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아’도 2005년 6월호에 ‘고지혈증, 기름청소로 뿌리뽑자’는 제목의 권말부록을 펴냈다. 심근경색증이나 고혈압, 당뇨병의 원인인 고지혈증을 테마로 잡고, 권위자들을 필진으로 내세워 호평을 받았다. 어떤 병원에서는 그 부록을 별도 책자로 제작해 안내서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봤다.
나는 그 책자를 읽고 만시지탄(晩時之歎)의 감회에 젖었다. 그동안 거의 ‘무지의 경지’에서 돌연사의 위험을 안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건강에 너무나 무지했던 나 자신에 대한 반성이 이 글을 쓴 동기라면 동기다.
나는 지금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다. 천우신조로 회생치 못했더라면 이 세상 사람이 아닐뿐더러 이 글 또한 쓸 수 없었을 것이다.
2004년 6월19일. 광주에 거주하는 고향 친구들의 모임날이었다. 경남 양산 통도사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일행은 오전 8시경 관광버스에 몸을 싣고 남해고속도로를 달렸다. 사천휴게소에 들러 주최측이 마련한 참깨죽 등 음식을 배불리 먹고 목적지를 향해 가던 중 심한 통증에 시달렸다. 속이 메슥거리고 현기증마저 이는 것이었다. 갑자기 화장실에 가고 싶었다.
지병인 어지럼증이 또 시작되는구나 싶었다. 바깥바람을 쐬고 화장실에 다녀오면 증세가 호전될 것 같아 황급히 운전기사를 찾았다.
“기사 양반, 차 좀 세워야겠소.”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는 이런 경우를 두고 생겨난 말 같았다. 이윽고 버스는 속도를 늦추며 진영휴게소로 접어들었다. 나는 버스가 멈추기도 전에 몸을 일으켜 내릴 준비를 했다. 급히 몸을 일으키자, 잦아지려던 어지럼증이 심하게 일었다. 그럴 때는 곧바로 주저앉거나 옆 사람의 부축을 받아야 하는데, 버스가 멈추자마자 황급하게 승강구로 내려선 게 불찰이었다. 정신없이 화장실을 향해 발걸음을 옮기다 말고 넘어진 듯싶은데, 그후의 일은 전혀 기억이 없다.
정신이 들고 보니, 나는 병원 응급실에 누워 있었다. 팔에는 링거가 꽂혀 있고 광대뼈 부위가 매우 아팠다. 손으로 환부를 쓰다듬자 광대뼈 부위는 으스러지고 심하게 부어 있었다. 침상 주위에는 통도사 탐방을 포기한 친구들이 근심스러운 얼굴로 서 있었다. 벽에 걸린 벽시계로 시선이 갔다. 오후 2시였다. 진영휴게소에 도착한 시각이 10시 30분경이었으니 3시간 30분 동안이나 정신을 잃고 있었던 모양이다. 친구들은 반색을 했다.
“친구야, 괜찮냐? 꼭 죽는 줄 알았지 뭐냐. 넌 두 세상을 사는 줄 알아라.”
“내가 왜 이러고 있지?” 하는 내게 친구들이 당시 상황을 들려줬다.
맨 먼저 관광버스에서 내린 나는 10여 m 거리를 휘청거리며 걸었다. 그러더니 상체를 숙이며 주차장 광장 아스팔트에 얼굴을 박은 채 푹 고꾸라져버렸다. 화장실을 가기 위해 내 뒤를 따르던 친구들은 내가 돌에 걸려 넘어졌나 싶어 급히 달려와 엎어진 나를 일으켜 세우려 했다. 그런데 웬걸, 내가 입에 게거품을 문 채 완전히 의식을 잃은 게 아닌가.
“일 났다. 사람 살려!”
친구들의 외침을 듣고 휴게소에 있던 여행객들이 모여들어 북새질쳤는데, 사람이 많다 보니 그중엔 응급 처치 전문가도 있었다. 소지한 수지침으로 손가락과 발가락을 따는 사람, 배 위로 올라타 심장 마사지를 하는 사람, 사지를 주무르는 사람…. 생판 모르는 사람들이었지만 모두 한마음으로 환자 구조작전에 팔을 걷어붙였다. 그러고는 119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차가 달려와 졸도한 나를 후송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