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둘은 같이 잤을까.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남자는 라면을 먹고, 담배를 한 대 피웠을지도 모른다. 여자는 커피나 뭐 그런 비슷한 음료를 내왔을 것이고, 둘은 시선과 얼굴이 점점 더 가까워졌을 것이다. 아니면 그 모든 걸 다 뛰어넘었을지도 모른다. 라면은 퉁퉁 불은 채, 둘은 그전에 이미 뜨겁게 달아올랐을지도 모를 일이다.
허진호 감독이 2001년에 만든 수작 ‘봄날은 간다’ 속, 이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한 컷은 사람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를 상상하게 만든다. 사랑은 순식간이라는 것. 너무나 갑작스러워 언제 사라질지 몰라 불안하고 또 불안하다는 것. 그래서 사람들은 결국 사랑에 집착하고, 상대에게 감정을 강요하게 된다는 것.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말마따나 사랑은 어느 날 불시에 다가온 것처럼 그렇게 또 가버린다는 것.
감독에게는 자기가 좋아하는 소재(이야기)가 있는 것처럼 마음에 드는 공간이 있다. 거기는 자신이 태어난 곳도, 자란 곳도 아닐 터이다. 예전, 어릴 적, 풋풋한 사랑을 나눴을 때쯤 여인 혹은 남자와 당일치기 바람을 쐬러 갔던 곳일까. 허진호 감독에게 강원도 삼척은 그런 곳이다. 가까운 듯 꽤나 멀리 떨어진 곳인데, 그곳에서 허진호는 바람처럼 왔다가 바람처럼 떠돌다 가버린 슬픈 사랑을 추억하는지도 모른다.
왜 이곳에 이런 절이…

영화 ‘봄날은 간다’.
다시 ‘봄날은 간다’로 기억이 돌아온다. 영화에서 그때 두 남녀는 아직 서로의 몸을 알기 전이었다. 그래서인지 두 사람은 약간 거리를 두고 느낌상 멀찍이 떨어져 앉아 있다. 시선은 서로 어긋난 채 슬쩍 딴 곳을 보는 척, 사실은 서로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자신에 대해, 그가 혹은 그녀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탐색하려 애쓴다. 사랑은 그런 것이다. 때로는 권투의 1라운드 같은 것인데, 주먹을 잘못 날렸다가는 카운터펀치를 맞고 초반 KO패를 당하는 것처럼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법이다.
그 법당의 쪽마루에 앉아 좁고 아담한 경내를 굽어보고 있으면 왜 이곳에 이런 절이 들어서게 됐는지를 깨닫게 된다. 삼척 시내, 다운타운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인데도 괴괴할 만큼 조용하고 평화롭다. 면벽수도란 산골 깊숙한 곳이 아니라 이렇게 살짝 외진 곳이어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자각은 홀로 얻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깨닫는 것이다’가 불교의 진정한 가르침 아니던가.

허진호 감독은 늘 사랑의 결핍을 소재로 한다. 영화 ‘봄날은 간다’ 촬영지 양리마을(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