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 회고록을 총괄 집필한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 같은 내용이 실린 신동아 3월호가 출간된 뒤 이의를 제기했다. 특히 MB 정부가 자원외교 실패의 책임을 현 정부 장관들에게 떠넘기는 것처럼 비친 데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김 전 수석은 신동아 3월호에서 “핑계 댈 생각은 없지만, 최경환 경제부총리(MB 정부 때 지식경제부 장관)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MB 정부 때 청와대 지식경제비서관)에게 묻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회고록 내용 중 논란이 된 사안에 대한 이 전 대통령의 견해를 듣는 형식으로 김 전 수석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김 전 수석이 지난해까지 상임이사를 지낸 한국정책재단 서초동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 MB 정부는 세종시를 기업도시로 만드는 수정안을 추진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이 문제로 정운찬 총리가 떠났다. 왜 좌절됐다고 보나.
“청와대 핵심 실세들이 오만했던 면이 있다. 원안보다 더 좋은 안을 만들어 내놓으면 충청도, 박근혜 대통령(당시 의원)도 안 받을 수 없을 거라고 봤다. 공을 들여 박 대통령과 야당을 설득해야 한다는 생각을 못했다.”
▼ 회고록엔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기 위해 충청 출신의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을 총리에 임명했다는 식으로 기록돼 있다. 이에 대해 정 전 총리는 “세종시 때문에 나를 총리로 간택했다면 유감”이라고 했다.
“대통령께 여러 번 물어봤다. 그런데 대통령은 ‘아니야’라고 했다. 내가 알기로도 세종시 수정안 문제는 정 전 총리를 영입한 여러 이유 중 하나일 뿐이다.”
“정운찬 주장 이해한다”
▼ 정 전 총리는 신동아 인터뷰에서 “당시 청와대가 세종시 수정안 관철에 의지가 없었다”고 했다.
“정 총리는 그렇게 말할 수 있다. 정 총리가 간절하게 주장하던 국민투표가 결국 성사되지 않았으니까. 당시 대통령 주위엔 세종시 문제를 국민투표로 결정하자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 사람들은 지금도 같은 주장을 한다. 분명히 의지는 있었다. 그리고 삼성, LG, 한화 같은 기업들로부터 대단한 규모의 투자 약속을 다 받아놨었다. 토지분양 가격까지 다 결정한 상태였다. 수정안대로 됐다면 지금보다 훨씬 좋은 기업도시가 됐을 것이다.”
▼ 국민투표를 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장담할 수 없다. 야당이나 박 대통령 측에서 투표 자체를 보이콧했을 수 있다. 그래서 투표율이 50%를 못 넘겼다면 국론이 분열됐을 것이다. 서울시 무상급식 문제 때처럼. 끝까지 밀고 갈 수 있는 일도 아니었다.”
▼ 정 전 총리가 대통령께 ‘세종시 수정안 통과를 도와주면 대선 때 밀어주겠다고 박근혜 의원에게 약속하라’는 주문도 했다는데.
“사실이다. 그만큼 정 전 총리도 절박했다. 그런데 그런 약속은 그 자체로 위법이다. 그리고 그런 약속은 비밀이 지켜질 수도 없다. 불가능한 요구였다.”
▼ 전직 총리들은 회고록 작성에 참여하지 않은 걸로 안다.
“한승수 전 총리는 박 대통령과 특수관계(사촌형부)라 참여하기 어려웠다. 정 전 총리는 정치적으로 왔다 갔다 했던 분이라 부담스러웠다. 민주당의 차기 주자 후보군이었다가 MB 정부 총리가 됐지만 2012년 대선 때는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김황식 전 총리는 아직 정치적으로 할 일이 있는 분이다. 어디로 갈지 모르는 분이라 같이 작업하기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