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대만 단교 20년 아픔 딛고 경제·문화 협력해 상호발전 이뤄야”

왕진핑 대만 입법원장 단독 인터뷰

“한국-대만 단교 20년 아픔 딛고 경제·문화 협력해 상호발전 이뤄야”

2/4
“한국-대만 단교 20년 아픔 딛고 경제·문화 협력해 상호발전 이뤄야”

왕진핑 대만 입법원장의 SKKU Distinguished Fellow 수상 이후 축하연에서 함께 기쁨을 나누고 있는 왕 원장(왼쪽)과 백용기 서울·타이베이클럽 회장.

대만이 이처럼 국제관계에서 자신감을 갖게 된 배경에는 2008년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 취임 후 이뤄진 중국과 대만 사이의 관계 개선이 있다. 마 총통은 천수이볜(陳水扁) 전 총통 시절 계속된 중국과의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겠다고 밝히며, 1992년 양안(兩岸)이 구두로 합의한 ‘공식(共識)’을 관계의 기초로 삼았다.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그 의미는 대만과 중국이 각자 해석한다’는 내용이다. 마 총통은 또 ‘不統 不獨 不武(통일도 독립도 추구하지 않으며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원칙도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은 서로를 ‘중국’의 적통 정부로 여기되 상대의 통치권은 존중하며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됐다. 왕 입법원장은 “마 총통 취임 후 양안은 ‘양안경제협력구조협의(경제협력기본협정·ECFA)’를 비롯해 18개의 협정을 맺었고, 앞으로 더 많은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는 데 의문의 여지가 없다. 꾸준히 협력하면서 평화로운 미래를 창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상태”라고 했다.

“대만은 앞으로 국제사회와 선진 지구촌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하고자 합니다. 유럽과 미국 의회 등은 이미 대만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등에 옵서버로 참여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 한국도 국제무대에서 우리를 위해 목소리를 내주면 좋겠습니다.”

왕 입법원장의 바람이다.

그는 한국과 대만의 경제 분야 협력 강화도 제안했다. 양국 경제는 이미 상당히 밀접한 관계에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양국의 무역총액은 약 329억 달러. 대만은 우리나라의 6위 교역 파트너이고, 한국은 대만의 제4위 교역 대상국이다. 반면 상대국에 대한 투자는 미미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IT, 반도체 등 주력산업이 중복되는 데다 양국이 중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에 대해 왕 입법원장은 “양국 산업이 닮은 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경제체제 면에서 볼 때 한국은 대기업이 막강하고 대만은 중소기업이 뛰어나기 때문에 한국 대기업과 대만의 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서로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양국 경제가 협력해야 하는 이유를 들며 한국과 대만의 ‘깊은 유대관계’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경제협력 강화



“1970년대에 양국은 고속 성장을 거듭해 동아시아 지역 발전의 견인차 구실을 했습니다. 홍콩, 싱가포르와 더불어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약속이나 한 듯 한국 , 대만 모두에서 민주화 물결이 일어나 대의정치가 실현됐습니다. 지난 40년 동안 양국이 이룬 경제적, 민주적 성과는 괄목할 만합니다.”

왕 입법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이런 공통점을 바탕에 둔 양국이 현재 ‘한·대만 투자보장협정’을 추진 중인 것은 무척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 짓고 ‘한·대만 기상협력협정’ 과 ‘한·대만 자유무역협정’ 등에서도 소기의 성과를 거둔다면 양국 관계가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10여 년간 한국은 아주 눈부신 발전을 이뤘습니다. 저는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고 추앙받는 것을 잘 압니다. 한국의 발전을 축하하고 존경하며,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산관학(産官學) 협력과 대기업의 성공에 대해 경탄하고 있습니다. 또 한국이 세계 각국과 FTA를 맺은 것에 대해서도 경탄합니다.”

왕 입법원장의 말이다. 그는 “개인이 발전하려면 반드시 존경할 만한 라이벌이 필요한데, 한국은 대만이 절대적으로 존경할 만한 협력 파트너이자 라이벌”이라고 했다. 그는 이번 방한기간에 삼성인력개발원을 방문해 전시관 등을 돌아보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2/4
대담·이인철 편집장 / 정리·송화선 기자
목록 닫기

“한국-대만 단교 20년 아픔 딛고 경제·문화 협력해 상호발전 이뤄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