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故김수환 추기경 추모 특집

‘바보 철학’의 신학적 조명

“나는 깨닫지 못하고 사는 바보 내 삶을 미화하지 말라”

  • 이혜민│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behappy@donga.com│

‘바보 철학’의 신학적 조명

1/3
  • 김수환 추기경 추모 기사가 쏟아져 나왔다. 어린 시절, 주교 시절, 추기경 시절, 은퇴 시절을 회고하는 기사들…. 그러나 그의 신학에 관한 기사는 찾을 수 없었다. 뚜렷한 신학관이 없었던 것인지, 아니면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그분의 신학이 어려운 것인지…. 그래서 수소문해보니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의신학 교수인 손희송 신부를 만나보라고들 했다. 언뜻 가톨릭청년성서모임에서 재미나게 성서를 말씀해주시던 사제의 얼굴이 스쳤다. 다시 만나니 그분이다. 좋아했던 담임선생님을 우연히 만난 마음으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바보 철학’의 신학적 조명
햇살이 좋은 3월 어느날, 혜화동 신학교(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에서 손희송 신부가 악수를 청한다. 따뜻하고도 굳센 손이다. 반가운 눈인사를 나눈 것도 잠시, 김수환 추기경이 생전에 자주 거닐었다는 산책로를 가보고 싶다고 하자, 손 신부는 선뜻 “여기서 가깝다”며 발걸음을 옮긴다.

김수환 추기경은 은퇴한 1998년부터 10년간 신학교 뒤편에 있는 혜화동 주교관에 머물렀다. 그곳에서는 은퇴한 신부와 특수 사목 담당 신부들이 지낸다. 3분쯤 걸었을까. 대학본부 뒤편으로 한적한 산책로가 보인다. 이름하여‘목자(牧者)의 길’. 선하게 생긴 참나무와 낙엽 덕분인지 마음이 정돈된다.

“제가 감히 그분의 신학적 사상에 대해서 어떻게 얘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혹시나 누가 되자는 않을지 염려되기도 하고…. 그래도 그분 말씀과 신학적 배경에 대해서는 신학을 가르치는 후학들이 뭔가를 하긴 해야 할 텐데…. 그분은 전문 신학자라기보다는 실천가, 가톨릭 용어로는 ‘사목자’였습니다. 그분에 관한 전집이 17권 출판되었는데, 그것을 꼼꼼히 읽어봐야 그분의 신학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얘기할 수 있겠지요.”

산책로를 거닐던 그는 몇 번이나 막막하다고 말했다. 그의 얼굴에 애잔함이 묻어났다.

“여기로 자주 산책 나오고 그러셨어요. 신학생들도 감동스러웠다고 해요. 나이 들어도 저렇게 기도하는 사제가 되어야겠다고…. 저는 그분을 여러 번 뵙긴 했지만 잘 안다고 하기는 어렵지요. 그분께 사제서품을 받고, 세배도 드리러 가고, 제 영명(세례명)축일 때마다 축하전화도 받기는 했지만… 그렇게 많은 대화를 나누진 못했어요. 늘 말없이 격려해주시는 아버지 같은 분이죠, 그분은.”



그는 자신의 블로그(cyworld.com/ beneson)에 이렇게 적어놨다.

“하느님의 사람인 김수환 추기경은 그 존재만으로 힘이 되고 빛이 되었던 분입니다. 그와 같은 시대를 살았다는 것이 새삼 감사하고 고맙고 기쁩니다. 그가 떠난 자리가 너무 커서 가슴이 허전하지만, 이제 그 자리를 우리 각자가 조금씩이라도 채워야 할 것입니다. 비록 그처럼 큰 힘과 빛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서로에게 작은 힘과 빛이라도 되어야 합니다.”

추기경으로 임명된 이유

‘목자의 길’을 걷다 손 신부의 집무실인 교무처장실로 들어갔다. 저마다 손에는 1층 사무실 자판기에서 뽑은 커피와 김 추기경 관련 책들이 들려 있었다.

▼ 김 추기경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법정 스님과 같은 타종교 인사들과 절친하게 지내셨다는 건데요, 그분이 유난히 타종교에 관대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2000년 5월에 김 추기경님께서 독립운동가인 김창숙 선생을 기리는 심산상을 수상한 데 대한 답례로 그날 선생의 묘소에 절을 하신 적이 있어요. 추기경님은 훌륭하게 살다 가신 분에게 존경의 예를 표하는 건 당연하다고 보셨던 거죠. 참배를 유교식으로 하든 불교식으로 하든 중요치 않다고 하셨습니다.

타종교에 대한 개방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신학적 사상이기도 합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16장을 보면 이렇게 적혀 있어요. ‘자기 탓 없이 그리스도의 복음과 그분의 교회를 모르지만 진실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찾고 양심의 명령을 통하여 알게 된 하느님의 뜻을 은총의 영향 아래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영원한 구원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믿지 않는다고 무조건 지옥에 간다’는 것에 우리는 더 이상 동의하지 않습니다.”

1/3
이혜민│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behappy@donga.com│
목록 닫기

‘바보 철학’의 신학적 조명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