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지하철 승객들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최근 일주일간 서울 지하철 1~9호선 객차 안에서 외국인 20명을 취재했다. 이들은 서울의 지하철이 시설 면에서 쾌적하고 편리하다고 평가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온 제프 에이브럼(24) 씨는 “서울의 지하철은 별로 기다리지 않아도 돼 매우 좋다. 또 내부가 깨끗하다”고 말했다. 에이브럼 씨의 친구인 케이티 말러(24) 씨는 “소란을 피우는 사람을 거의 못 봤다”고 했다.
그러나 인터뷰에 응한 외국인들은 서울 지하철 문화의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게 이야기했다. 우선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승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서울 지하철의 가장 두드러진 문화적 특성으로 꼽았다. 서울의 지하철 객차에선 남녀노소 승객 대부분이, 앉은 승객이든 서 있는 승객이든 타고 가는 내내 고개를 숙이고 휴대전화 화면만 보는 것 같다고 답변했다. 중국인 정모(22·여·K대 2학년) 씨는 “지하철 내 거의 모든 사람이 고개를 숙인 광경이 신기했다”고 말했다. 정씨는 “심지어 상당수 승객은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객차에 들어온다. 아마 탑승하자마자 휴대전화 화면을 보기 위해 호주머니나 가방에서 미리 꺼내 준비한 듯하다”고 했다.
“행복해 보이진 않아”
미국 오클라호마에서 온 세이지 데니얼슨(20) 씨는 “미국인들도 대도시 지하철을 이용할 때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스마트폰을 보곤 한다”면서도 “그러나 서울만큼은 아니다. 서울 지하철 승객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세계 최고 수준임에 틀림없다”고 말했다.
▼ 서울 지하철에서 어떤 점이 특히 인상 깊나요?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만 보고 만지는 모습이 당연히 먼저 눈에 들어오죠. 외국인이라면 누구나 그렇게 생각할걸요?”
▼ 그런 모습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한국인들이 스스로를 억압하는 것 같아요.”
▼ 억압….
“스마트폰에 집중하지만 행복해 보이진 않아요.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그냥 습관적으로 조그만 기기 안으로 자기 자신을 몰아넣는…. 그래서 억압이라는 말이 떠올랐나봐요.”
▼ 또 미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주변 사람에게 말을 거는 경우를 한 번도 못 봤어요. 아마 스마트폰 때문에 더 그렇겠죠. 미국에선 처음 만나는 사이라도 별 거리낌 없이 말을 나누기도 하는데….”
서울 지하철 승객은 이렇게 혼자 있을 땐 스마트폰만 보는 편이지만 동승자가 있을 땐 큰 목소리로 대화한다는 게 여러 외국인의 대답이었다. 이로 인한 소음 때문에 기분이 언짢아질 때가 더러 있다고 한다.
“넌 머리 푼 게 나아”
프랑스인 안드레아 로페즈(20) 씨는 “옆 승객의 스마트폰에서 음악이나 드라마 대사가 흘러나오는 것도 불편하다”고 말했다. 객차에서 로페즈 씨를 인터뷰하는 동안에도, 한 승객이 이어폰을 귀에 꽂고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했는데 게임 음악 소리가 제법 컸다. 아마 소리가 자신에게만 들리는 줄 아는 모양이었다.
얼마 뒤 두 여성이 신경질적으로 대화하는 목소리도 들렸다. “넌 머리 푼 게 나아” “아, 내가 알아서 할 거야” “네가 알아서 하긴 뭘 알아서 해” “아, 알아서 한다고!” 눈살을 찌푸리게 할 만한 수준이었다.
노약자석의 한 할아버지는 입을 다시며 책을 보고 있었다. 그런데 입을 다실 때마다 나는 “쯔읍” 하는 소리가 꽤나 거슬렸다.
건너편 대학생으로 보이는 남녀의 대화 내용도 잘 들렸다. “아! 그 오빠 생각하면 한숨밖에 안 나. 내가 다 해야 되고…발표도 내가 해요.” “발표 잘할 거 같은데?” “발표는 잘하는데….” 이들은 주제를 바꿔가며 끊임없이 수다를 떨었다. 객차 내에서 승객이 내는 소음에 주의를 기울이니 소음이 심하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었다.
로페즈 씨는 “프랑스의 경우 시끄럽게 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바로 지적을 받는다. 한국인은 많이 참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의 지하철은 많은 승객을 실어 나른다. 출퇴근 시간엔 상당히 혼잡하다. 자연히 승객들 간 신체 접촉이 자주 발생한다. 이와 관련해 여러 외국인은 불쾌한 경험이 더러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