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인 시절에는 공보팀에서 신문 담당 부팀장으로 일하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언론1비서관에 발탁됐다. 일상적인 언론 동향은 물론 신문법 대체입법안 마련 등 미디어 관련 현안 업무도 맡게 됐다.
기자 출신 특유의 현장 감각이 돋보이고 무던한 성품으로 주변에 적이 별로 없는 편이다. 인상도 모나지 않고 둥글둥글하다. 별다른 일이 없으면 귀가하지 않고 밤늦게까지 청와대 집무실에 남아 언론 모니터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
박흥신 언론1비서관
미디어 관련 현안 맡은 언론인 출신
이승헌(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입력2008-05-16 18:34:00
|
[집중분석 | ‘이재명 대항마’ 金·洪·韓 그리고 禹]
구자홍 기자
2024년 12월 31일 밤을 넘기며 북한은 신년맞이 경축 공연을 성대하게 개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딸 김주애와 함께 주석단에서 공연을 관람하고 함박웃음과 함께 새해를 맞았다. 1월 6일 북한은 중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을…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윤석열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공조본)에 체포되기 직전 “이 나라 법이 모두 무너졌다”며 “수사권 없는 기관에 영장이 발부되고, 영장심사권이 없는 법원이 영장을 발부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불법에 불법이 자행되고, 무효인 영장에 의해 강압적으로 (체포를) 진행하는 것을 보고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공수처 수사는 불법 수사이지만 불미스러운 유혈사태를 막기 위해 공수처 출석에 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윤 대통령의 영상메시지 전문
구자홍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시민’이라고 표현하고,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이들은 ‘극우단체’ ‘극우’ 등으로 표현합니다. 어감이 주는 인상이 너무나 다르지 않나요? 저는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집회도 많이 가봤어요. 민주노총과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등 여러 조직에서 많이들 참여하더군요. 그런데 막상 저쪽은 ‘시민단체’라고 불리는데, 우리는 개개인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는데도 ‘보수단체’ 더 나아가 ‘극우단체’라고까지 불리더군요. 우리가 파시스트는 아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