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구리시 동구릉 내 헌릉의 정자각. 헌릉은 문종이 묻힌 곳이다.
세종 31년 10월 25일 ‘조선왕조실록’은 세자 이향(문종)의 종기에 대해 처음 기록했다. “세자에게 등창[背疽]이 생기니, 여러 신하를 나누어 보내 기내의 명산·대천과 신사·불우에 빌게 하고, 정부·육조·중추원에서 날마다 문안드리게 하였다.”
11월 15일 기록은 종기가 완치됐음을 알린다. “동궁의 종기는 의원의 착오로 호전되지 못했음에도 이를 물은즉, ‘해가 없습니다’ 하여, 동궁으로 하여금 배표(拜表·조선시대에 왕이 중국 황제의 표문(表文)을 받던 일)하고 조참(朝參·한 달에 네 번 중앙의 문무백관이 정전(正殿)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정사(政事)를 아뢰던 일)까지 받게 하였다니, 걸음걸이에 몸이 피로하여 종기의 증세가 다시 성하게 한 것이었다. 또 실지(實地)로서 아뢰지 않아서 갑자기 중함이 이르게 하여 위태로운 증세가 심히 많았으니, 의원의 착오를 어찌 이루 말할 수 있겠느냐, 어쩔 수 없어 생명을 하늘에 맡겼더니, 다행하게도 이제 종기의 근[腫核]이 비로소 빠져나와 병세는 의심할 것이 없게 되어, 한 나라의 경사가 이에 지날 수가 없다.”
세자의 등에 난 종기인 등창의 크기와 모양은 실록에 자세히 기록됐다. 세종 32년 1월 26일의 기록이다. “세자가 작년 10월 12일 등 위에 종기가 났는데, 길이가 한 자가량 되고 넓이가 5, 6치[寸]나 되는 것이 12월에 이르러서야 곪아 터졌는데, 창근(瘡根)의 크기가 엄지손가락만한 것이 여섯 개나 나왔고, 또 12월 19일 허리 사이에 종기가 났는데 그 형체가 둥글고 지름이 5, 6치나 되는데, 지금까지도 아물지 아니하여 일어서서 행보(行步)하거나 손님을 접대하는 것은 의방에 꺼리는 바로서 생사(生死)에 관계되므로, 역시 세자로 하여금 조서(早逝·요절)를 맞이하게 할 수 없습니다.”
세자의 등창은 요즘 단위로 환산하면 길이가 30cm, 너비가 15~18cm 되는 아주 큰 종기였다. 지극한 정성으로 호전됐지만, 12월 19일 허리에서 재발했고, 이 종기는 그의 마지막 순간까지 목숨을 위협한다.
여색 멀리한 ‘바른생활 사나이’
문종에게 처음 발병한 종기는 배저(背疽)다. ‘동의보감’은 종기를 옹(癰)과 저(疽)로 나눈다. “옹은 병이 얕은 곳에서 생기며 급하게 달아오르지만 치료하기 쉽다. 저는 독기가 속에 몰려 있으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문종의 종기는 안타깝게도 치료하기 어려운 저에 속하는 배저, 등창이었다. 동의보감은 옹저가 생기는 부위에 따라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면서 부위를 5곳으로 분류했다. 그중 한 부위가 바로 등이었다.
동의보감은 등 부위에 생긴 등창의 원인을 이렇게 지적했다. “등은 방광경과 독맥(督脈·회음부에서 시작해 등의 척추 중앙선을 따라 위로 올라 목을 지나 머리 정수리를 넘어 윗잇몸의 중앙에 이르는 경맥)이 주관하는 곳이지만 오장은 다 등에 얽매여 있다. 혹 독한 술이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거나 성을 몹시 내고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신수가 말라서 신화가 타오르면 담이 엉키고 기가 막히는데 독기가 섞이면 아무데나 옹저가 생긴다.”
문종은 술이나 기름진 음식을 좋아했을까? 문종 2년 2월 14일, 실록은 그가 아우들에게 한 말을 이렇게 기록했다. “남녀와 음식의 욕심은 사람에게 가장 간절한 것인데, 부귀한 집의 자제들은 이것 때문에 몸을 망치는 이가 많다. 내가 매양 아우들을 보고는 순순히 경계하고 타일렀으나 과연 능히 내 말을 따르는지는 알 수가 없다.”
문종의 등창이 독한 술이나 기름진 음식으로 인해 생겼다고 보긴 힘든 대목이다. 당시 실록의 평가도 그의 말과 일치한다. ‘희로를 얼굴에 나타내지 않았고, 음악과 여색을 몸에 가까이 하지 않으며, 항상 마음을 바르게 하여 몸을 수양하였다.’
건강은 여러 가지 요건이 합리적으로 맞아떨어질 때 유지된다. 실록은 문종의 건강에 일부 적신호를 보였던 부분에 대해 언급했다. “임금의 성품에 지극히 효성이 있어 양궁(兩宮·세자와 세자빈을 아울러 이르던 말)에 조금이라도 편안치 못한 점이 있으면 몸소 약 시중을 들어서 잘 때도 띠를 풀지 않고 근심하는 빛이 얼굴에 나타났다. 세종이 병환이 나자 근심하고 애를 써서 그것이 병이 되었으며 상사(喪事)를 당해서는 너무 슬퍼하여 몸이 바싹 야위셨다. 매양 삭망절제에는 술잔과 폐백을 드리고는 매우 슬퍼서 눈물이 줄줄 흐르니, 측근의 신하들은 능히 쳐다볼 수 없었다. 3년을 마치도록 외전(外殿)에 거처하셨다.”
세종의 투병에 효심 지극
세종에 대한 그의 효심은 놀랄 만큼 지극했다. “세종께서 일찍이 몸이 편안하지 못하므로 임금이 친히 복어를 베어서 올리니 세종이 맛보게 되었으므로 기뻐하여 눈물을 흘리기까지 하였다. 후원에 앵두를 심어 무성하였는데 익은 철을 기다려 올리니 세종께서 반드시 이를 맛보고 기뻐하시기를 외간에서 올린 것이 어찌 세자가 손수 심은 것과 같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여기서 복어는 전복을 말한다. 물고기인 복어와 다르다. 실록에선 우리가 익히 아는 복어를 하돈(河豚)으로 표시했다. 세종 6년의 실록은 복어가 하돈이란 점을 명확히 표시했다. “형조에서 계하기를, 전라도 정읍현의 정을손이 그의 딸 대장과 후처 소사가 음란한 행실이 있으므로 이를 구타하고, 또 대장의 남편 정도를 구타하여 내쫓으려고 하니, 정도가 하돈(河豚)의 독을 을손의 국에 타서 독살하였는데, 소사와 대장은 이것을 알면서 금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정도는 옥중에서 병사하였으니, 소사·대장만 율에 의하여 능지처사(陵遲處死·능지처참)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