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단아하고 품격 있는 모양과 빛깔을 지닌 제기 일습.
3 악기는 방짜 유기여야 소리가 제대로 난다. 은은하게 울리는 좌종을 만들려면 테두리 부분은 두껍게, 아래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메질해야 한다.
4 여러 가지 종류의 그릇. 1980년대 초반부터 작은 그릇까지 방짜로 만들기 시작했다.
5 부처님께 바치는 제기 중 생쌀을 담는 그릇(생미기).
6 방짜 화분에서 식물은 더 싱싱하게 오래 산다.
7 예부터 우리 민족은 숟가락은 늘 방짜를 썼다.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였다.
8 흔히 보는 나무로 만든 고비와는 색다른 멋을 풍기는 방짜 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