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건국 60주년 大특집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2628명이 엮은 헌정사의 씨줄과 날줄 의회민주주의 반석 위에 올려놓다

  • 이기홍 언론인 kihong46@hanmail.net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1/5
  • 건국 60년은 곧 의회정치 60년사다. 대한민국 굴곡의 역사를 그대로 투영하는 의회정치사는 선량(選良)들이 그 내용을 채워왔다.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헌정회가 펴낸 각종 자료를 통해 이들 ‘입법 엘리트’의 면모를 샅샅이 살폈다. 본문에선 등장인물이 몹시 많은 관계로 존칭은 생략했다. ‘편집자’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7월11일 18대 국회 개원식에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08년 6월 말 현재 금배지를 달았거나 달고 있는 선량은 연인원 4728명(실제 인원 2628명)이다. 이들 가운데 대통령이 된 의원(이승만 윤보선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이 있는가 하면 48시간짜리 의원도 있다. 또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의원(조봉암, 최인규, 김규남)이 있고,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전·현직 의원도 있어 인간사의 부침을 실감케 한다.

1948년 5월 제헌국회가 개원한 이래 올 5월29일까지 법정 임기를 다 채운 국회는 제헌을 비롯해 2·3· 7· 9·11대와 13~17대 등이다. 나머지 6개 대(代)의 국회는 정변과 개헌 등을 이유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했다.

이 가운데 ‘10월 유신’으로 탄생한 유신정우회가 포함된 9대는 가장 긴 6년간 존속했다. 5·16군사정변으로 해산된 5대 국회는 9개월 18일 동안만 활동해 최단기록을 세웠다. 다행히 1987년 민주화 이후 구성된 1988년 5월의 13대부터는 법정 임기 4년을 순조롭게 마쳤거나 채워가는 중이다.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1948년 5월31일 제헌국회 개원식.

4·19혁명 후 구성된 5대는 유일하게 참의원과 민의원으로 구성됐고, 9대와 10대는 민선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뽑은 유신정우회로 구성됐다.

18대까지 배출된 국회의장은 모두 20명이다. 이들 중 최장수는 6·7대 양대에 걸쳐 의장을 역임한 이효상으로, 7년6개월14일을 재임했다. 2위는 9대의 정일권(만 6년 재임)이고, 3위는 3·4대의 이기붕으로 5년11개월 동안 본회의장 의사봉을 잡았다.



가장 짧기로는 제헌국회의 이승만으로 1948년 5월31일부터 그해 7월24일까지 55일간 재임했다. 이승만은 그해 8월15일 정부 수립과 동시에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역대 대통령 중 유일하게 국회 수장 경험을 갖고 있는 셈이다.

동아일보, 국회의장 5명 배출

특기할 점은 역대 국회의장 중 곽상훈 이만섭 김원기 임채정 김형오 등 5명이 동아일보 출신이란 점이다. 전체의 25%를 한 언론사가 배출한 셈이다. 한편 역대 국회부의장은 모두 66명이다.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눈을 감은 현직 사망 의원은 제헌국회의 이병국(충남 천안)부터 2006년 11월 사망한 구논회(대전서을) 등 수십명이다. 6·25전쟁 때는 74명이 납북됐다. 특히 최윤호(2대 전북 김제을) 김홍용(2대 전남 담양) 이종린(제헌·2대 충남 서산갑)은 6·25전쟁 때 북한군에 의해 학살당했고 자유당 정권의 2인자인 이기붕(3대 서울 서대문을 을, 4대 경기 이천)은 4·19혁명의 함성에 밀려 경무대에 피신 중 가족과 함께 자살했다. 또 조창대(6대 전국구, 7대 경남 진해창원)와 신기하(12대·광주동북·13·14·15대 광주동)는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국민적 슬픔을 안기고 별세한 의원은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등록해 놓고 선거운동 기간 중 사망한 신익희(제헌·2·3대 경기 광주), 조병옥(3대 대구을, 4대 서울 성동을)이다. 신익희는 1956년 5월 ‘이(이승만)리 조(조봉암)리 가지 말고 신(신익희) 장(장면)로로 바로 가자’는 구호로 붐을 일으키다가 선거 유세를 위해 여수로 가는 전라선 열차 안에서 급서했다. 조병옥은 1960년 2월 “낫는 대로 지체 없이 달려오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수술 중 별세했다.

의원 선서는커녕 금배지도 달지 못하고 세비도 못 받았으며 본회의 참석도 해본 일이 없는 전직 의원이 있다. 1961년 5월13일 5대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정인소(충북 음성) 김사만(충북 괴산) 김성환(전북 정읍을) 김종길(경남 남해)이 그 주인공. 보선 실시 3일 뒤에 5·16군사정변이 일어났기 때문에 기록상으로 이들은 14~16일 3일간 재임한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14일 아침에 당선이 선포되고 16일 아침 국회가 해산됐으니 ‘48시간짜리’ 의원이다.

1/5
이기홍 언론인 kihong46@hanmail.net
목록 닫기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