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버스기사들 해방구…사망률 5배 높아

교통사고 급증 서울 중앙버스차로

버스기사들 해방구…사망률 5배 높아

1/3
  • ● 중앙차로 설치 19개 노선만 사고 증가
  • ● 과속, 신호위반, 곡예운전 일상화
  • ● 보행자 대규모 무단횡단 진풍경
  • ● 서울시의 안전 불감증 심각
버스기사들 해방구…사망률  5배  높아
1월7일 오후 9시경 서울 도봉구 도봉구민회관 앞 중앙버스정류장이 앰뷸런스 소리와 119 구급대원들의 다급한 목소리로 시끄러워졌다. 장모(24) 씨가 정류장으로 무단횡단을 하다 버스에 치여 숨진 것이다. 추월차로를 달리던 버스는 갑자기 나타난 박씨를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밟았으나 이미 늦었다.

지난해 10월 말 오전 5시경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중앙버스정류장 횡단보도에서도 박모(66·오피스텔 경비원) 씨가 무단횡단하다 버스에 치여 숨졌다. 도로가 한산한 새벽 시간 정류장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는 급행버스를 미처 발견하지 못해 변을 당했다. 이 중앙버스차로는 서울과 일산 출퇴근 시민을 수송하는 버스들이 달린다.

서울 전체 교통사고 줄었지만…

서울시가 중앙버스전용차로(이하 중앙버스차로) 제도를 도입한 지 10년이 됐다. 시는 2004년 7월 대중교통체계 전면 개편의 일환으로 이 제도를 시행했다. 도로 중앙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한 결과 버스 운행 속도가 상당히 빨라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국 주요 도시가 앞다퉈 중앙버스차로를 설치했다. 서울시도 총 연장 115.3km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확대했다. 그러나 밝은 면이 있으면 어두운 면이 있기 마련이다. 교통사고가 급증하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취재 결과, 서울시의 경우 전체 교통사고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였다. 반면, 중앙버스차로 교통사고는 같은 기간 오히려 24.0% 증가했다. 특히 사망률은 중앙버스차로 사고가 전체 사고보다 많게는 5배까지 높다. 버스 사고는 차량의 특성상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이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의 중앙버스차로가 설치된 구간 19곳 가운데 강남대로, 경인로, 공항대로, 노량진로, 도봉·미아로, 삼일대로, 수색·성산로, 신반포로, 왕산로 등 9곳을 방문해 살펴봤다. ▲보행자의 무단횡단 ▲버스의 과속과 신호위반 ▲혼란스러운 교통체계 ▲부실한 인프라 등이 확인됐다.

“다른 데선 안 그러는데…”

버스기사들 해방구…사망률  5배  높아

7월 8일 오전 서울 강남역 중앙버스차로 구간에서 여러 시민이 도로를 무단횡단하는 광경.

6월 25일 저녁 8시경, 경인로 중앙버스차로 구간인 영등포역 중앙버스정류장은 아수라장을 방불케 했다. 횡단보도에 파란불이 들어오자 정류장에 있던 한 중년 남자는 굳이 정차해 있는 버스와 버스의 틈새를 지나 차도로 길을 건넜다. 가로변에 있던 사람들도 횡단보도를 벗어나 중앙선을 밟으며 중앙버스정류장으로 들어왔다. 어떤 사람들은 아예 버스를 정면으로 마주 본 채 중앙차로를 걸어 정류장에 들어섰다. 이윽고 횡단보도 신호등에 빨간불이 들어왔지만 예닐곱 명 정도가 서두르는 기색도 없이 태연하게 길을 건넜다.

중앙버스차로 신설 이후 중앙버스정류장 때문에 보행자들이 도로에 고스란히 노출돼 사고 위험이 높아졌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중앙버스차로 사망사고 41건 가운데 44%(18건)가 횡단보도에서 일어났다. 또한 횡단보도 사망사고 18건 가운데 중앙버스정류장에서의 사고가 83%(15건)를 차지했다.

중앙버스차로는 무단횡단을 부추기는 면이 있어 더 심각하다. 도로 한가운데 섬처럼 갇힌 중앙버스정류장은 가로변에 있는 버스정류장과 달리 길을 건너야 버스를 탈 수 있다. 이수지(25·강서구 방화동) 씨는 “다른 곳에서는 무단횡단을 거의 하지 않지만 중앙버스정류장 앞에서는 신호를 기다리다 버스를 놓칠 것 같아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중앙버스정류장 설치로 차선이 줄어든 것도 보행자로 하여금 무단횡단의 유혹에 빠지게 한다. 서울시가 보행자 150명을 조사한 결과, 무단횡단 경험이 있는 시민의 74%는 2차로 횡단보도에서는 무단횡단을 해도 된다고 여겼다.

일부 중앙버스정류장에는 ‘무단횡단 금지’ 안전표지가 붙어 있다. 하지만 이 팻말을 눈여겨보는 시민은 별로 없다. 일산에서 서울 광화문을 오가는 김기훈(54) 씨는 집 앞 중앙버스정류장에 빨간색의 무단횡단 금지 표지가 다섯 개나 붙어 있는데도 “무단횡단 금지 팻말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1/3
김슬기라 │고려대 사회학과 4학년
목록 닫기

버스기사들 해방구…사망률 5배 높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