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별책 부록 사진집

100년전 한국

  • 편집기획·진행: 황일도

100년전 한국

1/2


100년 전의 사진을 보고 읽는 것은

빛 바랜 옛 사진을 보면 누구나 기억을 되살리려 애쓰게 된다. 언제였을까, 어디였을까, 함께 사진을 찍은 그 사람은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 여기 100년 전 한반도 곳곳을 담은 사진들이 있다. 세월은 사진을 역사적인 유물로 만들었고, 후세의 우리는 이 사진들을 단순히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읽어내야만’ 한다.

생생한 사진자료는 그 특성상 문자로 된 기록이 미처 알려주지 못하는 부분을 이야기해주곤 한다. 그 시대를 살아간 이들의 복장이며 표정, 배경과 풍광이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그것이 사진의 ‘기록성’이다. 사진을 한 장 한 장 들여다보며 ‘읽는’ 일이 한가한 날의 소일거리에 그치지 않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한말 우리 선인들의 일상이나 고적, 풍경, 풍속을 담은 사진들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 외국인, 특히 서양의 외교관이나 여행자, 기자, 선교사들이 기록을 남기기 위해 찍은 사진들이다. 식민지 지배를 준비하던 일본인들이 한국의 사정을 조사하기 위해 찍은 것도 있다.



1860년대 이후 외국에 나갔던 한국인이 초상사진을 찍기도 했지만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1880년대 초에 이르러 개화에 관심을 갖고 있던 몇몇 인사가 직접 사진을 찍은 경우도 있지만 역시 대중화되지는 못했다. 따라서 지금 남아 있는, 한 세기 전 한반도의 땅과 사람들을 찍은 사진은 대부분 외국인의 손으로 촬영되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번에 ‘신동아’가 공개하는 사진들은 본래 일본인이 보관하던 개인 사진첩에 담겨 있던 것이다. 사진 속 곳곳에 드러난 단서를 종합해보면 대한제국 시기, 특히 1906~10년에 찍은 사진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1880년대 풍경을 담은 사진도 일부 눈에 띄는데 그 중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일본에 소개된 사진도 있는 듯 하다.

일본에서는 한국에 관련된 사진화보집을 개항 이후 일찍부터 간행했다. 풍속이나 생활상을 담은 사진들 가운데는 연출된 작품도 없지 않았다.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간행된 한말 사진집은 대개 이 무렵 일본에서 출간한 사진집을 재편집한 것이다. 예컨대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와 ‘사진으로 보는 근대한국’(서문당, 1986) 같은 경우다. 서양인이 찍은 사진들을 정리한 것도 있다. ‘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가톨릭출판사, 1986/1997)’ 같은 책이다.

‘신동아’가 펴내는 이 화보집에 수록된 사진은 상당수가 처음 공개되는 것이지만, 풍속이나 생활상을 담은 사진 가운데 몇몇은 앞에서 열거한 사진집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한 사진 가운데 일부는 혹 사진엽서로 만들어지지 않았나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 공개된 사진이라고 해서 일부러 제외하지는 않았다. 100년이 지난 지금에는 어느 쪽이 원본인지 확인하기도 어렵거니와, 당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이해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진은 모두 180장 내외로, 고적·풍경, 풍속·생활, 인물·사건 관련으로 분류했다. 전국 각지의 고적과 풍경사진이 상당부분을 차지해 120점, 그 가운데 서울의 고적과 풍경을 담은 사진이 30점이다. 본 사진집에서는 이들을 재구성해 총 5부로 나누었다.

1900년대에 촬영된 사진 속 풍경이 1910년대, 심지어는 1930년대 한반도의 풍경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에 의아해하는 분도 있을 것이다. 우리 농촌사회에 근대화 바람이 분 것은 1960년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부터였다는 사실, 또 외국인의 눈은 언제나 이국의 토속적인 풍경에 초점을 맞추게 마련이라는 점이 답이 될 것이다.

각각의 사진에 부가한 설명은 여러 서적을 참고·인용한 것이다. 특히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1991년 발행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크게 의존했다. 혹시라도 부정확한 내용이 있다면 독자의 지적을 달게 받고자 한다.

1/2
편집기획·진행: 황일도
목록 닫기

100년전 한국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