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주류 경제학은 현대판 천동설이다

과학으로 본 금융위기

주류 경제학은 현대판 천동설이다

1/4
  •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국들이 세계의 문제아가 되고 있다. ‘내 돈 빌려다 잘들 사셨군. 그럼 빚 갚아야지!’라고 독일 같은 나라는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의 꽃인 금융은 수치로 이뤄져 있다. 그렇다면 과학의 관점에서 금융위기와 주류 경제학은 어떻게 설명될까. 금융위기로 답답해하는 사람이 워낙 많으니 이런 의문도 들 수 있다.
주류 경제학은 현대판 천동설이다

5월 12일 스페인 80여 개 도시에서 10만여 명의 시민이 정부의 긴축안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마드리드에서 경찰이 시위대원의 팔다리를 들어 연행하고 있다.

요즘 신문 경제면은 우울한 뉴스로 도배된 듯하다. ‘유럽발 퍼펙트 스톰 몰려온다.’ 제목만 봐도 섬뜩하다.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개미라면 ‘내 주식이 휴지조각 되는 거 아냐’라는 생각에 등골이 서늘해진다.

매일 유로존 위기, 경기 침체 같은 기사가 실리는데 해결될 기미는 없다. 투자자들은 유로존 국가들이 찔끔찔끔 대책을 내놓지 말고 완벽한 조치를 취하기를 바란다. 미국에는 양적 완화 조치를 기대한다. 나중에 어떤 부메랑이 돌아오든 간에 당장 경기를 부양하라고 말한다. 아니면 부양하겠다는 신호라도 계속 보내달라고 요구한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자들은 희망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손에 들고 있는 것이 폭탄일지 모르지만 터지기 전에 남에게 떠넘길 수 있을 것이라고, 치른 비용을 초월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경제지들은 지금도 계속 그런 쪽으로 기사를 내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둥, 오피스텔을 사둘 적기라는 둥, 가치주에 투자하라는 둥. 하지만 이런 기사 중 상당수는 현재 폭탄을 들고 있는 사람에게만 희망을 줄 뿐 대다수를 설득하지는 못하고 있다. 경기는 침체일로이고 투자는 전혀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이 그 반증이다. 세계경제의 리더들조차 금융위기가 끝났다고 말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금융이 과학과는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알아보자.

즐거울 때 고위험 못 깨달아



경제학(economics)과 생태학(ecology)은 어원이 같다. 진화론의 창시자 다윈은 맬서스의 경제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주가 변동을 설명하는 랜덤워크 가설은 물리학의 브라운 운동을 다루는 공식과 다를 바가 없다. 이렇게 경제의 역사를 보면 과학과 관련이 깊은 사례가 무수히 많다.

심지어 가격 변동이 정규 분포를 보인다는 경제의 기본 개념은 유전학자이자 골상학자인 프랜시스 골턴의 이론 체계에서 빌린 것이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학문 간의 경계는 더욱 뚜렷해졌고 경제학과 과학은 독자적으로 발전해온 것도 사실이다.

이러던 차에 경제학이 다시 과학과 손을 잡게 된다. 금융공학이 출현하면서였다. 1970년대 미국의 국력을 과시하는 데 기여한 아폴로 계획이 시들해졌다. 이 분야에 종사하는 수많은 과학자는 실업자가 될 신세에 직면했다. 경제 분야에선 위험과 불확실성을 계량하는 블랙-숄즈 모형의 등장으로 편미분 방정식을 풀어줄 인재들이 필요했다. 양쪽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물리학자, 수학자, 컴퓨터과학자가 금융 분야로 진출했다.

이들은 새로운 모형을 만들었다.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작업도 했다. 이들이 개발한 모형, 공식, 파생상품 덕분에 금융회사들은 엄청난 수익을 올리게 됐다. 효과가 입증됐으므로 더 많은 천재적인 과학자가 금융계로 뛰어들었다. 자신이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가 아니라는 자괴감 때문에 대신 돈이나 벌자고 과학계를 떠난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과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금융공학으로 만들어낸 거대한 규모의 금융 거래는 세계적으로 거품 경제를 부추겼다. 결국 1990년대 아시아 경제를 위기로 내모는 데 일조했다. 2000년대에는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를 금융위기에 몰아넣고 있다. 그러니 과학은 경제의 규모를 확대시키는 한편으로 경제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데에도 기여한 셈이다.

금융위기 이후 비판론자들은 “경제학의 기본 토대가 잘못됐다”는 날 선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경제행위자를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지극히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 사실상의 자동 기계, 유체 속에서 서로 이리저리 부딪치며 떠돌아다니는 입자 등으로 가정한 것이 그랬다. 모든 위험과 정보가 상품의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는 효율 시장 가설도 그러했다. 급격한 가격 변동이 일어날 확률은 수백만 분의 1에 불과하다는 가설도 마찬가지였다. 이론적으로 그럴듯하지만 현실은 너무나 달랐다.

1/4
이한음|과학칼럼니스트 lmglhu@daum.net
목록 닫기

주류 경제학은 현대판 천동설이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