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카메라 스케치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서대문형무소

  • 사진·글 박해윤 기자 | land6@donga.com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 을사조약 이후인 1908년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서대문형무소.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개명되는 동안 수많은 독립지사가 이곳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후 경성·서울형무소를 거쳐 1967년엔 서울교도소로 바뀌어 시국사범과 민주투사들이 수감되기도 했다. 1988년 사적(제324호)으로 지정되면서 민족 수난의 현장으로 복원된 서대문형무소를 둘러봤다.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 서대문형무소엔 순국한 독립운동가의 수형기록표가 전시돼 있다.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1 창을 통해 바라본 서대문형무소 정문.

2 수감자들을 분리 수용해 운동을 시켰던 격벽장.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3 사형이 집행됐던 사형장.

4 민주화운동가들의 기록도 전시돼 있다.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5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외벽엔 세월의 흔적이 묻어 있다.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1 수감자의 발에 채우던 족쇄.

2, 3 유관순 열사가 갇혔던 여옥사.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4, 5 관람객은 감방 안에서 수감 체험을 할 수도 있다.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 일제가 독립운동가를 사형시킨 후 시신을 몰래 반출했던 시구문.

신동아 2014년 4월호

사진·글 박해윤 기자 | land6@donga.com
목록 닫기

잊어선 안 될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