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에는 기존 3루수 조시 해리슨이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서 4번타자와 3루수로 선발 출전하는데, 팀의 승패가 걸린 결정적 상황에서 득점과 타점을 올리며 만점 활약을 펼쳐 피츠버그 지역 언론과 팬들로부터 지지와 사랑을 받고 있다. 피츠버그는 12일 현재 시즌 전적 52승 35패로 내셔널리그 중부지구 2위에 올라 있다. 승률은 5할9푼8리로 메이저리그 30개팀 중 3위.
기자는 6월 중순 취재차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를 방문했다. 1주일가량 파이어리츠 경기를 취재하면서 만난 이들과 강정호 인터뷰를 정리했다.
피츠버그 출장 마지막 날이었다. 구단 홍보팀 관계자가 기자를 찾아왔다. 파이어리츠를 취재하면서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묻고는 강정호 기사가 언제 실리는지 궁금해했다. 기사가 나오면 자신에게 e메일로 링크를 걸어 보내줄 수 있는지 물었다. 그는 홍보팀의 ‘보스’급이었다. 그런 사람이 한국에서 온 기자를 찾아와 안부를 묻고 한국에서 보도되는 기사에 궁금증을 드러낸 건 놀라운 일이다. 한국 선수가 속해 있는 LA 다저스, 텍사스 레인저스를 방문했을 때는 그런 반응을 접한 적이 없다.
유별난 ‘강정호 챙기기’
올 시즌 포스팅 제도를 통해 4년간 1600만 달러(약 173억5200만 원)에 강정호를 영입한 파이어리츠는 강정호에게 여러 면에서 배려하고 관심을 기울였다. 스프링캠프 때도 파이어리츠가 강정호에게 얼마나 많은 기대를 하는지 여실히 느낄 수 있었지만, 이번 출장 중에 접한 구단의 ‘강정호 챙기기’는 매우 특별했다. 무엇보다 파이어리츠를 이끄는 클린트 허들 감독이 강정호를 진심으로 아꼈다. 허들 감독의 늦둥이 막내아들인 크리스천 허들(10) 군이 등번호 27번이 붙은 강정호의 유니폼과 모자를 착용하고 클럽하우스를 돌아다닐 정도로 허들 부자는 강정호에 대해 특별한 애정을 나타냈다.
선수들도 마찬가지다. 지난 시즌을 마치고 뉴욕 양키스에서 트레이드돼 온 주전 포수 프란시스코 서벨리는 강정호에 대해 칭찬을 쏟아냈다.
“강정호가 모든 부분에서 기대치를 충족한다고 생각한다. 스프링캠프에서 그를 처음 만났을 때부터 마음의 문을 열었다. 다른 누군가가 아닌 자신만의 모습으로 좋은 플레이를 펼쳤고, 재미있게 생활했다. 그는 그것이 팀의 일원으로 스스로 동화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했고, 행동에 옮겼다. 나도, 그도 파이어리츠가 처음인 건 마찬가지다. 그래서 더 친해졌는지 모른다. 나는 그가 공격적으로 경기에 임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게 즐겁다. 안타를 날리고 좋은 수비를 하는 그를 사랑한다.”
서벨리의 칭찬은 멈출 줄을 몰랐다. 기자가 다른 질문을 하려고 해도 좀처럼 말을 끊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안다. 처음에는 새로운 것들도 있었고,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완벽히 적응했다. 경기 분석 자료도 열심히 읽고,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다. 그는 분명 메이저리그에서 성공할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오랫동안 팬들로부터 사랑받는 선수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서벨리의 칭찬은 한국에서 온 기자를 향한 ‘립 서비스’가 아니었다. 그의 진심 어린 표정에서 강정호에 대한 두터운 신뢰가 전해졌다.
파이어리츠의 베테랑 투수 A J 버넷의 특징은 문신이다. 팔과 다리 등 눈에 띄는 부위에 온통 문신을 그려 넣었다. 외모까지 카리스마가 제대로인 그가 클럽하우스 안에서, 그것도 강정호 앞에서는 무장해제한다. 종종 강정호에게 다가가 장난을 치는 것이다.
기자가 강정호와 ‘당연히’ 한국어로 인터뷰를 하자, 버넷은 강정호의 통역 김휘경 씨에게 “정호는 영어를 잘한다. 인터뷰도 영어로 해야지, 왜 한국어로 하느냐”며 큰소리로 불만을 터뜨리는 바람에 웃음 폭탄을 선사했다. 다음 날에도 기자와 대화를 나누는 강정호에게 “앞으로 클럽하우스에서 한국어로 말하면 정호에게 벌금을 물릴 거야”라며 무서운 표정을 짓고 자기 자리로 돌아갔다. 마운드에서 보이는 강렬한 인상의 버넷과는 완전히 다른, 친근한 표정의 ‘버넷 아저씨’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