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인근 습지에서 연근을 뽑는 권현숙 씨. 연근의 끈적끈적한 뮤신 성분은 소화 기능을 높여준다.

‘유방암이라니…’.
림프샘에 암세포가 전이됐을지 모르니 빨리 수술해야 한다는 말, 유방을 절제할 수도 있다는 말이 귓가에서 윙윙거렸다. 팔, 다리에 힘이 빠지고 현기증이 났다. 등을 타고 흘러내리는 식은땀이 온몸을 차갑게 감쌌다. 속이 꽉 막힌 듯 답답해서 소리라도 치고 싶었지만, 목에서는 아무 소리도 나오지 않고 눈앞은 캄캄해졌다.
‘왜 하필 내게 이런 일이…. 내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서러움에 눈물이 흘렀다.
유방은 잃지 않았지만…

시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시아버지가 당뇨합병증으로 투병생활을 시작했다. 그런 시아버지의 건강을 회복시킬 방법이 없을까 해서 책을 뒤지며 당뇨 식이요법을 공부하기도 했다. 그렇게 가족을 돌보며 살다보니 정작 자신의 건강은 챙기지 못한 탓일까. 상상도 못한 일이 닥치고, ‘죽음’이란 두 글자가 현실로 다가오자 그동안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수술을 해보기 전에는 암이 얼마나 전이됐는지 알 수 없다”는 의사의 말에 더 두려웠다. 그보다 더 힘든 건 엄마의 암 선고에 충격받고 울부짖는 아이들을 보는 것이었다. 아이들에게 큰 상처를 주는 것이 미안해 수술 전날도 잠 한숨 못 자고 울며 밤을 지새웠다.
수술 당일, 병원에서는 상황이 안 좋을 경우 유방을 절제하는 데 동의를 구하는 서류를 내밀었다. 여자의 상징을 잃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착잡했다. 펜을 쥔 손은 한참을 허공에 머물렀다. 어렵게 서명하고 수술실로 들어간 권씨. 수술은 다행히도 암세포를 도려내는 것으로 무사히 마무리됐다. 가슴 쪽에 연결한 관으로 피와 고름을 빼내는 일이 2주간 계속됐지만, 유방을 잃지 않게 된 것만으로도 감사했다.

암 예방과 소염 및 지혈에 효과적인 연근과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연꽃.
하지만 안도의 한숨을 내쉰 것도 잠시. 방사선 치료라는 더 큰 고통이 권씨를 기다리고 있었다. 권씨가 수술 후 받은 방사선 치료는 3개월 동안 총 33회. 주말을 제외한 날은 매일 병원으로 출퇴근하다시피 했다. 방사선 치료를 받는 날이면 온몸의 힘이 빠지고 어지러워 꼼짝도 못하고 누워 있어야 했다. 자연히 살림과 멀어지고 아이들도 전처럼 챙기지 못하는 날이 이어졌다. 남편 이종찬(62) 씨는 그런 권씨가 안쓰러워 두 팔을 걷어붙였다.
“평생 부엌 근처에도 안 가봤지만, 가족이 아프면 당연히 내가 해야죠. 누구든 그러지 않겠어요?”
이씨는 아픈 아내를 대신해 청소하고 밥을 지었다. 아이들 학교 보내는 것도 이씨의 몫이었다. 식사를 제대로 못 하던 권씨도 남편의 노력을 생각해 억지로라도 한 술, 두 술 뜨기 시작했다.
“남자들이 부엌살림은 잘 모르잖아요. 뭐 하나 하려면 시간이 어찌나 걸리던지. 아이들을 생각해서라도 빨리 이겨내야겠다고 마음을 굳게 먹었어요.”
그렇게 남편의 도움을 받으며 차츰 힘을 얻게 된 권씨. 왜 이런 병에 걸렸을까 생각하다 바쁜 일상 탓에 평소 먹거리에 신경 쓰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때부터 집 앞마당의 텃밭에서 채소와 과일을 직접 가꾸며 몸에 좋다는 것들을 찾아서 먹기 시작했다. 자연스럽게 항암 식단에 관심이 생겼고, 그러던 차에 책에서 항암 식품으로 연근을 소개한 것을 봤다.
“연근은 전국 생산량의 40~50%가 제가 사는 대구에서 생산돼요. 집 근처에도 연근 밭이 있으니 이거다 싶었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근을 챙겨 먹기로 결심한 권씨. 하지만 연근으로 할 수 있는 요리가 조림 말고는 떠오르지 않았다. 익숙한 조리법에서 탈피해 새로운 요리를 고민하던 그는 이참에 오랜 바람이던 요리 공부를 하기로 결심했다. 아픈 몸을 이끌고 대구와 서울을 오가며 수업을 들었지만 힘든 줄도 몰랐다. 그렇게 새로운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젠 연근요리 연구가!
연근김치, 연근주스 등 다양한 연근요리를 연구하며 질릴 새도 없이 꾸준히 먹었다. 3개월쯤 지나자 얼굴에 생기가 돌고 6개월이 지나니 몸이 달라짐을 느꼈다. ‘연근이 이렇게 몸에 좋구나’ 싶어 더 많이 챙겨 먹었다.
남편 이씨도 연근을 함께 먹으며 큰 도움을 받았다. 남편 또한 당뇨합병증으로 녹내장이 생겨 악화하면 자칫 실명할 수도 있는 상태였는데, 아내 권씨와 함께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연근을 꾸준히 먹으면서 현상유지는 하고 있는 상태다.
‘인생사 새옹지마’라 했던가. 권씨는 현재 요리연구가로 제2의 인생을 산다. 요리수업을 들으러 찾아오는 제자들도 해마다 늘고 있다. 큰병을 앓고 난 후, 오히려 꿈꾸던 삶에 한발 더 가까워진 권씨. 아파서 고통스럽던 시간조차 소중하게 생각하고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루를 보낸다.
“저를 알아봐주고 산속까지 찾아와주니 고맙죠. 요리를 배우며 건강을 지켰듯이 제 요리도 누군가에게 힘이 되면 좋겠어요.”

요리연구가로 제2의 인생을 사는 권현숙 씨와 권씨를 물심양면으로 돕는 남편 이종찬 씨.
■ 연근 껍질전
쓰레기 취급받던 연근의 껍질을 요리로 재탄생시킨다? 뿌리채소의 껍질엔 항산화 물질인 피토케미컬이 많이 들어 있다. 따라서 껍질을 벗겨내지 않고 솔로 깨끗이 씻어 먹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연근의 껍질은 벗겨낸 뒤 따로 모아 약간의 물을 넣고 간다. 각종 채소와 달걀, 밀가루로 농도를 조절해서 한 숟갈씩 떠서 부쳐낸다.
■ 연근 주스
연근의 해독 효능을 높이려면 갈아서 음료로 마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연근의 생즙은 위궤양, 결핵, 부인병 출혈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연근과 요구르트를 배합해 먹으면 혈액을 정화해 과로로 코피가 잦거나 두통이 있을 때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 연잎밥
연잎의 오목한 부분에 미리 지어놓은 잡곡밥을 넣고 각종 견과류와 콩, 연근을 위에 올린다. 연잎으로 싸서 찜통에 넣고 5~7분 쪄낸다. 연잎은 항균작용을 해 음식을 싸거나 같이 조리할 경우 음식이 잘 상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연꽃차
연근은 꽃부터 뿌리까지 버릴 것이 없다. 연꽃은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연꽃차를 오래도록 마시면 몸의 병이 고쳐진다고 기록돼 있다. 연꽃 한 송이의 중심부에 따뜻한 물을 부어주면 꽃이 활짝 피면서 연꽃의 향이 우러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