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룡사는 1400여 년 전인 553년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이 16년의 공사 끝에 완공한 절이다. 황룡사에 처음부터 신라의 상징인 9층탑이 있었던 건 아니다. 진흥왕 사망 직전에 1장6척(약 4.5m)의 장륙존상(丈六尊像)이 조성됐고, 그의 아들 진평왕에 의해 584년 부처상을 모신 금당이 조성됐다. 이어 선덕여왕이 통치하던 645년에 이르러 9층목탑이 조성됐다.
황룡사 9층목탑과 분황사 모전탑
현재 황룡사지엔 금당터의 주춧돌, 장륙존상과 좌·우협시보살을 모신 초석, 그리고 9층목탑의 주초석이 남아 있다. 역사가 거짓이 아님을 증명이나 하려는 듯 천 년 넘게 그 자리를 굳건히 사수하고 있다.
지금 필자는 7세기 중반 이후 신라 수도 서라벌의 상징물인 황룡사 9층목탑의 한가운데 자리에 서 있다. 요즘 건물로 치면 30층 높이에 달하는 이 탑의 위용은 대단했다. 1238년 몽골의 침입을 받아 목탑이 불에 타버리기 전까지 고려의 시인 묵객들도 탑 꼭대기에 올라 그 장엄함을 노래할 정도였다. 당시 신라인들은 외국의 사신 등 귀한 손님들이 찾아올 때마다 탑 꼭대기까지 데리고 가 구경시켜 주었을 것이다. 절들이 하늘의 별처럼 펼쳐지고, 탑들은 기러기가 줄지어 날아가는 듯 배치된(社社星張 塔塔雁行) 서라벌의 전경과 위엄 서린 궁궐들을 보여주면서, 내심 이 탑이 주위 아홉 나라를 제압하는 기운이 서린 곳임을 자부했을 것이다.
옛날의 영화로운 모습은 사라졌지만 현재 남아 있는 60여 개의 초석과 그 한가운데에 자리 잡은 심초석(心礎石)이 9층목탑의 잔향(殘香)을 드리운다. 초석들은 마치 정사각형 바둑판 위의 바둑알처럼 가로세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돼 있는데, 바둑판 모양의 탑지(塔址) 한 변의 길이만 약 22.2m, 면적으로 치면 150평에 달하니 어마어마한 규모다.
필자는 경주에 갈 때마다 황룡사 9층탑지와 황룡사의 수호사찰 분위기를 풍기는 분황사의 모전탑(국보 제30호)을 찾곤 했다. 풍수학을 전공한 필자는 두 탑의 서로 다른 기운에 묘한 감흥에 빠지곤 했다. 분황사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탑돌이를 하다보면 하늘에서 떨어지는 천기(天氣, 일종의 에너지라 치자)가 탑 주위를 감싸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정신이 맑은 상태에서 탑을 돌면 그 청량한 기운에 흠뻑 취해 발걸음이 약간 비틀거릴 정도다.
반면 황룡사 9층탑은 다르다. 150평 규모의 탑지 전체로 거대한 기운이 쏟아진다. 또 이 탑지의 기운은 심초석을 중심으로 그 북쪽의 금당터 기운과 남쪽의 중문터 기운에 의해 더욱 압축되면서 중앙에서 증폭되는 느낌이다. 기운이 워낙 강해 ‘기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오래 머물러 있다간 되레 해로움을 볼 수 있을 정도다. 분황사 탑의 기운이 맑고 가볍고 청량하다면, 황룡사 탑의 기운은 태풍의 강력한 회오리바람처럼 중후하고 묵직해 사람이 직접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차원이 아닌 것도 같다. 필자는 이번 답사에서 이 탑에 서린 기운의 정체를 풍수적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밝혀보기로 작정했다.
풍수라는 학문은 흔히 ‘바람’과 ‘물’의 논리라고 한다. 바람을 갈무리하고(藏風), 물을 얻는(得水) 곳이 명당이라고 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외형적으로 겨울철 서북풍의 거센 바람이나 계곡에서 불어오는 칼바람 등을 피할 수 있으며, 지기(地氣)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작동하는 물을 만나는 곳에서 대개 좋은 터가 형성되게 마련이고, 그런 곳에 살면 사람이 편안해지기 때문이다.
바람은 천기(天氣), 물은 수정(水精)
그러나 그게 다가 아니다. 풍수학의 고전 ‘장서(금낭경)’라는 책이 있다. 기독교인이 성스러운 책으로 떠받드는 성경처럼 동양의 풍수학자들이 풍수 바이블로 인정하는 책이다. 이 책은 풍수의 핵심이 ‘기(氣)’라고 정의한다. 한마디로 풍수란 생기(生氣)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다(葬者 乘生氣也). 땅속에 흐르는 생기는 다른 표현으로 지기(地氣)라고도 하며, 이 지기를 ‘타기’ 위해 풍(風)과 수(水)의 역할이 강조된다.
사실 이 풍과 수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우리 풍수’와 중국 풍수가 달라질 수 있다. 중국 풍수 논리에 의하면 지기(생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이 경계를 짓는 곳에 멈춘다고 한다. 반면 우리 고유의 풍수는 바람을 하늘의 기운(天氣)으로 보고, 물 역시 하나의 기운 덩어리(水精)로 취급한다. 즉, 지기는 천기를 만나 갈무리되거나 수정의 기운을 얻어야 비로소 명당이 되는 것이다. 이는 중국 풍수 논리보다 훨씬 포괄적이고 확장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