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집중탐구 | 황우석 매머드 복제의 진실

황우석 박사 매머드 복제? “현재로서는 가능성 0%”

코요테 복제 발표 넉 달 지난 지금도 논문 발표 없어

  • 김유림 기자│rim@donga.com

황우석 박사 매머드 복제? “현재로서는 가능성 0%”

1/3
황우석 박사 매머드 복제? “현재로서는 가능성 0%”
2005년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건 이후 두문불출 하던 황우석 박사가 최근 다시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해 2월 리비아 사태 당시 교민 탈출 행렬 속에 섞여 있어 화제가 된 데 이어 10월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함께 복제 코요테를 공개한 것. 올 초에는 박상규 전 국회의원 회고록 출판기념회에 참여해 “줄기세포 논문 사건 이후 6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많은 사람 앞에 선다”며 “사회에 진 빚을 갚고자 꼼꼼하게 미래를 점검하고 마지막 과학도의 길을 걷겠다”고도 밝혔다. 황 박사가 소속된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이하 수암연구원)은 최근 5년 만에 경기도 용인에서 서울 구로구로 이사했다.

최근 그가 새롭게 연구하겠다고 밝힌 분야는 매머드(mammoth·맘모스) 복제다. 매머드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약 480만 년 전부터 4000년 전까지 존재했지만 마지막 빙하기 때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포유류다. 현재 아프리카, 러시아 시베리아 지방 등에서 화석과 냉동 매머드가 발견되고 있다.

그간 줄기세포 연구의 대명사 격이었던 황 박사가 수천 년 전에 멸종된 매머드 복제에 나선다는 소식은 다소 느닷없게 느껴진다. 황 박사가 처음 매머드에 대해 언급한 것은 지난해 10월 17일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열린 체세포 복제동물(코요테) 전달식에서다. 당시 김 지사는 “원래 꿈은 공룡 복제지만 현재 기술로는 어려우니 매머드부터 시도하겠다”며 “매머드를 넘어 공룡까지 쥐라기 공원을 복원하면 스필버그의 쥐라기 공원과는 비교할 수 없는 살아 있는 쥐라기 공원으로 전 세계를 한번 크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황 박사 역시 “이종(異種) 간 복제보다 기술적으로 더 어려운 이속(異屬) 간 복제를 시도하겠다”고 밝혔다. 현상환 수암연구원 원장(충북대 수의학과 교수)은 “황 박사가 2000년대 초반부터 매머드 복제에 관심을 보였는데 ‘그 사건’ 때문에 나서지 못하다가 이제야 기회가 온 것”이라고 말했다. 과연 황 박사는 매머드를 복제할 수 있을까?

‘매머드 복제’ 보도되자 ‘관련주’ 15% 급등

매머드 복제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은 러시아 사하공화국이다. 사하공화국은 시베리아 북동부에 있으며 러시아 연방 내 21개 공화국 가운데 하나로 석유, 석탄, 철광석 등 각종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된 자원 부국이다. 특히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이아몬드 양은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이다. 러시아 북동쪽 시베리아 지방에 위치해 냉동 보존된 매머드 원형이 자주 발견된다. 특히 최근에는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한 울리 매머드(wolly mammoth, 일명 툰드라 매머드)가 대거 발견돼 화제가 됐다.

1/3
김유림 기자│rim@donga.com
목록 닫기

황우석 박사 매머드 복제? “현재로서는 가능성 0%”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