠던 점, 지나고 후회하는 점들을 고백했다. 한 학기 동안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은 무려 600여 개. 조 교수는 “24시간 내에 교수가 답하는 것이 원칙이라 힘들었다”며 웃었다. 하지만 그는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에게 케어기빙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각자의 가정 내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를 마련해줬다는 데에서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RCI가 1987년에 설립된 점에서 보듯, 미국에서 케어기빙은 20년 넘게 논의되어왔다. RCI는 2010년 가족 내 케어기빙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해 발표했는데, 연간 3750억 달러(약 4조 원)로 추정됐다. 이는 미 정부가 메디케어 프로그램(65세 이상 노인에게 제공되는 건강보험)에 지출하는 비용을 상회하는 규모다.

스트레스 우울증세 호소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년부양비(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65세 이상 노인 인구 숫자)는 현재 15.5명에서 2050년 72명으로 급증한다. 이처럼 ‘초고속’ 고령화를 겪고 있음에도 한국은 케어기버의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전무한 실정이다. 고려사이버대 김윤정 사회복지학과 교수에 따르면 2012년 치매환자에 대한 정부 정책에서 돌봄제공자에 대한 지원 계획이 언급된 바 있는데, 이것이 케어기버에 대해 언급한 유일한 정부 문서라고 한다. 다만 보건복지부의 2011 노인실태조사를 보면 노인환자의 주된 케어기버는 가족이고 그중에서도 배우자(53%)가 수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85세 이상 고령층 노인의 경우 큰며느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그 다음이 배우자, 딸 순이었다.

가족이 주된 케어기버라지만, 그 속사정은 편안치가 않다. 조 교수는 “학생들이 하소연과 고민을 털어놓는 것을 보며 케어기빙을 둘러싼 갈등이 심각한 문제임을 새삼 깨달았다”고 말했다. ‘어머니가 치매에 걸린 할머니를 돌보다 우울증에 빠졌지만, 아버지는 절대 요양원에 모시려 하지 않는다’ 등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1/3
강지남 기자 | layra@donga.com
목록 닫기

국내 유일 ‘케어기빙’ 교육 특성화 돌봄과정은 고령화 시대 ‘힐링캠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