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브랜슨은 이미지의 마법사이며, 버진그룹은 롤스로이스 이후 영국이 낳은 최고의 브랜드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괴짜 경영자’라는 말에 이보다 더 어울리는 경영인이 또 있을까. 버진애틀랜틱, 버진블루, 버진레코드, 버진모바일, 버진콜라 등을 거느린 버진그룹의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63)은 자신의 회사보다 그 자신이 더 유명한 인물이다. 46억 달러의 재산을 지닌, 영국 4위의 대부호인 그의 명성은 단지 재산이나 사업 규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브랜슨 회장은 고교 중퇴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자수성가로 버진그룹을 일군 신화적 인물이며, 그가 창업한 회사는 한결같이 아이디어로 승부를 거는 전형적인 벤처 기업이다. 그는 요트와 열기구로 대서양을 횡단하고, 나체나 여장도 서슴지 않으며 그 자신을 할리우드 스타 못지않은 유명 브랜드로 만들었다. 사업 홍보를 위한 치밀한 전략이었다.
그는 아직도 ‘세계적 대기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것이 아니라 내가 좋아하고 즐거운 일을 하다보니 어느 순간 세계적 대기업을 만들었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회사 이름을 ‘최초’라는 뜻이 담긴 ‘버진’으로 짓고, 늘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서 직원들에게 ‘한계란 없다’고 강조하며, 놀라운 비즈니스 감각으로 성공 신화를 일군 그의 드라마 같은 삶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창의성이 넘치는 경영자로 일컫는다.
이런 점에서 브랜슨 회장은, 애플이라는 한 회사의 창업자가 아니라 세상을 바꾼 위대한 혁신가로 평가받는 스티브 잡스와 비견할 만하다. 누구나 창조경제를 논하지만 아무도 그 실체를 잘 알지 못하는 지금, 창조경제를 시도하려는 모든 이가 벤치마킹할 만한 인물이 바로 브랜슨이다.
엉뚱한 아들 믿어준 어머니
브랜슨은 1950년 7월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대법관, 아버지는 변호사인 상류층 집안에서 자란 그가 고교 중퇴로 학력을 마감한 이유는 난독증 때문이다. 갖가지 괴짜 행동 때문에 사람들은 그를 매우 외향적일 것으로 여기지만, 실상 그는 수줍음이 많고 남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성격이다. 난독증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교육열이 높았던 그의 부모는 아들을 학비가 비싼 사립학교에 보냈지만 당연히 성적은 좋지 않았다. 하지만 브랜슨은 어릴 때부터 사업적인 감각이 뛰어났다. 16세 때는 ‘스튜던트’라는 잡지를 만들기도 했다. ‘스튜던트’는 그에게 제법 쏠쏠한 돈을 안겨줬다. 잡지에 실은 인기 음반 광고가 대성공을 거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주변 사람들은 그의 미래를 우려했다. 브랜슨이 고교를 중퇴할 때 당시 교장이 그의 엉뚱한 행동과 발상을 걱정한 나머지 “넌 교도소에 가거나 백만장자가 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제국의 시초, 버진레코드
이런 브랜슨을 누구보다 격려하고 지지해준 사람은 어머니 이브였다. 어머니는 “언제나 네가 좋아하고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라”며 아들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 브랜슨이 사업 초기이던 1970년대 초 골치 아픈 법적 문제에 얽혀 자금난으로 고전할 때 가족 저택을 저당 잡혀 빌린 돈으로 아들의 벌금도 대신 내줬다. 어머니의 가르침은 지금껏 브랜슨의 경영철학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됐다.
1971년 그는 이때까지 모은 돈을 털어 런던의 번화가 옥스퍼드 거리에 작은 우편주문 전용 음반 판매회사 버진레코드를 세웠다. 이 작은 가게가 40년 후 세계적 대기업의 시초가 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버진’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한 직원이 “우리 회사는 사장이나 직원이나 일하는 사람이 모두 초보자이니 버진이라는 이름을 쓰면 어떨까요?”라고 제안했기 때문이다.
1972년 22세의 브랜슨은 직원들과 술집에 앉아 회의를 시작했다. 당시 15세의 음악 천재로 평가받던 마이크 올드필드를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열다섯 살짜리가 그 모든 악기를 그토록 멋지게 연주할 수 있다니 대단하지 않아?” “그런데 음반 회사들은 왜 관심이 없는 걸까. 아예 들으려고도 하지 않잖아.” “그럼 우리가 직접 하자. 직접 제작사를 차려서 버진 레코드의 첫 번째 작품으로 마이크의 앨범을 발표하는 거야.”
사실 직원들은 그때 브랜슨이 좀 취했다고 생각했다. 그때 버진레코드는 소규모 우편주문 사업을 하고 있었을 뿐 음반을 직접 제작해 유통하자는 아이디어는 ‘도박’에 가까웠다. 하지만 올드필드의 앨범 ‘튜블러 벨스’는 5년간 음반 차트에 올라 영국에서만 200만 장 넘게 팔렸다.
브랜슨은 임차료가 싼 시골에 스튜디오를 차리고 제대로 데뷔조차 하지 않은 풋내기 음악가들에게 스튜디오를 빌려줘 연습과 작곡을 하게 했다. 대형 음반사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던 기괴한 음악가들이 주요 타깃이었다. 올드필드의 대성공 이후 1970년대 펑크록 열풍을 불러일으키며 세계 음악계를 뒤흔든 섹스피스톨스, 롤링스톤스, 보이 조지, 필 콜린스, 재닛 잭슨 등과 잇따라 계약하면서 버진레코드는 세계적인 음반사로 발돋움했다. 브랜슨은 버진레코드를 1987년 주식시장에 상장했고 1992년 무려 10억 달러(약 1조1500억 원)를 받고 대형 음반사 EMI에 팔았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