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컬러 골프공 대히트’문경안 볼빅 회장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2/2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문경안 회장은 지난 10월 초 미국을 방문해 미국여자프로골프협회(LPGA)의 2부 투어에서 10등까지 풀시드 출전권을 딴 선수들을 후원하는 ‘볼빅 레이스 포 더 카드’ 상을 수여했다.

골프공의 비거리는 우선 반발력에 좌우된다. 헤드 스피드가 빠를수록 반발력이 커진다. 헤드 스피드가 느린 여성의 경우 압축강도가 80(일반적으로 푸른색 번호 사용), 아마추어는 90(빨간색 번호), 프로선수는 100(검은색 번호) 정도가 적합하다. 딤플은 공을 잘 뜨게 하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딤플 지름이 길수록 공을 띄우기에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사용하는 공의 딤플은 392개, 여성은 그보다 딤플 수가 적은 게 좋다. 또 공의 커버가 너무 부드러우면 스핀이 많이 먹혀 비거리가 감소하므로 자신에게 맞는 강도를 골라야 한다.

‘세계 톱 브랜드로 비약할 것’

경남 김천 출신인 문 회장은 무역회사를 그만둔 뒤 1999년부터 철강 도매회사인 비엠스틸을 운영해왔다. 이 회사의 연매출은 500억 원대다. 그러다 2009년 한 지인의 권유로 적자에 허덕이던 볼빅을 인수하면서 그는 사업에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문 회장이 인수할 당시 중·저가의 골프공을 생산하던 볼빅은 연간 매출액 30억 원, 시장점유율 3%에 불과했지만 이후 3년 만에 프리미엄 공을 생산하는 업체로 바뀌었다.



“왜 타이틀리스트 공보다 싸야 합니까? 질 좋은 공 만들면 되잖아요.”

볼빅은 지난해 연매출 230억 원, 시장점유율 30%를 달성했다. 전국 골프장의 홀인원 이벤트와 여러 골프대회 개최, 장정 이일희 최운정 등 프로 선수 후원으로 인지도를 높여왔다. 무엇보다 고품질 컬러 공에 대한 입소문이 퍼지면서 볼빅의 브랜드 가치는 지금 고공행진 중이다.

“볼빅을 인수한 뒤인 2009년 11월 어느 저녁에 흰 공을 갖고 라운드를 한 적이 있어요. 그런데 공이 잘 보이지 않았어요. 그래서 야간에도 잘 보이는 색깔의 공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에 노란색에다 형광물질을 입혀서 제조했더니 흰색보다 3배는 더 잘 보이더군요. 이거다 싶었습니다.”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당시만 해도 컬러 공은 흥미 위주로 제작된, 저가용품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그는 역발상으로 고품질, 고가의 컬러 공을 제작해 큰 호응을 얻게 된 것이다. 특히 캐디들이 좋아해 ‘캐디 입소문’도 매출 신장에 큰 도움이 됐다. 플레이어마다 다른 색깔을 쓰기 때문에 공을 쉽게 찾을 수 있어 경기 진행도 훨씬 빠르다는 것이다. 볼빅은 현재 13개의 세계 특허를 보유할 만큼 기술력도 자랑하고 있다.

문 회장은 늘 아이디어가 넘치는 사람이다. 골프 내기용 뽑기통을 제작해 골프장에 무료로 배포하거나 볼빅 TV 광고 기획도 직접 했다. 10월 초 그는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해 미국 수출 길을 열었다. 미국여자프로골프협회(LPGA) 로라 디아즈 등 15명의 선수가 이미 볼빅 공을 사용하는 등 현지 반응도 좋은 편이다.

“스포츠 실력과 산업은 함께 발전합니다. 쇼트트랙과 양궁의 경우 국내 중소기업이 세계 최고 브랜드 경기용품을 제작하고 있어요. 지금 국내 골프 선수들의 실력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조만간 국내 골프산업도 세계적인 브랜드를 육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11년 문 회장은 문화관광부로부터 골프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스포츠산업대상을 받았다. 볼빅을 세계 톱 브랜드로 올려놓겠다는 꿈을 갖고 있는 그는 지난 5월 경기 안성에 4만 평(약 13만2000㎡)의 부지를 확보해 제2공장 건설을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공장이 완성되는 2014년이면 볼빅은 연간 300만 더즌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의 유명한 시사만화가 프랭크 타이거는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게 자유이고, 하고 있는 일을 좋아하는 것이 행복이다”라고 말했다. 문 회장은 좋아하는 골프를 하며, 그것을 일로써 즐기니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가.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신동아 2012년 11월호

2/2
글·정현상 기자 doppelg@donga.com 사진·조영철 기자
목록 닫기

“逆발상 하니 성공이 보이데요”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