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9월 1일부터 ‘말(馬) 산업 육성법’이 시행됐다. 말 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은 이르면 3월 중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한국에서 말 산업은 경마 외에는 일반에게 생소하다. 한국마사회는 주무부서인 농림수산식품부와 함께 말 사육과 레저로서의 승마에 방점이 찍힌 복합적인 말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기 화성시 홀스메이드 승마장에서 화성시 솔빛초교 어린이가 승마를 배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림수산식품부(농식품부)와 한국마사회(KRA)는 말 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해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 종합계획의 방향은 크게 두 갈래다. 축산 농가의 소득을 높이고 국민이 직접 말을 타게 하겠다는 것. 특히 한국마사회는 이번 기회에 경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걷어내겠다는 각오다. 승마가 전 국민이 즐기는 스포츠로 변모해나가기를 기대하는 것.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려면 정부, 마사회,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이 필수다. 현 단계에서 한국 말 산업의 기반을 살펴보고 발전 가능성을 짚어봤다.
승마 대중화가 목표
한국 승마 인구는 2만50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승마 선진국인 독일이 170만 명, 프랑스가 150만 명인 것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독일 사람들은 학교체육을 통해 어릴 적부터 승마에 입문한다. 프랑스에서는 승마가 축구와 테니스 다음으로 인기 있는 생활체육이다. 마사회 관계자들은 한국도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넘어선 만큼 취미로 말 타는 인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본다. 승마는 소득 2만, 3만 달러 시대를 대표하는 레저 스포츠라는 것이다.
선진국 수준으로 승마가 대중화하려면 밑바닥부터 다져야 한다. 일단 말을 탈 곳이 없다. 승마장은 2009년 조사 기준으로 293개 곳인데, 이 중에서 실내 승마장을 갖춘 곳은 100곳이 안 된다. 시설이 완비된 중대형 승마장을 찾아보기도 어렵다. 승마장의 말은 대부분이 퇴역한 경주마다. 일반인이 타기 쉽게 길들인 말이 아니어서 승마용으로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승마를 전문적으로 가르칠 지도자 육성도 시급하다.
아직까지는 승마를 꾸준히 즐기기보다는 1회 체험에 그치는 사람이 더 많다. 승마장 이용 요금은 한 시간당 평균 2만5000원가량이다. 강습비는 별도다. 월간 또는 연간 회비를 내거나 시승권을 구입해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승마장이 있는 곳을 찾아가는 시간과 비용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또한 자신의 말을 구입해 승마장에 관리를 맡기는 ‘자마 회원’은 월 60만 원가량의 이용요금 외에 치료비, 부대비용 등도 내야 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승마는 중산층이 즐기기엔 고가 스포츠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승마 대중화를 위해서는 승마장의 수익을 보장하면서도 이용요금을 낮추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한국마사회는 승마를 활성화하고자 2009년부터 ‘전 국민 말 타기 운동’을 벌여왔다. 전국 70여 개 승마장의 도움을 받아 학생과 일반인을 위한 초·중급 과정을 개설했다. 초급자는 참가비 9만 원을 내고 총 12회 강습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인기가 높은 것은 어른과 어린이가 2인 1조로 참여하는 ‘엄마 아빠와 함께 하는 승마스쿨’. 전 국민 말 타기 운동을 통해 2010년 4362명, 2011년 6827명이 강습을 받았다. 유성언 한국마사회 승마활성화팀 차장은 이 운동이 규모와 지속성 면에서 적지 않은 성공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농어촌형 승마시설 설치
“전 국민 말 타기 운동을 통한 강습이 끝난 후 조사해봤더니, 강습 받은 사람이 승마장 회원으로 가입한 비율이 15%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전 국민 말 타기 운동이 승마장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고정적으로 말을 타는 인구를 늘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늘어난 승마 인구를 수용할 승마시설의 확충도 중요하다. 현재 운영 중인 승마장 가운데는 ‘축사’로 신고한 곳이 적지 않다. 말 산업 육성법에 따라 2014년까지 승마장을 310곳으로 늘리고, 670두의 말을 키우며, 1200명의 말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농식품부의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농어촌 지역에 위치한 말 사육농가가 승마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들에게 기존 승마장과는 다른 설치기준과 사업범위를 부여한다는 내용이 법안에 담겨 있다.
말 산업 육성법에는 ‘농어촌형 승마시설’을 ‘농어촌 지역에서 말의 위탁관리, 승용마의 생산·육성 등 말과 관련한 축산업과 말 이용업을 겸영(兼營)하는 시설’로, 말 이용업을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승마장 이외의 장소에서 승용말 임대, 말 트레킹, 승마체험 등 말을 이용한 용역을 제공하는 업’으로 규정했다. 농식품부는 축산발전기금을 지원해 2014년까지 농어촌형 승마시설 110곳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도별로 사업비를 지원하고 행정 편의를 제공하는 1개의 말 산업 특구를 지정할 수 있도록 있다.
농식품부는 말 사육이 농가 소득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있다. “승마는 생산, 유통, 레저, 관광에 이르는 전 과정이 농어촌 중심으로 이뤄져 농어촌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했다.
우수한 승용마를 생산하는 것은 축산 농가에 주어진 과제면서 기회다. 현재 승용마만을 생산하는 농가는 한 곳도 없다. 경주마만을 키우는 곳이 대부분이다. 소수 농가가 경주마와 함께 승용마를 생산한다.
그러나 경주마는 사행산업 규제 탓에 사육 두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농가 소득 확대 차원에서도 승용마 육성이 시급하다. 말 소비자 처지에서도 승용마 수 증가가 절실하다. 지금 승마장에 있는 말은 거의 대부분이 은퇴한 경주마나 조랑말. 안전하고 편안한 승마를 위해서는 승용마를 생산해 말에게 제대로 된 승마 훈련을 시켜야 한다.
2011년 9월 25일 오후 경기 과천경마공원에서 열린 동아일보배 대상경주.
또한 편자를 박는 장제사, 말 조련사, 재활승마지도사 등의 자격증을 신설할 계획이다.
승용마 유통시장을 투명화해 가격 안정을 꾀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경주마는 경매로 거래하는 비율이 30% 수준이어서 경매시장 가격이 개인 간 거래 시에도 기준 가격이 된다. 승용마도 지난해부터 시범 경매가 열리기 시작했다.
말 산업 육성법엔 경마 및 승마 관련 대책뿐 아니라 말고기와 말 부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도 담겨 있다. 현재 말 도축을 가장 많이 하는 제주축협 도축장에서 등급판정 제도를 시범 실시하고 있다. 이 제도를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최고등급 출하 농가에는 생산 장려금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말고기 생산이력제도를 도입해 소비자가 말고기를 믿고 먹을 수 있게끔 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나아가 육회, 샤브샤브, 마유주(馬乳酒), 소시지, 햄, 육포 등 가공식품을 비롯해 말의 기름과 뼈를 이용한 화장품도 개발할 계획이다.
경북 영천에 경마장 건설
말 산업 육성법에는 경마와 관련한 내용도 일부 포함돼 있다. 한국마사회는 그동안 경마 수익으로 벌어들인 돈의 상당 부분을 말 관련 산업에 지원했다. 앞으로도 말 산업 육성 재원의 대부분을 경마사업이 담당하게 된다.
경마 수익금은 2009년 기준으로 축산발전기금에 1655억 원, 지방재정에 1조3000억 원, 농어촌 사회복지에 414억 원이 사용됐다.
한국마사회는 우수한 경주마를 생산하는 일에도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다. 문윤영 한국마사회 말 산업기획팀장은 “경주마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2005년 이후 우수한 품종의 시승마를 두 마리씩 꾸준히 도입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2014년까지 경북 영천시 일대에 국제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제4경마장을 건설해 운영할 방침이다.
재활승마는 한국마사회가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꾸준히 추진해온 프로젝트로 신체 혹은 정신 장애를 가진 이들이 승마를 통해 재활치료를 받는 것이다. 비장애인도 말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다.
말 산업 육성법에도 재활승마와 관련한 내용이 포함돼 있는데, 승마장·복지시설·병원을 연계한 재활승마 네트워크를 2014년까지 15개가량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매년 재활승마한마당을 개최해 말을 이용한 재활치료의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기구를 말 산업 단지에 설치한다.
농식품부와 한국마사회가 밝힌 계획만으로 말 산업 육성 종합계획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축산농가가 말 산업 육성 방안에 호응해줄 것인지, 국민이 레저 스포츠로서 승마를 친숙하게 받아들일 것인지가 변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