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호

악플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

  • 류현정 / 전자신문 기자 dreamshot@etnews.co.kr

    입력2008-10-29 16:3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악플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
    초년병 시절 기자도 엄청난 악플 공세에 놀란 적이 있다. 모 게임업체의 보도자료를 기사화한 게 화근이었다. 당시 그 업체의 잘못된 업데이트로 불만이 많았던 사용자들은 별 관계없는 짧은 기사에도 강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최진실씨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국민에게 충격을 줬다. 오뚝이처럼 언제나 다시 일어날 것만 같았던 그가 악플에 무너져내린 것을 보면서, 악플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악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걸 새삼 느낀다. 현대인은 누구나 악플에 노출돼 있고 또 피하기도 힘들다. 미국 UCLA대 조사는 10대 청소년 4명 중 3명이 최근 1년 내 1번 이상 온라인에서 욕설·모욕·비밀번호 도용 등을 당했음을 보여준다.

    지피지기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라 했다. 먼저 악플러의 정체부터 알아보자. 비중으로는 극히 낮다. 네티즌 중 뉴스에 댓글을 다는 사람 자체가 별로 없다. 2006년 3월 네이버 자체 조사에 따르면 뉴스 댓글족은 전체 이용자의 1%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2006년 2월 발표에선 한 달 동안 한 번이라도 댓글을 쓴 회원이 0.8%였다. 그러나 댓글족 중 악플러 비중은 높다. 지난해 SK커뮤니케이션즈는 총 참여자 2636명 중 420명(16%)이 “악플을 달아본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고 발표했다. 악플러들은 주로 연예인이나 유명인을 비난함으로써 자신의 우월감을 확인하고 순간적으로 만족감을 얻는다.

    교훈은 두 가지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대부분의 사람은 댓글을 달지 않는다. 따라서 댓글에서 보이는 비방에 대해 잘 모르거나 신경 쓰지도 않는다. 둘째, 그러나 그 한 줌도 안 되는 소수가 전체 댓글 여론을 좌지우지한다. 혹자는 포털 댓글 시스템을 ‘공중화장실’이라고 평한다. 댓글 여론은 올바르게 형성된다고 볼 수 없고 한 쪽으로 치우치기 쉽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악플 대응 요령도 익혀두자. 우선 감정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 전문가들은 악플 내용을 자꾸 생각하면 우울감이 생기므로 과감히 무시하라고 조언한다. 그래도 악플게재 행위를 멈추지 않을 때는 “당신과의 대화를 원치 않으며 상세한 내용을 수사기관에 알리겠다”고 경고한다. 악플을 캡처해 저장하고 발생 경위를 기록해두는 것도 필요하다.



    문제 해결을 위해 꼭 복잡한 민형사 소송을 거쳐야 하는 것도 아니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불법유해정보신고센터에 연락하면 주요 포털·언론·경찰청으로 이뤄진 핫라인을 통해 ‘퍼나르기’에 의한 명예훼손 게시물 확산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청소년을 위한 유해정보 신고전화 1377도 운영 중이다. 지난해엔 사이버명예훼손분쟁조정부(www.bj.or.kr)도 생겼다. 온라인상의 명예훼손·모욕·성폭력·스토킹 등 권리 침해에 대한 상담 및 분쟁을 조정한다. 여기선 가해자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경찰청은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테러대응센터(www.netan.go.kr)를 운영하고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