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위기론’은 19대 총선에서의 ‘새누리당 필패론’과 연결돼 있다. 이명박 정부 임기 말에 나타난 민심이반 현상이 12·19 대통령선거의 전초전 격인 4·11 총선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불과 8개월 후에 실시되는 대선 승패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그 첫 번째 분수령은 19대 국회가 지금처럼 여대야소 구도로 유지되느냐, 아니면 여소야대로 바뀔 것이냐가 될 것이다. 만일 새누리당이 원내 과반 의석을 다시 차지하면 박근혜 위기론은 상당 부분 소멸될 것이다. 나아가 야권통합에 맞선 보수대연합을 추진하면서 대세론을 재점화시킬 기회도 생긴다. 문제는 과반 의석 확보가 여권의 기대에 그칠 소지가 크다는 데 있다.
새누리당 낙동강 전선 흔들린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희비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새누리당은 ‘디도스 파문’과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 같은 악재가 겹쳐 있다. 이명박 정부의 실정(失政)에 대한 비판이 거센 상황에서 측근들의 비리혐의가 잇달아 드러나면서 도덕성에 큰 상처를 입었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세력이 다시 합쳐 한명숙 대표 체제를 출범시킨 여세를 몰아 선거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 물론 역동성이 큰 우리나라 정치 행태, 그리고 총선을 앞두고 다양한 돌발 쟁점이 부각될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선거 결과를 섣불리 장담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여러 변수를 대입하더라도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할 것이란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현재 새누리당은 전체 국회의원 의석 299석(비례대표 포함) 가운데 과반을 훨씬 넘는 174석을 갖고 있다. 19대 총선의 목표는 과반 의석(150석) 확보다. 하지만 이 역시 희망적 목표치에 불과하다. 당내에서조차 전국 245개 지역구에서 100석 안팎을 얻고, 여기에 비례대표 20여 석을 합쳐 120석 정도를 확보한다면 그나마 선방한 것이란 말이 나온다. 이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탄핵 역풍으로 한나라당(새누리당)이 패닉 상태에 빠졌을 때 박근혜 당시 대표가 천막당사에 들어가는 결기로 얻은 121석을 의식한 수치다.
더 비관적인 전망도 있다. 헌법개정안 통과를 막을 수 있는 개헌 저지선인 3분의 1에 해당하는 100석(비례대표 포함)도 못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이상돈 비대위원조차 “최악의 경우 비례대표까지 합쳐도 100석이 안 될 수 있다”고 했다. 2008년 18대 총선 당시 여권(한나라당과 친박연합, 친박 무소속 포함)은 111석이 걸린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압승을 거뒀다. 하지만 지금은 수도권에서 새누리당 인기가 바닥세다.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3분의 1 이상을 얻지 못할 경우 전체 의석에서 개헌 저지선 확보가 어려워진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등 범야권 선거연대가 성공하면 파괴력은 더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