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선 당시에도 선거대책위원회 상임특보를 맡아 이른바 ‘BBK주가조작’ 사건 등에 대한 대통합민주신당 측의 파상 공세를 막아냈다.
고려대 출신 사법·행정고시 합격자들의 친목 모임인 겸선회 멤버이면서 고려대 교우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다.
이 대통령과의 여러 인연으로 지난해 12월 이 대통령 당선 직후부터 법무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 후보에 오르내렸다.
결국 이 대통령을 보좌하는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으로 최종 낙점됐다.
그러나 법조계에서는 이 수석이 청와대 근무 이후 법무부 장관 등 다른 요직에 재기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왕수석’이라고 부르는 등 그의 지나친 독주를 견제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서울지검 특수 1·2·3부장과 3차장,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수사기획관과 중수부장을 거친 이 수석은 검찰 내 대표적인 특별수사통이자 특별수사의 산증인이다.
부하직원이 완벽한 보고서를 만들어올 때까지 결재를 보류할 정도로 일처리가 꼼꼼한 편이다.
서울지검 3차장 시절 김성호 국정원장을 특수부장으로 지휘할 정도로 검찰 내 특별수사의 전성기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영삼 정부 출범 후 대검 중수1과장과 수사기획관을 맡아 ‘율곡비리 사건’ 등 사정수사 실무를 담당했다.
서울지검 3차장 때는 미국 연방수사국(FBI)을 모델로 하는 특별수사본부를 창설했으며, 12·12, 5·18 사건 특별수사본부장을 맡아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구속했다.
김대중 정부에서도 대검 중수부장으로 집권2기 사정을 잠시 맡았지만 사시 동기인 김각영 당시 법무부 차관이 검찰총장에 오르면서 한부환 전 법무부 차관 등과 함께 옷을 벗었다.
그는 당시 서울고검장 퇴임식에서 “사정(司正)의 이념이 파괴나 보복이 아니라 미래생산에 지향돼 있듯이 개혁 역시 파괴나 배척보다는 순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어느 조직이나 경륜과 패기가 잘 융합돼야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조직 내 의사소통이 동기가 되는 개혁이야말로 목표를 진정으로 이룰 수 있다”고 말해 당시 검찰의 서열파괴 인사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