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환 추기경은 은퇴한 1998년부터 10년간 신학교 뒤편에 있는 혜화동 주교관에 머물렀다. 그곳에서는 은퇴한 신부와 특수 사목 담당 신부들이 지낸다. 3분쯤 걸었을까. 대학본부 뒤편으로 한적한 산책로가 보인다. 이름하여‘목자(牧者)의 길’. 선하게 생긴 참나무와 낙엽 덕분인지 마음이 정돈된다.
“제가 감히 그분의 신학적 사상에 대해서 어떻게 얘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혹시나 누가 되자는 않을지 염려되기도 하고…. 그래도 그분 말씀과 신학적 배경에 대해서는 신학을 가르치는 후학들이 뭔가를 하긴 해야 할 텐데…. 그분은 전문 신학자라기보다는 실천가, 가톨릭 용어로는 ‘사목자’였습니다. 그분에 관한 전집이 17권 출판되었는데, 그것을 꼼꼼히 읽어봐야 그분의 신학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얘기할 수 있겠지요.”
산책로를 거닐던 그는 몇 번이나 막막하다고 말했다. 그의 얼굴에 애잔함이 묻어났다.
“여기로 자주 산책 나오고 그러셨어요. 신학생들도 감동스러웠다고 해요. 나이 들어도 저렇게 기도하는 사제가 되어야겠다고…. 저는 그분을 여러 번 뵙긴 했지만 잘 안다고 하기는 어렵지요. 그분께 사제서품을 받고, 세배도 드리러 가고, 제 영명(세례명)축일 때마다 축하전화도 받기는 했지만… 그렇게 많은 대화를 나누진 못했어요. 늘 말없이 격려해주시는 아버지 같은 분이죠, 그분은.”
그는 자신의 블로그(cyworld.com/ beneson)에 이렇게 적어놨다.
“하느님의 사람인 김수환 추기경은 그 존재만으로 힘이 되고 빛이 되었던 분입니다. 그와 같은 시대를 살았다는 것이 새삼 감사하고 고맙고 기쁩니다. 그가 떠난 자리가 너무 커서 가슴이 허전하지만, 이제 그 자리를 우리 각자가 조금씩이라도 채워야 할 것입니다. 비록 그처럼 큰 힘과 빛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서로에게 작은 힘과 빛이라도 되어야 합니다.”
추기경으로 임명된 이유
‘목자의 길’을 걷다 손 신부의 집무실인 교무처장실로 들어갔다. 저마다 손에는 1층 사무실 자판기에서 뽑은 커피와 김 추기경 관련 책들이 들려 있었다.
▼ 김 추기경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법정 스님과 같은 타종교 인사들과 절친하게 지내셨다는 건데요, 그분이 유난히 타종교에 관대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2000년 5월에 김 추기경님께서 독립운동가인 김창숙 선생을 기리는 심산상을 수상한 데 대한 답례로 그날 선생의 묘소에 절을 하신 적이 있어요. 추기경님은 훌륭하게 살다 가신 분에게 존경의 예를 표하는 건 당연하다고 보셨던 거죠. 참배를 유교식으로 하든 불교식으로 하든 중요치 않다고 하셨습니다.
타종교에 대한 개방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신학적 사상이기도 합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16장을 보면 이렇게 적혀 있어요. ‘자기 탓 없이 그리스도의 복음과 그분의 교회를 모르지만 진실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찾고 양심의 명령을 통하여 알게 된 하느님의 뜻을 은총의 영향 아래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영원한 구원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믿지 않는다고 무조건 지옥에 간다’는 것에 우리는 더 이상 동의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