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호

아카데미상 名수상소감

발랄한 위트부터 신랄한 정치적 발언까지 아카데미를 빛낸 말들

  • 김치완│미국=문화칼럼니스트 nambawan@gmail.com│

    입력2009-04-03 14:0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매년 초 영화계를 비롯한 전세계 대중이 주목하는 시상식이 있다. 바로 미국의 아카데미 시상식이다.
    • 그 존재감만으로도 빛나는 스타들은 수상 소감 역시 남다르다. 영화 못지않게 감동적인(혹은 재미난) 수상 소감들을 모았다. ‘편집자’
    아카데미상 名수상소감
    지난 2월22일 미국 할리우드 코닥극장에는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 커플 같은 현역 배우부터 소피아 로렌 같은 왕년의 여우까지 수많은 별이 한자리에 모였다. 올해 81회를 맞은 아카데미 시상식을 위해서였다. 흔히 할리우드를 ‘꿈의 공장’이라고 한다. 영화관련 예술인들로 구성된 비영리단체인 미국의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는 매년 이 꿈의 공장에서 배출한 최고의 영화작품, 배우 등에 상을 수여하고 있다.

    언론에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갖췄다고 평가받는 할리우드 영화의 포스터에는 으레 금색의 대머리 사내가 한두 명 이상 서 있게 마련이다. ‘오스카’라는 이름을 가진 이 대머리 사내는 예전부터 하나의 권위를 상징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닥터 지바고’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등은 모두 ‘오스카’라는 이름 하나만으로도 왠지 한 번쯤 봐줘야 하는 영화가 되었으며 그 권위는 지금도 여전하다. 미국영화가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미국이 아무리 쇠락의 길을 걷는다 한들 말이다.

    먹고살기도 빠듯한데 남의 나라 배우나 ‘꿈의 공장’과 같은 얘기들이 무슨 소용이냐고 물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지금이야말로 스타와 꿈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아카데미 시상식이 시작된 1929년은 미국 대공황의 원년이다. 그리고 지금, 자동차산업이 붕괴되고 은행들은 허덕거리며 실업률이 높아만 가는 이 총체적인 난국 속에서도 미국의 영화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건재하다. 최근 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에 비해 미국 내 영화표 판매량은 17.3% 증가했다고 한다. 어쩌면 잠시라도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 스크린으로 도피하고 싶은 이가 그만큼 많은 건지도 모른다.

    불황에도 “The show must go on”

    그런 점에서 올해 제81회 아카데미에서 ‘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선전은 의미심장하다.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음악상 등 8개의 오스카를 거머쥔 이 영화는 사실 예전의 수상작에 비하면 상당히 ‘낯선’ 작품이다. 일단 영국과 인도의 합작품이라는 점이 그렇다. ‘트레인스포팅’ ‘28일 후’를 만든 감독 대니 보일은 영국 출신이며 수많은 인도 발리우드 영화의 음악을 맡은 인도인 A.R.라만을 비롯해 출연자 전원이 영국 혹은 인도 출신이다. 스토리 또한 인도 뭄바이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한 고아 청년이 퀴즈쇼에 나가 백만장자가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주인공은 결국 돈방석에 앉고 흠모하던 여인까지 얻는다. 그리고 화려한 한바탕 춤 잔치가 영화의 대미를 장식한다. 색다른 외양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하면 된다’ ‘꿈은 이뤄진다’는 고전 할리우드 영화(혹은 미국)의 공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8) ‘디파티드’(2006) ‘밀리언 달러 베이비’(2005) 등 지난 몇 년간 비교적 ‘어두웠던’ 최우수작품상 수상작들과 달리 말이다. 시상식 역시 ‘잠시 복잡한 생각은 접고 즐기자’는 분위기가 강했는데 크리스 록, 존 스튜어트와 같이 시사풍자에 능한 코미디언들이 사회를 맡아 식 중간 중간 할리우드 시스템에 대해 비판 섞인 농담을 던지곤 했던 예전과 달리 올해는 머리 아픈 풍자도 없었다. 올해 처음 아카데미 시상식 사회를 본 ‘엑스맨’ ‘반헬싱’의 휴 잭맨은 행사 내내 신나게 노래하고 춤을 췄다. 대공황 시기 화려하기 그지없던 아카데미 시상식처럼 말이다. 하긴 “The show must go on(쇼는 계속되어야만 한다)”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제 1원칙 아닌가.



    꿈의 오스카, 꿈을 이룬 사람들

    물론 할리우드가 파는 꿈의 진실성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꿈은 꿈을 낳는다는 것’. 지난 2월 코닥 극장에 모인 영화인들 역시 한때는 할리우드 영화와 아카데미 시상식을 보면서 스타의 꿈을 키워갔을 것이다. 지난 1991년 ‘사랑과 영혼’으로 아카데미 최우수여우조연상을 수상한 우피 골드버그(그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헤티 맥대니얼 이후 흑인여성으로는 두 번째 아카데미 수상자다)도 그랬다. 어린 시절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자란 그는 시상식장에 모인 스타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As a little kid, I lived in the projects and you‘re the people I watched. You‘re the people who made me want to be an actor. I‘m so proud to be here.”

    아카데미상 名수상소감

    2월 22일 열린 제 81회 아카데미상 시상식 광경. ‘슬럼독 밀리어네어’는 최우수작품상을 비롯 8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어린 시절 projects(미국의 빈민들을 위해 지어진 공단주택을 일컫는 말.‘public housing’이라고도 한다)에서 살던 저는 당신들을 보면서 자랐습니다. 당신들이 제게 배우의 꿈을 키워줬습니다. 이 자리에 서게 돼 정말 영광입니다.

    우리에게 ‘대부’ ‘스카페이스’ ‘칼리토’와 같은 영화들로 유명한 알 파치노. 그는 1972년 ‘대부’를 시작으로 ‘형사 써피코’ ‘개 같은 날의 오후’등의 작품으로 무려 일곱 번이나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하지만 그로부터 20년 후인 1992년에야 비로소 ‘여인의 향기’ 맹인 퇴역 장교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는다. 그리고 그 감격적인 순간, 우피 골드버그처럼 뉴욕 브롱스 지역에서 어렵게 자랐던 알 파치노는 옛날의 자신처럼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을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버리지 말라는 격려의 메시지를 전한다.

    “I had this thought and if I ever got up here I would say it. I‘ve been very lucky, and I‘ve been lucky. I found this desire for what I do early in my life and I‘m lucky because I had people who encouraged that desire from Lee Strasberg to my great friend and mentor Charlie Laughton to the great writers and film makers that I‘ve been fortunate enough to work with.

    Now, recently, a young girl came up to me. I was at a function for the South Bronx which is where I‘m from, and she said that I had encouraged her. And that‘s not necessarily by my work but just by the fact that we came from the same place. And I just can‘t forget that girl and I can‘t forget the kids out there who may be thinking tonight that if he can do it, I can do it. So this is really a proud and hopeful moment for me because I want to thank the Academy for giving us a gift of encouragement and this a gift, a great gift to me. Thank you all, really. Thank you.”

    이 자리에 서게 되면 꼭 전하고 싶었던 말이 있습니다. 난 참 운이 좋았습니다, 정말 운이 좋았어요. 일찍이 내가 하는 일에서 꿈을 찾았으며, 저를 독려해줬던 리 스트라스버그(더스틴 호프만, 제임스 딘, 폴 뉴먼 등을 가르친 전설적인 연기 선생)부터 훌륭한 친구이자 스승인 찰리 라우튼(앨프리드 히치콕, 장 르누아르 등과 작업한 유명한 배우 겸 감독), 그리고 함께 작업할 수 있었던 훌륭한 작가와 감독들이 있었기 때문에 무척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한 소녀가 제게 다가왔습니다. 제가 자란 남부 브롱크스에서 열린 한 행사였는데, 제게 ‘당신 때문에 용기를 얻었다’고 했습니다. 꼭 내 연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같은 지역 출신이라는 점이 소녀에게 용기를 주었던 것입니다. 저는 그 소녀를 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오늘밤 이 시상식을 보며 ‘저 사람이 꿈을 이룰 수 있다면 나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을 잊지 못할 겁니다. 따라서 이 순간은 제게 매우 영광스럽고도 희망적인 순간입니다. 아카데미가 우리에게 격려의 선물을 준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제게 정말 엄청난 선물입니다.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45초는 너무 짧아”

    앞서 밝혔듯 알 파치노는 여덟 번의 도전 끝에 상을 받았다. 알 파치노 외에도 상복(賞福)이 없는 배우 및 감독은 많다. 심지어 ‘사이코’ ‘새’ ‘이창’ 등을 연출한 앨프리드 히치콕 같은 명감독도 말년에 받은 공로상 외에는 아카데미상을 받아본 적이 없다. 얼마 전 고인이 된 폴 뉴먼 역시 1958년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를 시작으로 여섯 번이나 아카데미 최우수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끝에 1986년 ‘컬러 오브 머니’로 상을 받았다. 이 영화를 감독한 마틴 스콜세지 역시 아카데미와 거리가 멀기로 유명했다. 그는 수차례의 도전 끝에 2007년에야 홍콩 영화 ‘무간도’를 리메이크한 작품 ‘디파티드’로 최우수작품상 및 최우수감독상을 받았다. 올해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로 최우수여우주연상을 받은 케이트 윈슬릿 또한 상복이 없던 여배우다. 우리에게 ‘타이타닉’으로 유명한 그는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이전에 무려 다섯 번이나 최우수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고 여섯 번째 도전에서 상을 거머쥔다. 그리고 이 감격의 순간에 그 역시 어린 시절 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I‘d be lying if I hadn‘t made a version of this speech before, I think I was probably eight years old and staring into the bathroom mirror. And this (holding up her Oscar) would‘ve been a shampoo bottle... well, it‘s not a shampoo bottle now!”

    제가 이 수상 소감 발표를 전에 (연습)해보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겁니다. 아마 여덟 살 때였을 거예요. 당시 저는 화장실 거울을 쳐다보고 있었고 오스카 대신 샴푸병을 들고 있었죠. 지금 제가 들고 있는 것은 더 이상 샴푸병이 아닙니다. (1994년 ‘브로드웨이를 쏴라’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다이앤 위스트 역시 비슷한 발언을 했다. “Gee, this isn‘t like I imagined it would be in the bathtub(욕조에서 상상했던 것이랑은 사뭇 다르네요).”)

    이번 시상식의 여우주연상 후보 중에는 ‘다우트’에 출연한 메릴 스트립도 있었다. 메릴 스트립은 올해 아카데미를 포함해 열다섯 번(여우주연상 후보 12회, 여우조연상 후보 3회) 후보로 올랐고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와 ‘소피의 선택’으로 두 번이나 수상했다. 이 때문인지 이를 두고 시상식에서 케이트 윈슬릿이 한 발언이 재밌다.

    “I want to acknowledge my fellow nominees, these goddesses. I think we all can‘t believe we‘re in a category with Meryl Streep at all. I‘m sorry, Meryl, but you have to just suck that up! ”

    저와 함께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동료 배우들, 이 여신들을 지목하고 싶습니다. 아마 우리 모두 메릴 스트립과 함께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는 사실이 믿기 힘들 거예요. 미안해요, 메릴. 하지만 당신은 이 사실을 그냥 받아들여야(just suck that up-suck it up은 ‘불평 불만하지 말고 견뎌라’라는 뜻의 구어체적 표현) 합니다.

    아카데미상 名수상소감

    (사진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73회 아카데미 최우수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줄리아 로버츠와 75회 최우수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 마이클 무어, 그리고 올해 81회 아카데미 수상자인 케이트 윈슬릿(최우수 여우주연상·아래 사진 왼쪽), 숀펜(최우수남우주연상·가운데), 페넬로페 크루즈(여우조연상).

    수상 소감을 위해 주어진 시간은 45초. 어렵게 받은 상인데 야박하게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최 측 입장은 또 그렇지 않다. 시상식 시간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고 생방송 중계 중간 광고까지 나가야 하기 때문. 하지만 ‘제발 좀 용건만 간단히’하라는 주최 측의 하소연은 꿈을 이룬 순간을 최대한 오래 누리고자 하는 수상자들에 의해 무시되기 일쑤다. 부모님부터 머리 해준 김 선생님 등 고마워해야 하는 사람이 많은 우리 배우들의 그것처럼 말이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제 73회 아카데미 시상식 때는 주최 측에서 “가장 짧게 수상 소감을 마무리하는 이에게 HD 텔레비전을 선물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해 ‘에린 브로코비치’로 최우수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줄리아 로버츠는 주최 측의 뇌물공세에 이렇게 대꾸한다.

    “I have a television, so I‘m going to spend some time here to tell you some things.”

    난 텔레비전을 가지고 있어요. 따라서 저는 이 자리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기 위해 시간을 보낼 것입니다.

    몸값 높은 귀한 할리우드 스타들을 고작 텔레비전으로 매수하려 하다니. 주최 측이 애초에 번지수를 잘못 짚어도 한참 잘못 짚은 것인지도 모른다. 45초가 지나면 시상식장의 오케스트라는 음악을 연주한다. 하지만 줄리아 로버츠는 오케스트라의 연주에도 굴하지 않았다.

    “A girl‘s got to have her moment. Everybody tries to get me to shut up. It didn‘t work with my parents and it didn‘t work now.”

    이 순간은 제 것입니다. 모두저더러 조용히 하라고 하죠. 하지만 그건 우리 부모님도 실패했고 지금 역시 안 통할 거예요.

    결국 줄리아 로버츠는 정해진 시간을 훌쩍 넘긴 4분 동안 수상 소감을 전한다. 하지만 사실 3분은 특유의 ‘우하하’ 큰소리로 웃는 데에 허비했고, 실제 에린 브로코비치에 대한 언급은 아예 없었다. 당시 가장 곤혹스러웠을 이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시그널 음악을 지휘하려던 그에게 줄리아 로버츠는 이런 모욕적인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Sir... you‘re so quick with that stick, but why don‘t you sit, because I may never be here again.”

    선생님, 막대기(지휘봉)를 너무 급하게 흔드시는데요. 좀 앉아 계시지 그래요? 저는 이 자리에 다시는 안 서게 될지도 모르거든요.

    지휘자를 conductor가 아닌 ‘stick guy(막대기 사나이)’라고 부르니 주최 측이 애간장 태울 만하다. 참고로 이날 주최 측으로부터 텔레비전을 선물 받은 영예(?)의 인물은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상을 받고 15초짜리 수상 소감을 전달한 마이클 두독 드 윗이었다. 하지만 아마도 주최 측이 가장 모범적인 수상 소감으로 꼽을 만한 것은 1990년 ‘좋은 친구들’로 최우수남우조연상을 수상한 조 페시가 아닐까 싶다. 역대 수상 소감 발표 중 가장 짧은 것으로 알려진 그의 수상 소감은 다음과 같다.

    “This is an honor and privilege, thank you.”

    영광이자 명예입니다. 감사합니다.

    시상식 후 왜 그렇게 멘트를 짧게 했느냐는 질문에 조 페시는 역시나 짤막하게 대답한다. “상 탈 줄 몰랐어.”

    주최 측을 난감하게 한 말말말

    매년 전세계에 방영되는 시상식이다 보니 간혹 어떤 수상자들은 이를 정치적인 소신을 밝히는 기회로 삼기도 한다. 이 역시 주최 측을 난감하게 하기는 마찬가지. 1973년 말론 브랜도가 ‘대부’로 최우수남우주연상을 수상했을 때가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그의 이름이 시상식장에 호명 되었을 때 무대 위에 오른 것은 그가 아닌 사신 리틀페더라는 한 인디언 여성이었다. 그는 시상식 참가자들에게, 그리고 전 세계의 시청자에게 이렇게 얘기했다.

    “Hello. My name is Sasheen Littlefeather. I‘m Apache and I am president of the National Native American Affirmative Image Committee.

    I‘m representing Marlon Brando this evening, and he has asked me to tell you in a very long speech which I cannot share with you presently, because of time, but I will be glad to share with the press afterwards, that he very regretfully cannot accept this very generous award.

    And the reasons for this being are the treatment of American Indians today by the film industry (중략)”

    안녕하세요. 저는 사신 리틀페더입니다. 아파치족의 일원이며 국립 아메리칸 인디언 이미지 쇄신 위원회의 회장입니다. 저는 오늘 저녁 말론 브랜도를 대신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그는 장문의 연설을 통해 안타깝게도 왜 이 상을 받을 수 없는지를 제게 밝혔습니다. 시간 관계상 추후 언론관계자들에게 그가 한 얘기를 소상히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그가 수상을 거절한 주된 이유는 바로 오늘날 영화업계의 아메리칸 인디언들에 대한 부당한 대우 때문입니다.

    아메리칸 인디언들의 인권에 항상 관심을 보인 말론 브랜도는 수상 소감 대신 아메리칸 인디언들에 대해 부정적인 묘사를 일삼아왔던 할리우드를 비판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관객의 일부는 박수를 쳤지만 대부분 야유를 보냈다. 배우 마이클 케인은 “말론 브랜도는 본인이 받아야 할 야유를 괜히 불쌍한 인디언 소녀가 받도록 했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2003년 ‘볼링 포 콜럼바인’이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을 때 역시 감독 마이클 무어는 수상 소감 대신 부시 정부와 이라크전을 반대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나머지 다큐멘터리상 후보들과 무대 위에 오른 그는 이렇게 말했다.

    “I have invited my fellow documentary nominees on the stage with us, and we would like to-they‘re here in solidarity with me because we like nonfiction.

    We like nonfiction and we live in fictitious times. We live in the time where we have fictitious election results that elects a fictitious president. We live in a time where we have a man sending us to war for fictitious reasons. (중략) Shame on you, Mr. Bush, shame on you. And any time you got the Pope and the Dixie Chicks against you, your time is up.”

    저는 함께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오른 동료들에게 무대 위에 같이 오를 것을 요청했습니다. 우리는 논픽션을 좋아하기에 연대합니다. 우리는 논픽션을 좋아하고 픽션 같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픽션 같은 선거 결과와 픽션 같은 대통령이 당선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픽션 같은 이유들로 전쟁을 시작하는 사람이 대통령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중략) 부끄러운 줄 아시오, 부시 선생. 부끄러운 줄 아시오. 교황과 딕시 칙스(‘부시가 미국의 대통령인 것이 부끄럽다’고 해서 보수적인 컨트리 음악팬들의 심기를 건드린 여성 3인조 컨트리 그룹) 모두 당신에게 등을 돌렸다면 그건 당신의 시대가 끝났다는 얘기오.

    정치적인 발언들이 과연 시상식장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는 아카데미 시상식이 존재하는 한 계속될 것이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들의 발언이 45초 안에 끝난다면 주최 측에서도 별수 없다는 것.

    아카데미상 名수상소감
    김치완

    1977년 서울 출생

    서강대 사회학과·The New School University M.F.A. in Creative Writing 졸업

    영화지 ‘프리미어’ 한국판 뉴욕 특파원


    글을 마무리하면서 역대 아카데미 수상 소감 중 개인적으로 가장 감동적이었던 것을 소개하고 싶다. 바로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로 최우수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루이스 플레처의 수상 소감이다.

    “I want to thank you for teaching me to have a dream. You are seeing my dream come true.”

    제게 꿈을 가질 것을 가르쳐주신 당신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당신들은 제 꿈이 현실이 되는 것을 보고 있습니다.

    별로 특별할 것 없는 수상 소감이 아니냐고 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는 역대 수상자들 중 최초로 수상 소감에 수화를 곁들였다. 자신이 꿈의 아카데미상을 거머쥐기까지 물심양면으로 도와준 청각장애인 부모를 위해서 말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