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내가 겪은 ‘인간 김수환’

‘미사 예물’로 100만원 받고 조의금으로 100만원 내고

내가 겪은 ‘인간 김수환’

1/3
  • “나는 김수환 추기경의 침묵에서 신비에 찬 신앙을 느낀다. 인간의 진실은 영원에 이어지며 불변한다는 믿음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김수환 추기경의 그늘을 느낀다는 것도 그의 그러한 믿음으로부터 어떤 평화를 전해 받은 것이다.” -구중서, ‘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용서하세요’ 중에서
내가 겪은 ‘인간 김수환’
지난해 겨울부터 김수환 추기경을 회고하는 평전을 준비 중이던 나는 서재에서 작업 중에 추기경의 선종 소식을 전해 들었다. 결국 이러한 날이 오고야 마는 것인가.

지난해 가을 추기경이 장기 입원한 이래 병문안도 갔었고 병환이 너무 심할 땐 병실 문 앞에서 발길을 돌린 적도 있었다. 사경을 헤매신다는 소식이 들려올 땐 마음의 준비도 했었지만 그래도 마음 한구석에서 좀 더 버텨주시리라 믿고 있었다.

내가 김수환 추기경을 처음으로 가까이 대하게 된 것은 1971년의 여름이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직영하는 가톨릭출판사에서 월간 ‘창조’ 잡지를 창간하게 되었는데 내가 편집 책임자가 된 것이다. 김수환 추기경은 이 ‘창조’ 잡지와 가톨릭출판사 간행물 전체의 발행인이었다.

그해 9월, 창간호 편집계획을 작성해 추기경 집무실에 가서 김수환 발행인에게 보고했다. ‘지성의 사회적 실천’ ‘근대화, 어떻게 되어가나’ 이런 제목의 글들을 청탁하는데, 3선(選) 개헌 후 공화당의 영구집권 계획을 우려하는 내용이었다.

이해 4월에 이미 김수환 추기경은 대선에 임하는 공명선거 촉구 시국성명을 발표한 바 있었다. 부정선거 논란에도 불구하고 박정희 대통령이 3선에 성공한 후였다. 김수환 발행인은 ‘새 역사 창조 위해’라는 제목으로 ‘창조’ 잡지의 권두언을 쓰게 되었다.



잡지 편집계획에 대한 내 보고가 끝났는데 발행인인 김수환 추기경은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당시 김 추기경은 가톨릭교회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입각해 교회의 사회참여 사명에 충실하려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 한편 나는 사회적으로 문단의 참여문학 계열 문학평론가로 계간지 ‘창작과 비평’에 리얼리즘 문학론을 발표한 바 있었다.

교회의 사회참여나 문학의 사회참여는 모두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려는 것이고 그 궁극은 진리에 귀일한다고 볼 수 있다. 김수환 발행인과 편집주간인 나는 어떤 토론의 필요도 없이 이심전심으로 마음 편하게 잡지를 발행할 수 있었다. 김 추기경은 전폭적으로 지원해주었던 것이다.

그러던 중 하나의 사건이 발생했다. 1972년 4월호 ‘창조’에 김지하의 장시 ‘비어’를 게재했는데 그것이 당국의 비위를 거스른 것이다. 나와 김지하 시인은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었다. 중앙정보부는 20여 일간 나를 닦달하며 잡지에서 손을 떼라고 강요했다.

성탄절 카드

어느 날은 내 담당 수사관이 내 앞에서 정보부 국장에게 발길로 얻어맞기까지 했다. 그 수사관이 나에게 애걸까지 하는데 나보다 그를 위해서 더 버티고 싶지가 않았다. 결단을 내려야 할 시점이었다.

나는 남산 중앙정보부에서 내려와 가톨릭출판사에 사표를 제출하고 집으로 갔다. 내 한 몸이 그만둠으로써 회사와 발행인, 심지어 수사관까지 편해질 수 있다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며칠 후, 회사에서 연락이 왔다. 발행인인 김수환 추기경이 내 사표를 늦게 받아보았다는 것이다.

“내가 발행인인데 왜 편집주간이 혼자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가. 몸이 피곤할 터이니 3개월간 집에서 쉬도록 하고, 월급은 다 보내주겠다. 그 다음에는 무조건 출근해서 함께 계속 일을 해야 한다.”

김 추기경은 나를 부담스러워하지 않고 오히려 위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해 10월에 유신헌법이 선포되고 언론자유는 완전히 봉쇄되니 잡지를 발행할 이유도 없어져버렸다. 교구가 ‘창조’ 잡지의 자진 정간을 결정했다. 그러나 나는 가톨릭출판사의 총괄 편집주간으로 계속 근무하게 되었다. 그렇게 10년 동안 나는 김수환 추기경의 그늘 아래서 험난한 시대를 버티게 된다.

1980년의 광주항쟁이 있기까지 이 10년 동안 내 가톨릭출판사 생활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복판을 걸어 다니는 것이었다. 가톨릭출판사가 서울대교구청 주교관과 ㄱ자로 이어져 있어 같은 마당을 김 추기경과 내가 걸어 다녔다.

우연히 마당에서 마주치면 김 추기경은 내게 지낼 만하냐고 염려하듯 묻곤 했다. 그러다 성탄절이 오면 같은 마당에서 보는 사이인데도 집으로 카드가 우송되어왔다. 김 추기경은 만년필로 손수 적은 카드에서, 나를 붙들어놓고 희생을 강요하는 것 같아 죄송하다고, 용서해달라고 했다.

그러나 이 시절 나는 희생을 한 것이 아니라 보호를 받고 있었으며, 인간 김수환 추기경의 꾸밈이 없는 천품을 접하며 지내는 것이 마치 낙원에서 지내는 것 같은 심경이었다.

1/3
구중서│문학평론가 kwangsanjsk@yahoo.co.kr│
목록 닫기

내가 겪은 ‘인간 김수환’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