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자의 아침<br>김소연 지음, 문학과지성사
빗방울의 절규를 밤새 듣고서
가시만 남아버린 장미나무
빗방울의 인해전술을 지지한 흔적입니다
-‘주동자’ 중에서
밤새 비를 맞은 장미나무가 꽃송이는 다 잃어버리고 가시만을 남긴 모습을 보고, 시인은 ‘빗방울의 절규’를 밤새 듣고 견뎌낸 장미나무의 미묘한 마음의 변화를 읽어낸다. 그러면서 가시만 남겨놓고 꽃잎을 모두 잃어버린 장미나무의 심정은 아마도 “빗방울의 인해전술을 지지한” 듯하다고 속삭인다. 시인은 이러한 날카로움과 다정다감함으로, 움직이지 않는 사물의 보이지 않는 움직임을 포착해낸다. 표제작 ‘수학자의 아침’에서처럼, “정지한 사물들의 고요한 그림자를” 둘러보는 사람, “보이지 않는 사람의 숨을 세기로 한” 사람, “비천한 육체에 깃든 비천한 기쁨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이 바로 시인이므로. 때로 어떤 사물들은 인간의 몸속에 들어감으로써 우리 존재의 일부가 된다. 음식이 바로 그런 사물이다. 밥상을 사이에 두고 대화를 나누는 두 사람에게는 ‘백반’이 바로 교감의 매개가 된다.
사물 속에 담긴 인간의 숨소리
그 애는
우리, 라는 말을 저 멀리 밀쳐놓았다
죽지 못해 사는 그 애의 하루하루가
죽음을 능가하고 있었다
풍경이 되어가는 폭력들 속에서
그 애는 운 좋게 살아남았고
어떻게 미워할 것인가에 골몰해 있었다
그 애는 미워할 힘이 떨어질까 봐 두려워하고 있었다
(…) 우리는 무뚝뚝하게 흰 밥을 떠
미역국에다 퐁당퐁당 떨어뜨렸다
(…) 그 애의 숟가락에 생선살을 올려주며 말했다
우리, 라는 말을 가장 나중에 쓰는
마지막 사람이 되렴
-‘백반’ 중에서
무엇이 ‘그 애’로 하여금 “어떻게 미워할 것인가에 골몰해” 있게 만들고, “미워할 힘이 떨어질까 봐 두려워”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 해답은 “풍경이 되어버린 폭력들”에 있다. 이제는 너무나 일상화되어거대한 사건이 아니라 당연한 풍경으로 전락해버린 ‘폭력’이 할퀴고 간 폐허 위에 이 아이는 서 있다. 흰 쌀밥과 미역국과 계란말이와 생선살은, 스스로 ‘운 좋게 살아남았다’고 믿는 아이, 삶의 동력을 증오와 분노로 삼아버린 이 아이의 깊은 슬픔 속으로 들어가는 사물이다.
독자는 한 아이와 한 시인이 ‘백반’을 사이에 두고 나누는 대화를 가만히 엿듣는다. 죽지 못해 살아가는 한 아이의 고통을 어루만지는 시인의 마음은 언어를 넘어 백반의 따스함 속에 깃들어 있다. 백반은 두 사람이 나누는 대화뿐 아니라 두 사람이 나눌 수 없는 대화까지도 듣는다. 자기가 사랑한 것들을 앗아간 세상을 증오하는 아이의 숟가락에 생선살을 발라 얹어주는 시인의 마음속에, 타인에게 닿을 수 없지만 끝내 닿고 싶은 시인의 마음이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