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방송예술대학은 1997년 ‘방송문화산업을 선도할 정예 방송인력 양성’을 목표로 개교했다. 개교 당시 이름은 동아방송전문대학. 이듬해 교명(校名)을 동아방송대학으로 바꿨으나, 최근 방송제작뿐 아니라 방송연예 및 예술 분야 학과 비중이 높아진 것을 반영해 개교 10주년을 맞는 올 초 동아방송예술대학으로 새출발했다.
학교에 들어서자, 최근 치러진 KBS 개그맨 공채 시험에 합격한 재학생들의 이름이 적힌 현수막이 먼저 손님을 맞는다. 여느 대학이라면 그 자리에 각종 고시 합격자 명단 또는 대학평가 순위와 취업률을 내세운 현수막이 펄럭이고 있었을 것이다. 이 대학이 방송 분야에 꿈을 가진 젊은이들이 모여 있는 대학임을 입구에서부터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동아방송예술대학은 1998년 처음 방송특성화대학으로 선정된 이후 지난해까지 계속해서 방송특성화대학으로 선정됐다.
대학 캠퍼스는 언제나 싱그럽다. 녹음이 짙어져가는 동아방송예술대학의 캠퍼스는 더 그랬다. 화려하되 요란하지 않고, 풍성하되 난삽하지 않은 조경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대학 건물들을 아늑하게 에워싸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눈길을 끈 것은 인조잔디구장이다. 본관 앞에 펼쳐진 잔디구장에서 편을 갈라 축구하는 학생들의 함성이 캠퍼스 구석구석 생기를 불어넣고 있었다.
광고홍보계열 정은경 교수에 따르면 ‘학교는 재미있어야 한다’는 게 이 학교의 기본 철학이다. “지방 대학에 다니는 학생 대부분이 수업만 듣고 학교를 떠나는데, 장차 ‘방송’ 일을 할 학생들이라면 학교에서 ‘즐거움’을 경험해봐야 즐거움을 창조해낼 수 있지 않겠냐”는 이야기다. 학교 조경에 남달리 신경을 쓰는 것도, 인조잔디구장을 마련한 것도 그저 보기만 해도 즐거운 학교를 만들고,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든 즐겁게 놀아보도록 멍석을 깔아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동아방송예술대학은 방송국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학생의 잠재된 끼가 흘러넘치도록 자극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다. 방송사 사장 출신의 하영석 동아방송예술대학장은 “웬만한 공중파 방송사에 버금가는 종합스튜디오와 주조정실, HD카메라를 비롯한 각종 방송장비와 송출장비까지 갖춰 가끔은 대학이 아니라 방송사에 근무하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고 말한다.
“기본기가 돼 있다”
대학 관계자의 안내를 받아 들어간 종합TV스튜디오에선 마침 영상제작계열 학생들의 ‘카메라워크’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무대 위에선 학생들이 돌아가며 스테디 카메라를 몸에 부착한 채 이동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크레인에 카메라를 매달고 촬영하는 지미집(Jimmy Jib)을 작동하고 있었다. 종합TV스튜디오는 3대의 디지털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 카메라와 1대의 스탠더드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초대형 스튜디오로 쇼, 드라마, 연극 등 규모가 큰 제작실습이 가능하다. 종합TV스튜디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조정실에는 디지털 스위처, 디지털 영상 효과 장비(DVE), 문자발생기, 편집기가 연결돼 있다.
“손에 힘주지 말고, 모니터 보고, 왼발, 오른발….”
스테디 카메라 워크를 지도하는 장병민 교수는 KBS 영상제작국에서 ‘미녀들의 수다’ ‘윤도현의 러브레터’ ‘낭독의 발견’ 등을 제작하고 있는 ‘현역’이다. 장 교수는 “동아방송예술대학 시스템이 웬만한 외주제작사보다 나은 수준”이라며 “제작실습 환경은 최상”이라고 평했다. 1998년부터 이 대학에서 강의한 장 교수는 “졸업 후 방송국에 진출한 제자들이 촬영, 음향, 편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데, 대체로 ‘기본기가 돼 있다’는 평을 듣는다”며 뿌듯해했다.
종합TV스튜디오의 절반 규모(45평)로 시트콤, 간담회, 뉴스 등을 제작실습하는 소형 스튜디오는 모두 4개인데, EFP카메라와 크로마키 보드가 있어 화상합성을 통한 생동감 넘치는 화면 연출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