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호

한국의 책쟁이들

  • 고승철│저널리스트·고려대 강사 koyou33@empal.com│

    입력2009-11-03 16:5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의 책쟁이들
    일본의 저술가 다치바나 다카시(立花隆·1940~ ) 선생의 저서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를 읽고 어안이 벙벙한 적이 있다. 지독한 독서가로 유명한 그의 행적이 상상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500여 권의 참고서적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은 약과였다. 산더미처럼 쌓인 개인 장서를 정리하려고 지하 1층, 지상 3층의 자그마한 서고 빌딩까지 지었으니 말이다. 이 빌딩으로도 모자라 그 부근에 새 저장소를 마련했단다. 좋게 말하면 책에 쏟는 엄청난 열정이 존경스럽고, 나쁘게 말하자면 거의 광적(狂的)인 수준이어서 소름이 돋는다.

    아르헨티나의 대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1899~ 1986) 선생은 도서관 사서로 일하며 책을 너무 많이 읽어 눈이 멀었다. 물론 시력이 나쁜 유전 체질을 가졌기도 했다. 아무튼 그는 눈이 멀고도 책에 대한 미련을 떨치지 못해 “천국은 도서관 모양일 것”이라 중얼거렸다고 한다.

    한국에도 다치바나나 보르헤스 같은 분이 계실까? 아마 적지 않으리라. 조선시대의 학자 이덕무(1741~1793) 선생은 스스로를 ‘간서치(看書痴)’라 불렀다. ‘책만 읽는 바보’란 뜻이다. 그만큼 그는 독서를 즐겼고 많은 책을 모았다.

    그럼 요즘은 어떨까. 독서 인구가 줄어들고 책이 TV나 인터넷에 밀린다는 시점에…. 주위에 독서광(讀書狂) 지인들이 보이기는 하지만 극소수다. 명문대학 나오고 지식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조차 핵심 자리에 앉으면 회식, 각종 행사, 골프에 시간을 뺏겨 책을 들출 틈이 없다. 그러다보면 책과의 인연이 차츰 멀어진다. 그의 책상 위엔 증정받은 책들만 쌓인다.

    아름답게 미친 사람들



    오늘날 한국인의 독서 행태에 대해 걱정하던 차에 ‘한국의 책쟁이들’이란 책을 발견하곤 적이 안심이 된다.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이란 부제를 단 이 책은 서적을 읽고, 모으는 데 거의 온 영혼을 바치는 인물들을 찾아내 스물여덟 꼭지로 나눠 소개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대학교수, 학자여서 이런 일이 직업과 직접 관련되지만 대다수 다른 분들은 직업과 무관한 애호가다. 그저 자식처럼 책을 아끼고 돌보는 사람들이다.

    현직 언론인인 저자는 전국 곳곳을 돌며 독서가들을 인터뷰하고 사진도 직접 찍었다. 저자는 이들에 대해 “지하철과 버스 안에서 책을 펴 읽고, 서점이나 헌책방에서 주머닛돈을 뒤적이는 평범한 우리들의 이웃”이라 말했다. 저자는 “조금 차이가 있다면 일상의 번다를 버리고 책으로써 취미를 압축했다는 점”이라면서 “이들이 있어 우리 사회가 이만큼 지탱된다고 본다”고 높이 평가했다.

    책장을 넘기면서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니 가히 ‘책에 미친 사람들’이라는 말이 과장되지 않음을 알겠다. 이들은 미쳐도 아름답게 미친 게 아닐까.

    춘천시 석사동의 ‘피스오브마인드 베이커리 & 북카페’에 들어서면 100여 평의 널찍한 공간에 책들이 그득하고 향긋한 빵냄새가 코를 자극한다. 북카페 김종헌 대표와 전통제과연구소 이형숙 소장이 함께 꾸려가는 이곳엔 이들 부부가 모은 책 1만권, 음반 3000점, 서화 300점이 소장돼 있다. 남영나이론 대표이사를 지낸 김 대표는 2000년 사임서를 내고 홀연히 회사를 떠났다. 사임서에는 ‘북카페를 차리기 위해서’라 적었다고 한다. 김 대표가 독일 뒤셀도르프 지사장으로 근무할 때 남편 따라간 부인은 독일 제빵 기술을 배웠다. 이들 부부의 책사랑 덕분에 춘천에는 명물 북카페가 생겼다.

    동두천시에서 전통찻집 ‘한다원’을 경영하는 김경식·이주원 시인도 책과 시에 삶을 쏟는 부부다. 이들은 지역 문인 모임인 이담문학회 회원인데 두 달에 한 번씩 이 찻집에서 만남을 갖는다. 이곳은 영업장이기보다는 지역문화의 산실인 셈이다. 차값도 아주 싸다. 찻집 한쪽 벽 서가에는 시집이 꽉 찼다. 이들은 군부대·경찰서·교도소·동사무소 등 책이 궁한 곳에 책을 기증하는 일에도 앞장선다.

    삼성그룹 창업자인 호암 이병철(1910~1987) 회장의 탄생 100주년이 내년이다. 호암과 관련한 책은 지금까지 수십 종이 나왔다. 그러나 제대로 된 평전은 아직 없다. 호암의 생전에 출판된 ‘호암자전’은 자서전이어서 제3자가 쓰는 평전은 아니다. 호암평전 집필을 준비하는 박세록 선생은 책 내공이 범상치 않은 인물로 손꼽힌다. 그는 호암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삼성 비서실 출신이다. ‘삼성 비서실’이란 저서를 내기도 했다.

    경기 고양시 가장동에 있는 그의 자택에는 장서 2만권이 있다. 사설 도서관 수준이다. 그 책들이 주제별, 크기별로 가지런히 정돈됐다. 그가 집필을 구상 중인 책은 호암평전말고도 ‘부기(簿記)도입사’ ‘연애 문화사’ ‘미인의 역사’ 등이다. 관심 분야가 넓은 아마추어 독서가가 공력을 쌓으면 이런 책까지 집필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준다. 그는 생업 이외의 시간을 수도하듯, 연애하듯 독서에 쏟는다.

    ‘책에 미친 바보’라 불리기를 좋아하는 여승구 화봉책박물관 관장은 개화기 고서를 모으는 일을 소명으로 여긴다.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을 암살한 홍종우가 1892년 프랑스에 체류할 때 동양학자 로니와 함께 번역한 프랑스어판 ‘춘향전’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닌 책을 수집한 지가 30년 가까이 된다. 서울 인사동 모란갤러리를 인수한 그는 내년부터 화봉갤러리로 이름을 바꾸고 미술전시회가 뜸한 1~2월, 7~8월엔 주로 고서 전시를 할 계획이다. “책들의 머슴에 만족한다”는 여 관장은 머슴 노릇에 충실하기 위해 칠순 육체를 운동으로 담금질한다.

    컴퓨터 관련 제품을 개발 판매하는 이메이션코리아라는 회사의 이장우 대표는 ‘독서경영’의 실천가로 이름이 높다. 한 해에 정독하는 책이 100여 권, 훑어보는 책은 수백 권에 달한다는 이 대표는 임직원에게도 독서를 강력히 권장한다. 독서를 통해 세상의 흐름을 파악하면 제품 개발 아이디어가 샘솟는다는 것. 이런 실용적 목적 이외에 독서는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신념을 가졌다. 임직원에게 책값을 회사에서 대준다. 직원 1인당 한 해 평균 100만원어치쯤 산다고 하니 50~70권씩 읽는 셈이다. 회사 안에 독서 동아리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휴게실인 ‘창의실’에서 임직원들은 책 이야기로 스트레스를 푼다. 이 대표는 해외출장을 갈 때마다 현지 서점에 들러 ‘최신간 사냥’에 몰두한다고 한다. 뉴욕, 홍콩, 타이베이, 방콕 등에 단골 책방이 있단다.

    직장생활을 하며 독서의 매력을 즐기는 성수선 삼성정밀화학 해외영업담당 과장은 저서 2권을 낸 저술가이기도 하다. 서강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대기업에 들어가 화학제품을 수출하는 업무를 맡은 그녀는 잦은 해외출장 때마다 책 5~6권을 갖고 나가 독파했다. 다양한 독서 편력은 영업에도 큰 도움이 됐다. 독일에 갔을 때 마침 총선 기간이었다. 독일인 바이어와 상담을 벌이다 독일 외무장관을 지낸 요슈카 피셔 후보가 화제에 올랐다. 그는 마라톤으로 심신을 개조한 체험을 밝힌 ‘나는 달린다’라는 책의 주인공 아닌가. 그녀는 이 책이 한국에도 번역돼 마라톤 붐을 일으키는 데 일조했다고 소개했다. 독일 바이어는 관심을 나타냈고 대화 분위기는 유쾌해졌다. 그녀는 출장 경험을 정리한 ‘나는 오늘도 유럽 출장을 간다’와 독서 에세이 ‘밑줄 긋는 여자’라는 저서를 냈다.

    책 외에 별다른 취미 없어

    직장생활 20여 년 동안 보너스로 받은 돈 전액을 책 구입에 쓴 송명근님의 ‘책탐’도 돋보인다. 그는 1980년대 대학생 시절부터 책 모으기에 탐닉해 지금까지 1만여 권을 수집했다. 수집 대상은 주로 1950년대 이전에 나온 도서 중심이다. 특히 천주교 관련 사료를 보이는 족족 사들였다. 그는 천주교 집안 4대손이므로 사명감이 발동됐다. 그가 가진 가장 오래된 천주교 관련 서적은 1836년에 나온 ‘척사윤음’이다. 소장 도서를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책 박물관을 만드는 게 그의 꿈이다. 이 일을 남에게 맡기기보다 자신이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지식을 배워서 이루어낼 작정이다. 그가 밝힌 책 수집 요령은 △자신의 전공을 정하라 △시리즈를 구상하라 △공간을 생각하라 △중심을 잡아라 △수집 뒤를 생각하라 등이다.

    ‘전작주의자’라는 단어를 창시한 조희봉 화천 상서우체국장은 독서인 사이에서는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이윤기 작가의 작품 전부를 꼼꼼히 읽고 작가에게 결혼식 주례까지 부탁하는 등의 일화를 담은 ‘전작주의자의 꿈’이란 저서를 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전산 관련업체인 동부정보기술에 6년간 다니며 주경야독하던 그는 회사를 그만두고 강원도 산골의 우체국장으로 갔다. 개인 별정 우체국의 하나인 이곳은 그의 부친이 개설했다. 부친이 정년퇴임하자 대를 이어 우체국을 맡았다.

    과학소설(SF) 마니아인 박상준 오멜라스 출판사 대표는 SF를 읽고 모으는 재미에 매혹돼 이를 전문적으로 펴내는 출판사의 경영까지 맡았다. ‘오멜라스’는 SF 작가인 어슐러 르귄의 단편에 나오는 가상 도시국가다. 박 대표는 책, 만화, 비디오테이프, 포스터 등 SF 관련 자료 2만여 점을 소장한 서울SF아카이브의 대표이기도 하다. 그는 “SF라 하면 애들이나 보는 유치한 것, 또는 과학을 제대로 알아야 읽을 수 있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면서 “기성 문인들은 거들떠보지 않았고 학자들 역시 연구나 비평작업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자신이 한국의 SF 도입사를 주제로 한 석사 논문을 준비한다고 밝혔다.

    이 책의 저자는 ‘책쟁이들과의 행복한 만남’이라는 에필로그에서 책 애호가들의 특성에 대해 “책 외에 별다른 취미가 없고 수입의 상당 부분을 책 사는 데 쓸어 넣고 여가의 대부분을 책 읽는 데 할애한다”면서 “아내들이 처음에는 반대하다가 노름이나 오입에 돈을 탕진하는 것도 아니니 그러려니 하고 접어주고 만다”고 썼다.

    ‘한국의 책쟁이들’ 임종업 지음/청림출판/338쪽/1만3800원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