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을 한참 거슬러 올라간다. 5·16군사정변을 통해 권력을 잡은 박정희 정권은 이른바 조국 근대화의 첫걸음으로 울산공업단지를 조성하기로 결정한다. 문제는 공업용수, 온갖 궁리 끝에 1962년 울주군 범서면 사연리 대곡천 일대 물줄기들을 모을 수 있는 거대한 인공 댐을 건설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래서 생긴 댐이 사연댐이다.
마을로 통하는 좁디좁은 외길
1962년부터 1965년 사이에 건설된 댐은 높이 46m, 길이 3000m에 달하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규모였다. 울산공업단지에 필요한 공업용수, 식수, 생활용수를 공급했다. 오늘날 울산이 누리는 풍요는 사연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한실마을 사람들의 얘기다. 그러나 댐 건설로 졸지에 터전을 잃게 된 100여 호 600여 명의 주민은 뿔뿔이 흩어졌다. 너른 들판 위에 우뚝 서 있던 대곡초등학교는 차오르는 물과 함께 아득한 역사 속으로 사라져갔고 기름진 문전옥답도 깊은 물속에 잠들었다. 그뿐인가, 대대손손 전해 오던 옛이야기도 검푸른 물속에서 숨을 거뒀다.
한실마을은 이처럼 사연댐이 낳은 사생아 같은 곳이다. 댐 건설로 인해 마을로 통하는 길은 외길이다. 마을이 숨어 있는 댐 상류에 가려면 승용차 한 대가 아슬아슬하게, 아니 덜덜 떨며 운전해야 할 만큼 좁은 도로를 한참 달려야 한다. 과장이 아니다. 간이 작은 소심한 운전자는 운전하기 힘들 정도로 길이 좁다. 행여 마주 오는 차를 만나면 그날 볼 일은 끝났다고 보면 된다.
그뿐인가. 언젠가 버스가 들어서다 꼼짝달싹 못하고 갇혀 크레인이 동원된 웃지 못 할 사건도 발생했다. 그래서 도로 입구에 ‘버스(소형 포함) 출입금지’라는 입간판까지 내걸었다. 도로가 얼마나 좁고 굴곡이 심한지 알게 해주는 이야기는 끝이 없다. 도로가 끝나 산골짜기에 다다르면 몽땅 꼽아봐야 열 가구가 안 되는 집들이 띄엄띄엄 흩어져 있다. 그나마 두 집은 울산 등 도회 사람들이 별장으로 지은 집이다. 나머지 집들은 남루하다 못해 궁색하기만 하다.

반구대 암각화 학그림.
월성 박씨 죽와공파의 묘사 날이란다. 두루마기 입은 할아버지가 객의 손을 덥석 잡고 끌고 들어간 재실은 냉방이다. 재실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조상님 귀신이 사는 집, 그래서 구들장도 없고 전기조차 아예 들어와 있지 않다. 바깥은 영하 10도를 훌쩍 넘긴 강추위, 방바닥은 냉골로 엉덩이를 붙이기가 불가능하다. 쪼그리고 화장실 자세로 앉아 있노라니 묘사를 지낸 푸짐한 상과 함께 얼음 같은 정종을 종이컵에 가득 부어준다. 실로 수십 년 만에 맛보는 묘사 떡과 음복(飮福) 정종이다. 재실을 세운 월성 박씨 죽와공파 중시조에게 감사라도 표해야 할 것 같다.
냉방 재실에서 정종 한잔

묘사를 지내고 재실 앞에 모인 월성박씨 집안 사람들.
간만에 재실에 모인 월성 박씨 죽와공파의 어른들도 모두 늙었다. 지금은 울산에, 대구에, 부산에 흩어져 살고 있지만 모두 옛날 좋았던 시절 한실마을에서 살았다. 모두 대곡초등학교 동창생이었다.
“저기 보이는 저 튀어 나온 낭떠러지 아래에 우리 학교가 잠겨 있슴니더. 마 여기 올 때마다 옛생각이 사무치지만 그래도 울산공단이 성공했다 아임니꺼. 많은 사람들 묵여 살리는 걸 보면 그래도 뿌듯한 자부심도 느낌니더.”
월성 박씨 죽와공파의 묘사를 모신 박두원 옹(86)의 목소리에는 슬픔과 체념이 교차한다. 중시조들이 임진왜란을 피해 이 골짜기로 숨어들었고 그때 이후 이곳에 똬리를 틀어 집성촌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사연댐 건설로 이제는 재실 하나가 달랑 남아 그 옛날의 융성했던 문중의 역사를 증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