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석희는 1984년 MBC에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입사 직후부터 뉴스 프로를 진행하며 얼굴을 알렸다. 1987년에는 간판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데스크’의 주말 진행을 맡았다. 동시에 라디오와 TV의 음악프로를 맡으며 대중에게 다가섰다. 그의 언론인 인생에 전기가 된 것은 1992년 MBC 파업 당시 20여 일간 구치소에 수감된 일일 것이다. 이때 수의를 입은 사진은 언론인 손석희의 이미지를 세상에 확실히 각인시켰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 그는 여전히 주부 대상 아침방송을 진행했다. 지금의 손석희가 완성된 시기는 2000년대 이후다. 2000년부터 2013년까지 라디오에서 ‘손석희의 시선집중’을, 2002년부터 2009년까지 텔레비전에서 ‘100분 토론’을 진행했다. 그는 탁월한 진행 능력을 발휘했다. 많은 시민이 이른 아침 출근길 자가용에서, 버스에서 시선집중을 들으며 손석희에게 익숙해져갔다. 이후 2013년 MBC를 떠나 종편인 JTBC 보도부문 총괄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해 9월부터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9’의 앵커를 맡았다.
탁월한 진행 능력으로 어필
30년 방송 이력이라면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가 그를 다르게 기억하는 것도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손석희의 변신은 개인의 능력만이 아니라 언론 환경의 변화와 연계된다. 그와 비슷한 시기 MBC에서 활동한 백지연 아나운서는 손석희와 흡사한 이력을 보인다.
백지연에게도 ‘여대생들이 닮고 싶은 여성 1위’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백지연은 1987년 입사 후 5개월 만에 뉴스데스크의 여성앵커 자리에 올라 1996년까지 뉴스데스크를 진행했다. 여성앵커로서는 최장기 기록이다. 이후 자신의 이름을 딴 뉴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백지연이라는 이름을 전무후무한 여성 언론인의 대명사로 만들었다. 지금 두 사람은 비슷하게 MBC를 떠나 각각 종편과 케이블방송에서 활동한다.
손석희와 백지연이 방송인으로 큰 영향력을 얻게 것은 그들이 몸담았던 직장 MBC에 힘입은 바가 크다. 같은 시기 활동한 MBC 기자들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정동영, 신경민, 박영선, 최문순 등은 약속이나 한 듯 제1야당 민주당의 대선후보, 국회의원, 도지사가 됐다. 왜 1980년대 MBC에서 활동하던 이들이 언론계와 정치권에서 약진할까? 이들이 자신의 선배, 후배와 달랐던 것은 무엇일까? 시대적 상황을 배제하고 원인을 찾는 것엔 한계가 있다. 이들의 성장을 추동한 근원적 힘은 민주화 직후 MBC 내부의 역동성이다.
1980년대 두 번에 걸쳐 방송가에 큰 변화가 몰아쳤다. 하나는 컬러텔레비전 시대의 개막이다. 전두환 정권은 서울이 1988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후 언론검열과 문화개방을 동시에 추진했다. 이런 시대적 흐름은 방송 인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흑백방송 시대에는 김동건, 차인태 같은 안정감 있는 아나운서들이 대표 얼굴 역할을 맡았지만 컬러텔레비전 시대가 시작되자 비주얼형 아나운서들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MBC의 역동성
MBC는 이들을 뉴스 프로그램에 전면 배치하면서 앞서나갔다. 손석희는 과거 인터뷰에서 “아나운서가 정리된 원고를 읽기만 한다는 생각은 편견”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수습 딱지를 갓 뗀 백지연이 메인 뉴스 앵커를 맡은 데에 과연 비주얼이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까? 그녀는 바버라 월터스를 자신의 모델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1980년대의 백지연은 한국의 바버라 월터스라고 부르기엔 어딘가 부족해 보인다. 마찬가지로 당시의 손석희 역시 월터 크롱카이트 같은 앵커와 비교되기는 어렵다.
미국에서 앵커라는 단어가 생긴 것은 그들의 역할이 아나운서와 뚜렷이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뉴스 프로그램의 중심을 잡고 전체 진행을 조율한다. 편집권을 행사하는 것은 물론 해설과 논설, 촌철살인의 클로징 멘트(뉴스를 마무리하면서 하는 말)를 생산하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이는 오랫동안 취재 현장을 누빈 경험에서 비롯된다. 언론인 손석희의 약점은 취재 경험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MBC에서도 ‘뉴스데스크’ 메인 앵커만큼은 현장 기자 출신이 양보하지 않았다. 손석희가 MBC의 뉴스, 시사 프로그램을 도맡을 수 있었던 것은 기자 출신들이 정계 등으로 진출하면서 생긴 공백을 메운 측면도 있다.
1980년대 방송가에 밀어닥친 두 번째 변화는 민주화 열풍이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방송계에도 민주화의 훈풍이 불었다. 손석희도 이때부터 현재의 이미지를 조금씩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그 이전 젊은 시절의 그는 사회비판적 언론인과 거리가 멀었다. 그가 입사한 1984년 무렵 의식 있는 젊은이에게 안기부만큼이나 기피 대상이 MBC였다. 그는 그곳에서 꽤 오랫동안 체제 순응적 언론인으로 살았다. 전두환 정권의 언론통제를 상징하는 것이 ‘땡전뉴스’다. 대통령 근황부터 전하는 어용 보도를 비꼬는 말이다. 손석희는 입사 후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땡전뉴스를 전달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