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엔 형제의 데뷔작은 1984년 저예산으로 촬영한 ‘블러드 심플’. 이후 ‘애리조나 유괴사건’ ‘밀러스 크로싱’ 등을 발표했고 1991년에는 영화 속의 공간과 현실을 모호하게 뒤섞어놓은 독특한 영화 ‘바톤 핑크’로 칸영화제에서 극찬을 받았다. 1996년 발표한 ‘파고’는 리얼리즘과 작가적 성찰이 돋보이는 영화로 코엔 형제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국내에서도 개봉됐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No Country for Old Men, 2007년)’라는 작품으로 높은 흥행 수익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8년 작품인 ‘위대한 레보스키(The Big Lebowski)’는 비록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개성 있는 배역들의 독특한 냉소적 유머가 묘한 매력을 선사하는 숨은 걸작이다. 이 때문에 영화는 열광적인 팬들을 낳아 인터넷 시대의 첫 컬트영화로까지 평가받고 있다. 영화의 무대는 1990년대 초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 군대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한 뒤 당시 조지 H 부시 대통령(아버지 부시)이 군사작전을 준비하던 시절의 미국 로스앤젤레스다.
섹스 후 들이켠 화이트 러시안
주인공 제프 레보스키(제프 브리지스 분)는 이렇다 할 직업도 없고 그렇다고 특별한 삶의 목표가 있는 것도 아닌, 보기에도 어수선한 게으른 백수건달이다. 그는 자기의 본명보다는 듀드(Dude·멋쟁이)로 불리기를 좋아하고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은 친구들과 볼링을 치면서 시간을 죽이며 산다. 그의 볼링 단짝은 베트남전쟁 참전군인 출신으로 다혈질 성격을 곳곳에서 드러내는 월터(존 굿맨 분)와 어수룩하면서도 조용한 성격의 순진한 도니(스티브 부세미 분)란 친구다.
어느 날 여느 때와 같이 반바지에 코트를 걸친 어수선한 복장으로 슈퍼마켓에서 간단하게 장을 본 뒤에 혼자 살고 있는 집으로 돌아온 듀드는 뜻밖의 사건에 휘말린다. 난데없이 재키 트리혼이란 사채업자가 보낸 청부 해결사들이 나타나 ‘레보스키의 부인’ 버니가 진 빚을 갚으라며 온갖 행패를 부린 것이다. 청부업자 중 한 명은 듀드가 아끼던 마루 카펫에 오줌까지 갈겼다. 부인이 없는 듀드는 영문도 모른 채 봉변을 당해야 했다. 청부업자들도 뒤늦게 자신들이 사람을 착각했다는 점을 알아챘다. 레보스키는 봉변을 당한 뒤에야 로스앤젤레스에 그와 동명이인의 큰 부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를 찾아간다.
백만장자인 또 다른 레보스키(영화 타이틀 The Big Lebosky는 이 사람을 가리킨다)는 6·25전쟁에서 두 다리를 잃고 휠체어를 타야 했지만 자수성가해 큰 부를 일궈낸 사람이었다. 그러나 빅 레보스키(데이비드 허들스톤 분)는 카펫에 대한 변상을 요구하러 온 듀드를 돈을 뜯어내려는 건달 사기꾼으로 취급하며 쌀쌀하게 대한다. 쫓겨나다시피 나온 듀드는 대신 레보스키의 집사를 속여 집안에 있는 카펫 하나를 들고 나온다. 바로 그때 듀드는 정원 의자에 도발적인 자세로 앉아 있던 문제의 젊은 후처 버니와 조우한다. 버니는 원래 돈을 보고 레보스키와 결혼했지만 남편이 그의 허영을 충족시킬 만한 돈을 주지 않자 평소 사채와 연관된 복잡한 문제를 일으키곤 했다. 듀드가 당한 봉변의 빌미를 버니가 제공했던 것이다.
집에 돌아간 듀드는 여전히 다혈질 월터와 순진한 도니와 어울려 볼링장에 드나들면서 백수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며 시간을 보낸다. 그런데 며칠 후 빅 레보스키의 비서로부터 연락이 온다. 갑자기 버니가 사라지고 납치범으로부터 100만달러를 요구하는 협박편지가 왔는데 아무래도 듀드의 집을 습격했던 해결사들의 소행 같으니 돈을 대신 전해주면서 그들인지 확인해달라는 것이다.
듀드는 레보스키의 돈을 노린 버니의 자작극으로 판단했지만 2만달러를 받고 부탁을 들어주기로 한다. 그런데 당일 듀드가 돈을 싣고 가는 차량에 다혈질 월터가 동승하면서 일이 꼬이기 시작한다. 결국 월터의 단순 무모한 계획 때문에 그들은 범인들을 놓친 채 돈을 전달하는 데도 실패한다. 돈을 받지 못한 범인들이 버니를 죽일지도 모르며, 또 레보스키에게는 뭐라고 변명해야 하느냐며 걱정하는 듀드에게 월터는 “자작극이 틀림없다”며 개의치 않는다. 오히려 차에 남아 있는 100만달러를 자연스럽게 차지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