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년 5월 준공한 연산 150만t 규모의 파이넥스 공장. 2007년 11월19일 정준양 포스코 사장(왼쪽)과 이은 당시 해양수산부 차관이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악수하고 있다(작은사진).

올 6월 광양제철소에 설치한 1㎿급 태양광 발전 설비.
해중림은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₂)와 영양염 등을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해 지구환경을 개선할 뿐 아니라 어·패류의 산란장, 보육장, 서식장 및 은신처 구실을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 온도의 상승, 성게 등 해조류를 먹는 생물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이용가치가 없는 무절석회조류(無節石灰藻類)가 대량으로 번식하고 유용한 해조류 군락이 소멸되는 갯녹음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갯녹음 현상은 지금까지 주로 동해안과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했으나 최근에는 전남 등 남해안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가적인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해중림 조성은 대상 해조류의 선정과 적정 이식 및 관리 등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고 수중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9월4일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 이구택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 공장 준공식이 열렸다.
슬래그는 철광석에서 철을 뽑아내고 남은 돌로, 칼슘과 철 함량이 일반 자연 골재에 비해 월등히 높고 해조류와 식물 플랑크톤 증식을 촉진하는 친환경 소재다. 반면 일반 골재는 부존량이 많지 않은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포스코는 슬래그를 활용해 바다가 사막화되는 것을 막아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어민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는 셈이다.
탄소정보 공개에 적극 참여
포스코의 이런 노력은 최근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이하 CDP)에서도 공인됐다. CDP 한국위원회(위원장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가 10월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빌딩에서 가진 6차 CDP(CDP6) 한국 보고서 발표 및 7차 CDP(CDP7) 출범식에서 포스코는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와 함께 기후변화 리더 기업으로 선정됐다.
CDP 한국위원회는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독자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올해 설립된 기구. 위원회는 올해 초 시가총액 기준 50대 기업을 상대로 설문을 보내 16개 기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위원회 양춘승 상임 부위원장은 “응답률은 낮지만 그래도 한국이 처음 독자적으로 CDP6을 수행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위원회의 CDP 평가에서 포스코는 단연 돋보였다는 후문. CDP6에 참여한 환경 경영 전문 컨설팅업체 에코프런티어(주) 임대웅 상무는 “포스코는 온실가스 저감 목표와 관련 조직이 있는 데다 탄소정보 공개 수준이나 파이넥스 등 혁신기술 개발 노력도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부생가스를 활용해 발전(發電)을 하는 등 기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노력도 좋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한 CDP는 전세계 대형 금융기관과 기관투자가들의 지원을 받아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나 기후변화 대응 전략 등의 정보를 요구하고 그 답변을 정리해 공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자 글로벌 이니셔티브. 2000년 설립돼 2003년부터 CDP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CDP 정보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해당 회사의 리스크나 사업 기회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연히 국제적인 대형 투자기관들은 CDP 정보를 투자나 대출 등을 하기 위한 판단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기업에 큰 ‘압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투자자들이 온실가스 배출 정보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마당에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 대응하지 않을 배짱 좋은 기업은 별로 없을 것이다.
포스코는 CDP 한국위원회가 발족하기 전인 2003년부터 CDP에 참여해왔다. 특히 2006년에는 탄소정보 공개 리더십 지수(CDLI) 기업에 선정됐다. CDLI 기업은 CDP가 받은 탄소배출 정보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잘 짜여 있는지’(25점), ‘회사의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이 얼마나 반영되는지’(10점) 등을 평가해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