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맛나고 다양한 길거리 음식이 오감을 자극한다. 길거리에서 판다고 정크푸드가 아니다.
- 좋은 재료로 정성껏 만들어낸 음식이 적지 않다. 눈요기로도 즐겁고 한 끼 식사로도 거뜬하다.





2 관광객들은 쇼핑백을 들고 있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선호한다.
3 인증샷을 찍는 관광객.
4 더위를 식혀주는 슬러시.
5 즉석에서 만들어주는 음식이라 식감이 살아있다.

2 명동 길거리음식 노점은 오후 11시까지 영업하며 철마다 메뉴가 바뀐다.
길거리 음식 in Seoul
‘오감 만족’
글·조영철 기자, 사진·출판사진팀
입력2015-07-24 15:02:00
[김세연의 다른 관점] 불타는 지구, 모두가 알지만 회피하는 위기
김세연 前 국회의원
“불미스러운 사고와 경영환경의 급격한 악화로 창사 이래 어느 때보다도 도전적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수익성과 성장성이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명확히 재편하겠다.”10월 GS건설의 새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된 허윤…
나원식 비즈워치 기자
‘메가 서울’은 미풍에 그칠까. 그럴 수도 있다. 내년 총선만 놓고 보면 그럴 개연성도 있다는 얘기다. 멀리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훗날의 정치사가(史家)들은 2023년을 어떤 변곡점으로 기록할지도 모른다. 지방자치제 부활 이래 분…
고재석 기자
트로트 가수가 아닌 작가이자 심리학자가 매거진동아 채널 ‘김지영의 트롯토피아’ 시리즈에 게스트로 출연했습니다. 최근 ‘영웅앓이’라는 책을 낸 김은주 교수가 그 주인공입니다. 신간 ‘영웅앓이’(박영사)를 쓴 저자로 기자와 마주한 심리학자 김은주 작가는 임영웅을 언급할 때마다 양 볼이 발그레해지고 입꼬리가 올라갔습니다. 김 작가도 지금 임영웅에 빠져 있습니다. 임영웅은 2020년 트로트 경연프로그램 ‘미스터트롯’에서 진(眞)으로 뽑힌 후 전국적으로 ‘영웅앓이’ 신드롬을 일으킨 주인공입니다. 김 작가는 임영웅의 덕후가 된 우연한 사연과 그를 좋아하며 달라진 삶의 변화, 왜 임영웅에게 그토록 많은 이가 열광하는지를 심리학자의 관점에서도 자세히 풀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