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곤 앉아 의자 등받이를 45도 정도 뒤로 젖히고 두 손을 깍지 끼더니, 치밀한 공학도처럼 묻는다. “인터뷰하는 목적이 무엇입니까.” 메일로 보낸 질문지와 인터뷰 의뢰할 때 말한 내용이 서로 다르다며, 다시 정리해 알려달라고 했다. A와 B와 C에 대해 궁금하다고 답하자, 정말이지 1시간 반 동안 A와 B와 C, 그리고 이것들의 관계에 대해서만 충실히 답하곤 인터뷰를 끝냈다. 중간에 다른 것이 궁금해 질문지를 총장 앞으로 밀어놓으며 운을 떼기도 했지만 허사였다. 그는 목적을 세우고 그에 맞춰 행동하는 데 익숙한 사람이었다. 서남표 카이스트(KAIST) 총장은 자신의 열정을 높낮이 없는 톤으로 쉼 없이 쏟아냈다.
‘목적이 뭐냐’
▼ 총장께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최적의 설계이론(‘공리(公理)를 이용한 생산설계 이론’)을 이용해 미국 국립과학재단 조직 개편을 성공적으로 이끄셨다고 들었습니다.
“공학이론이긴 하지만 내용은 사실 간단합니다. 기계도 목적을 세운 다음에 설계하는 것처럼, 기관도 목적을 세운 다음에 그걸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겁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일의 성과가 제대로 나지 않습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을 개편할 때도 이걸 적용했습니다. 그동안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재정적 지원을 더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었지만, 저는 그 재단이 만들어진 목적부터 되짚어봐야 한다고 봤습니다. 정부가 이 기관을 만들 때(1950년) 통과시킨 법을 찾아보니 기관의 목적을 과학기술 지속발달, 사람들의 행복감 증진, 국방임무라고 명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생각해보고, 그에 맞는 조직체를 구성해 일을 추진했습니다.”
▼ 그럼 카이스트 개혁도 이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합니까.
“물론입니다. 우리는 목표를 세계에서 제일 좋은 대학이 되는 것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려면 여러 가지 하부 방법이 있겠지요. 우선 좋은 학생을 선발해야 할 것이고, 그 학생들을 잘 교육시켜야 할 겁니다. 좋은 교수도 데려와야 하고, 기발한 연구 성과도 내야 할 겁니다. 내가 사람들에게 처음에 묻는 것이 ‘목적이 뭐냐’는 겁니다. 목적이 분명치 않으면 방법도 제대로 만들 수 없고, 성과를 내기도 어려워집니다.”
3월 초 일간지에는 카이스트의 파격적인 입시제도가 소개됐다. 기사 헤드라인만 봐도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KAIST, 내년부터 무시험으로 150명 선발’(전자신문),‘사(私)교육은 사(死)교육, 서남표, 칼을 뽑다’(조선일보),‘KAIST- 과학영재학교 공교육 살리기 입시개혁안’(동아일보)…. 주어 목적어 술어를 흐트러짐 없이 말하는 그에게 물었다.
▼ 2010년 입시부터 신입생의 20%인 150명을 일반고 학교장 추천을 거쳐 심층면접으로만 선발한다는 것이 요지인데, 이 전형의 대상을 일반고 학생으로 제한한 이유는 뭡니까. 그리고 제도의 추진 동기는 무엇입니까.
“KAIST의 경우, 일반고 출신의 졸업 성적이 과학고 출신의 것보다 좋기 때문이에요. 결과적으로 보면 과학만 배우는 애들보다 다양한 교육을 받은 애들이 더 성장합니다. 집안 환경이 어려워 사교육 못 받은 아이들 중에도 얼마든지 우수한 학생이 있을 텐데 어떻게 뽑을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이런 방안을 내놓게 됐습니다. 그래서 농어촌 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10%씩 우선적으로 할당하기로 했지요. 그동안 사교육으로 시험 잘 치르는 기술을 습득한 애들을 뽑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는 머리 좋아 보이는 애들이 아닌, 진짜 머리 좋은 학생들을 찾으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