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목숨 걸고 타든지 인도로 뛰어들든지

위험천만! 서울시 자전거도로

목숨 걸고 타든지 인도로 뛰어들든지

1/2
  • ● 자전거도로 사고 4년새 1만1259건→1만6664건
  • ● 차량 무단점유 기승…시·구청 나 몰라라
  • ● 자전거는 차에 치이고, 보행자는 자전거에 치이고
  • ● 설계, 관리, 홍보, 준법정신 모두 낙제점
목숨 걸고 타든지 인도로 뛰어들든지
서울시가 많은 예산을 투입해 야심만만하게 설치한 도심 자전거전용도로(혹은 자전거전용차로, 이하 자전거도로)는 제 기능을 거의 못하고 있었다. 초기 설계에도, 사후 관리에도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 시민의식 부재도 한몫을 했다.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용산구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목동을 지나 김포국제공항 인근 방면까지, 동쪽으로는 영동대교를 지나 강동구 상일동까지 나 있다. 남쪽으로는 서초구 양재시민의 숲을 지나 과천시까지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노원구를 넘어 도봉산까지 뻗어 있다.

도심 내 자전거도로의 경우 서울 25개 구 대부분에 설치돼 있지 않다. 그러나 영등포구 여의도동, 송파구 잠실동, 마포구 상암동 세 지역엔 자전거도로가 골목 사이사이까지 거미줄처럼 조성됐다.

이 세 지역의 자전거도로는 서울 도심 자전거도로의 대표 격이다. 여의도동, 잠실동, 상암동 자전거도로의 총 연장은 58.8km에 달하는데, 78억68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2008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 취임과 동시에 추진된 주요 사업으로 총 연장은 약 708km, 전체 사업비는 551억 원이다.

노상주차장 된 자전거도로



토요일에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과 평화의공원이 인접한 자전거도로에 자전거 동호인 서모(27) 씨와 함께 나가 봤다. 인도와 차도 사이에 자전거만 다니는 전용도로가 설치돼 있었다. 인도와는 연석으로, 차로와는 노란색 실선으로 구분돼 있었다.

그런데 자동차와 관광버스들이 하늘공원 앞 자전거도로를 점령하고 있었다. 노상주차장과 다를 바 없었다. 자리를 빼앗긴 자전거 라이더들은 바깥쪽 차로로 쫓겨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등 뒤에서 자동차들이 경적을 울리며 무서운 속도로 다가오기도 했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가뜩이나 복잡한 도로에서 자전거가 차로 하나를 잡아먹는다’며 언짢아하는 것 같았다.

자전거도로에 주차해 있던 차들이 차도로 나가기 위해 불쑥 차 머리를 들이밀기도 했다. 자전거와 자동차가 부딪치는 사고가 나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차로로 쫓겨난 라이더들은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보기 위해 수시로 고개를 돌려 경계해야 했다. 한 시민은 택시를 잡기 위해 차량들이 주차된 자전거전용도로에서 도로 쪽으로 갑자기 튀어나왔다. 결국 전방을 제대로 못 본 자전거 한 대가 이 시민을 치고 말았다.

서씨는 “이 지역에 자전거도로가 없었다면 자전거 라이더들이 여기에 오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자전거도로에서 자전거를 타러 왔는데 막상 자전거도로는 주차장이 돼 있으니 이렇게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마트가 자기 땅처럼…”

같은 날 마포구 상암동 평화공원 인근 대형 마트 주변의 자전거도로는 사정이 더 심각했다. 마트로 들어가는 물건의 상·하차를 위해 대형 트럭들이 수시로 자전거도로를 점거했다. 이들 트럭에서 내려져 적재된 화물들은 인도를 점유하고 있었다. 서씨는 “자전거도로가 제 기능을 전혀 못하고 있다. 대형 마트가 공공재인 자전거도로를 당연하다는 듯 자기 땅처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의도와 잠실의 자전거도로도 사정이 비슷했다. 유동인구가 많은 여의도와 잠실에선 노점상과 택시가 곳곳에서 자전거도로를 차지하고 있었다. 최근 출근 시간대에 여의도 국회의사당 인근 자전거도로에 나가봤다. 아침을 거른 직장인에게 샌드위치를 파는 트럭이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었다. 같은 날 퇴근 시간대엔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는 다코야키(문어구이) 판매 트럭이 불을 환하게 밝힌 채 샌드위치 트럭이 있던 자리를 물려받아 영업 중이었다.

여의도 업무지역 한가운데의 자전거도로는 택시 승차장이나 다름없었다. 오후 7시 지하철 여의도역 5번 출구 앞 자전거도로엔 택시 5대가 나란히 줄을 지어 퇴근하는 직장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동호인 서씨는 “자전거도로는 구청이 수시로 관리·통제해야 하는데 모른 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영등포구청 건설관리과 관계자는 “오전·오후에 한 번씩 불법 노점상 점검을 하고 이후엔 신고가 들어오면 나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노점상만 쫓아낸다. 총괄은 우리가 아니라 교통행정과”라고 말했다.

자전거도로 무단 점거가 제대로 단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곳에 정차된 차량과 노점상을 직접 신고해보기로 했다. 일요일, 여의도 금융감독원 맞은편 여의도공원 인근 자전거도로엔 음식을 파는 트럭과 승용차가 줄줄이 주차해 있었다. 그러나 순찰차에 탄 경찰은 관심이 없다는 듯 물끄러미 지켜보기만 했다. 오후 2시쯤 서울다산콜센터(120)에 신고했다. 얼마 뒤 ‘영등포구 당직실에 긴급 접수됐다’는 알림문자가 왔다. 이어 3시간쯤 지나 ‘처리됐다’는 답변이 왔다.

1/2
나태용 | 고려대 정보통계학과 4년 ko004204@naver.com
목록 닫기

목숨 걸고 타든지 인도로 뛰어들든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