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탄수화물 섭취에 있다. 한국인은 식습관상 탄수화물을 많이 먹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서구화한 식습관까지 일상화하면서 흰 쌀밥 외에 식빵, 파스타, 피자, 쿠키, 케이크, 도넛, 아이스크림, 초콜릿까지 자주 먹는다.
생리 전 단 음식 당겨
탄수화물이 유독 중독성이 강한 첫 번째 이유는 특유의 ‘단맛’에 있다. 비단 설탕과 같은 당질지수가 높은 탄수화물뿐 아니라 일반적인 탄수화물도 씹으면 씹을수록 단맛을 낸다. 그런데 여성은 생리적으로 단맛을 찾는다.
‘좋은 클리닉’ 유은정 원장(정신과 전문의)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영향으로 단맛을 탐닉한다. 특히 생리 전의 불안감과 초조감으로 탄수화물을 찾는 생리전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고 말한다.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한다. 그런데 스트레스나 우울증이 찾아오면 세로토닌의 분비가 감소한다. 이때 뇌는 세로토닌의 수치를 높이기 위해 탄수화물 섭취 욕구를 증가시킨다.
남성이 술로 스트레스를 푼다면 여성은 탄수화물류 음식을 먹으며 스트레스를 푼다고 할 수 있다. TV 드라마에선 남편의 외도를 안 주부가 한밤중에 양푼 가득 비빔밥을 만들어 먹는 장면이 흔하게 나온다. 많은 직장 여성은 함께 파스타를 먹으며 수다를 떨면서 일터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하지만 탄수화물 섭취로 인해 기분이 좋아진 우리 몸은 세로토닌 과다분비 상태에 맞춰진다. 따라서 좋은 기분을 유지하기 위해 탄수화물을 지속적으로 요구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우울증에 빠진다. 상당수 여성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탄수화물에 중독된다. 탄수화물을 먹으면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분비된다. 이 역시 탄수화물 중독의 원인이다. 도파민은 마약을 복용할 때처럼 쾌락과 행복감에 관련된 감정을 느끼게 해준다. 게임 중독이나 마약중독에 빠졌을 때도 활성화한다. 문제는 도파민의 ‘중독성’이다.
일부 여성은 탄수화물을 섭취하지 않으면 손이 떨리고 신경이 예민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안해지고 답답해진다고 호소한다. 일종의 탄수화물 금단증세인데 이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이 도파민이다. 도파민 분비가 늘수록 몸은 도파민에 내성을 갖는다. 같은 쾌락을 느끼기 위해 더 많은 도파민을 필요로 한다.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끊임없이 식탐을 자극한다.
유 원장은 “마약중독이나 알코올중독은 몸에 해롭다고 의식한다. 그러나 탄수화물 중독에 대해선 경각심이 덜하다. 이 때문에 탄수화물 중독이 더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탄수화물의 유혹은 몸의 신진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신진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 탄수화물의 가장 작은 단위인 포도당이다. 포도당이 혈액 속에 들어가면 혈당이 올라간다. 그러면 당을 분해해 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해 췌장이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은 혈당을 급속히 분해해 다시 저혈당 상태를 만든다. 그러면 또다시 탄수화물 섭취 욕구를 느낀다. 우리 몸은 이런 순환을 반복한다. 탄수화물 과다섭취가 일어나기 쉬운 구조다.
“생각 많으면 더 찾아”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생각이 더 많기 때문에 더 쉽게 탄수화물 중독에 빠진다는 가설도 있다.
‘WE 클리닉’의 조애경 원장(가정의학 전문의)은 “대체로 남성은 육체 활동이 많고 생각이 단순한 데 비해 여성은 육체 활동이 적고 생각이 많다. 그만큼 뇌에서 필요로 하는 당분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남성보다 탄수화물을 더 찾는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도당은 뇌세포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양소인데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신체 활동보다 감성적인 부분이 발달할수록 뇌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단맛을 더 찾게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