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감동수기

국경 넘기보다 힘든 대학생활 대학 졸업보다 힘든 취직

탈북 여대생 졸업기

  • 김혜성 | 연세대 사학과 졸

국경 넘기보다 힘든 대학생활 대학 졸업보다 힘든 취직

1/4
  • 탈북 청소년 교육기관에 따르면, 대학에 입학한 탈북자 10명 중 1명만이 졸업장을 받는다.
  • 중도에 포기한 이들은 아르바이트나 비정규직을 전전하며 저소득층으로 전락하거나, 노르웨이, 캐나다 등 제3국에 난민으로 귀화한다.
  • 스무 살에 혼자 한국에 온 탈북자 김혜성(28) 씨는 6년간의 고생 끝에 2월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했다.
  • 그의 대학 시절은, 캠퍼스의 낭만과는 거리가 멀었다.
  • 탈북자 청년이 평범한 한국 대학생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기록을 공개한다. <편집자>
국경 넘기보다 힘든 대학생활 대학 졸업보다 힘든 취직

2월 24일 연세대 학위수여식에서. 6년 간 내 목표는 오로지 ‘졸업’이었다.

2월 24일, 나는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했다. 졸업식장에 앉아 학사모를 한참 어루만졌다. 연세대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목표는 오직 ‘졸업’이었다. 남들에게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내게는 모두 엄청나게 어려운 관문이었다. 이 졸업장을 받기 위해 얼마나 긴 시간 노력했던가. 그간의 고생이 떠올라 계속 눈물이 났다.

나는 탈북 새터민이다. 18세 때 혼자 국경을 넘어 2년간 중국, 몽골을 헤매던 끝에 2006년 한국에 들어왔다. 나진 지역에서 사업을 하던 아버지는 “이러다 다 굶어죽겠다. 너라도 살아야지”하며 내 등을 떠밀었다. 그렇게 고향을 떠나온 지 10년이 훌쩍 지났다.

한국에 홀로 왔기 때문에 내 졸업식에 올 가족이 아무도 없었다. 내가 외로울 거라고 생각했는지, 정말 많은 친구가 졸업을 축하해주기 위해 왔다. 학사모를 쓴 나를 보며 마치 자기들 일인 양 기뻐했다. 이 졸업장을 따기 위해 걸린 6년이라는 시간이 헛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북한 사람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탈북보다 더 어렵다. 사람마다 일생 쓸 에너지가 한정돼 있다고 하면 탈북자는 남한으로 오는 동안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다 쓴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지친 심신을 다스릴 여유도 없이 바로 이 사회의 냉혹함을 견뎌야 한다. 생각보다 높은 사회의 벽을 경험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의지를 잃는 경우도 있다. 나도 한국에 온 지 8년이 다 됐지만, 아직도 이 사회에 온전히 적응하지 못했다. 매일매일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그저 살아갈 뿐이다.

아메리카노에 딸기 시럽



한국에 온 후, 처음부터 대학을 가려고 했던 건 아니었다. 아니, 나는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 한국에 도착한 지 얼마 안 돼 지인의 소개로 한 도너츠 매장에서 일을 했다. 손님이 “아메리카노에 시럽을 넣어달라”고 주문했다. 나는 아메리카노를 먹어본 적이 없다. 어찌어찌 커피는 만들었는데 손님이 말하는 시럽이 무엇인지 도무지 몰랐다. 나는 찬장을 열어 맨 앞에 놓인 시럽을 커피에 넣었다. 나중에 손님은 사장에게 항의를 했다. 내가 설탕시럽이 아니라 스무디용 딸기시럽을 넣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3일간 실수를 연발했더니 사장은 내게 10만 원을 쥐여주며 “내일부터 나오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나는 깨달았다. 내가 이 나라에서 할 일이 별로 없음을. 그때부터 나는 식당 서빙, 고깃집 불판 닦기 등 눈치와 힘만으로 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를 전전했다. 일은 고되고 일당은 적었다.

겉보기에 화려하고 풍요로운 대한민국에서, 나는 가진 것 없고 배운 것 없는 북한 출신일 뿐이었다. 평생 이렇게 ‘아무것도 아닌 사람’으로 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살기 위해 배워야 했고, 대학을 가야 했다. 나는 북한에서 고등학교를 나왔지만, 한국에서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검정고시를 봤다. 북한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내가 한국에서는 어떤 평가를 받을지 궁금했다. 나는 별도로 공부를 하지 않고 고교 학력 인정 검정고시를 봤다.

평균 62점. 60점 이상이라는 커트라인을 겨우 통과했다. 영어와 역사는 겨우 과락을 면했고, 국어와 수학 점수는 높았다. 이때 나는 ‘내가 북한에서 배운 것이 모두 쓸모없지는 않구나’하고 안도했다.

대학을 선택해야 하는데, 나는 한국에서 가장 좋은 대학이 어디인지도 몰랐다. 집에서 가까운 대학 3곳에 원서를 냈다. 연세대, 이화여대, 서강대. 그중 연세대에만 합격했다.

농담도 못 알아들은 첫 수업

지금도 연세대 입학 관계자들이 왜 나를 뽑았는지 매우 궁금하다. 당시 내가 쓴 자기소개서를 읽어보면, 나 자신도 무슨 말을 하고 싶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형편없었다. 그저 운이 좋았다는 말밖에는 할 수 없다. 남한 친구들은 연세대에 오려고 그토록 노력하는데 나는 북한에서 왔다는 이유만으로 이곳에서 공부할 기회를 얻은 것이다. 연세대에 입학한 것은 분명한 특혜다. 하지만 거기서 버티고 졸업하는 것은 온전히 내 몫이었다.

우수한 학생들은 치열하게 경쟁했다.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보였다. 첫 수업 날, 나는 교수님의 강의 내용을 10%도 이해 못했다. 농담도 못 알아들었다. 평생 강력한 규율 속에 살던 내게, 대학생활이 준 자유는 일종의 폭력과 같이 느껴졌다. 수업을 마치고 나오며 백양로를 걷는데 ‘이곳은 내가 있을 곳이 아니다’라는 생각만 머릿속에 맴돌았다. 연세대 담장은 한없이 높아 보였다.

1/4
김혜성 | 연세대 사학과 졸
목록 닫기

국경 넘기보다 힘든 대학생활 대학 졸업보다 힘든 취직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