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⑦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비결

  •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비결

1/5
  • 누군가 “나는 행복한 사람입니다”라고 말하면 대부분은 “에이~ 설마” 하는 반응을 보인다. 돈도 없고, 얼굴도 별론데 뭐가 그렇게 행복할까 싶다. 그런데도 행복하다니 그 비결을 들어볼 만하다. 대체로 그들은 소소한 행복을 자주 느낀다. 가족과 마주 앉아 밥을 먹을 때, 퇴근해서 아이들과 포옹할 때, 동네사람들과 소주 한잔할 때…. 그렇다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까. 작은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리추얼’을 만들면 된다.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비결
우리집에는 반지하 작업실이 있다. 그곳에서 아이들이 새벽에 피아노를 쳐도 아무도 뭐라 하지 않는다. 봄이면 봄, 가을이면 가을, 계절이 바뀔 때마다 유난한 계절병을 앓는 나는 슈베르트의 가곡을 틀어놓고 목이 쉬도록 따라 부른다. 가끔 브람스 교향곡을 귀가 얼얼하도록 볼륨을 높여 듣고 멍하니 앉아 있기도 한다. 출력이 떨어지는 빈티지 진공관 오디오지만 바닥으로 전해지는 베이스음이 장난이 아니다.

어두운 지하방에 앉아 작은 백열등만을 켜고 앉아 창밖만 보고 있는 나를 아내는 매번 못마땅해 한다. “도대체 그놈의 생리는 한 달에 몇 번이나 하는 거냐! 이젠 폐경기가 될 때도 되지 않았느냐”고 그런다. 그렇다. 남자에게도 나이가 들면 폐경기가 온다. 영혼의 폐경기. 크흐, 영혼의….

창밖으로 모과나무와 새가 보이는 집

내 아내는 몸도 튼튼하지만 마음은 더 튼튼하다. 도무지 계절과는 관계없는 동남아시아적 삶을 산다. 가끔 몬순바람이 불며 세찬 소나기가 올 때도 있지만 그건 잠시다. 그때만 피하면 된다. 바로 그친다. 그러다 보니 계절이 바뀔 때마다 매번 우울하다며, 인생이 허무하다며, 입맛이 없다며, 쫓아다니면서 맛있는 저녁 해달라는 나를 정말 감당하기 힘들어한다. 그러나 계절은 타라고 있는 거다. 그렇지 않다면 사계절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

함께 아침방송에 출연한 후, 커피를 마시며 천하장사 이만기가 그랬다. 자기는 가을이면 낙엽 타는 냄새를 꼭 맡아야 한다고. 차 몰고 볏단 타는 곳을 일부러 찾아다닌다고 했다. 안 그러면 부인에게 꼭 짜증내게 된다고 그랬다. 세상을 뒤집어엎던 천하장사도 그러는데, 소심하고 귀 얇고, 뒤끝 긴, 나 같은 사람이 어찌 계절 변화에 무심하겠는가. 이런, 이야기가 딴 데로 샜다. 좌우간 우리집은 남 눈치 안 보고 음악도 듣고, 아이들이 쿵쿵거리며 뛰어도 돼 좋다.



가을 햇살 좋은 날은 정말 예쁜 새가 날아와 창밖의 모과나무 위에 앉아 있기도 한다. 그 뒤의 작은 언덕에는 꿩 식구가 자주 놀러 온다. 후다닥거리는 소리가 나 올려다보면 어미 꿩이 새끼들을 데리고 언덕을 기어올라간다. 우리집은 아주 먼 시골의 전원주택이 아니다. 우리는 분당과 용인 사이에 있는 산언저리에 산다. 다들 우리집을 부러워해, 서울의 30평대 아파트를 포기하면 언제든지 이런 생활을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곤 한다. 그러면 다들 당장 이사 올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그런 결정을 내린 사람은 아직 아무도 없다.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비결

형제약수터 앞에서 즐거워하는 필자의 둘째아들.

일상의 불편함을 감수할 자신이 없는 거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등하굣길이 문제다. 고속도로 때문에 분당에 있는 학교에 가기가 쉽지 않다. 매일 아침 우리 부부가 번갈아 아이들을 학교에 데려다줘야 한다. 내 아침 강연과 아내의 1교시 수업이 겹칠 때면 상황이 아주 복잡해진다. 처남이나 장인이 출동하기도 한다. 밤에 큰아이가 학원에 다녀올 때도 마찬가지다. 매번 데리러 가야 한다.

‘형제약수터’에 가면 ‘행복물’이 나온다

근처에 변변한 쇼핑센터나 장볼 곳도 없다. 분당이나 용인으로 장보러 가야 한다. 그러나 이런 불편함 때문에 지금 살고 있는 집을 포기할 생각은 전혀 없다. 집값도 전혀 오르지 않고, 매매도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반상회 때마다 이웃들은 걱정이 많다. 그러나 어느 광고처럼 ‘집은 사는 곳이지, 사는 것’이 아니다. 내가 계속 그곳에 살 생각이라면 집값이 아무리 많이 올라도 나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이다.

최근 내게 지금의 이 집을 사랑하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생겼다. 다른 곳에서는 이뤄질 수 없는 아이들과의 특별한 일 때문이다. 집 뒤로 두 시간 정도 걸리는 등산로가 있다. 사실 등산이라고 하기엔 좀 뭐하다. 그렇다고 산책로라고 하기엔 땀이 제법 많이 나오는 길이다. 숲도 꽤 깊어 어두컴컴한 길이 계속된다. 가을에 송이버섯을 따러 오는 사람들 빼놓고는, 2시간 내내 사람을 거의 볼 수 없다.

1/5
김정운 명지대 교수·문화심리학 entebrust@naver.com
연재

김정운 교수의 ‘재미학’ 강의

더보기
목록 닫기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비결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