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파열된 상태로 오래 방치되면 연골판이 닳아 봉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나이가 어릴수록, 외상에 의한 손상일수록 수술 후 결과가 좋다. 봉합술은 손상되어 너덜너덜해진 연골을 원상태로 돌리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수술이다. 관절내시경 성능이 좋아도 기본적으로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의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연골 이식은 젊은 환자에 효과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왼쪽)과 파열된 반월상 연골.
연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엔 수술 후에도 통증과 부기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조기에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는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증상 완화와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연골판을 사용해야 하므로 동종(同種) 반월상 연골 이식술이라고도 하는데, 관절염이 심한 고령 환자에게선 효과를 보기가 매우 어렵다. 관절염이 별로 심하지 않은 젊은 환자에게 더 효과가 큰 수술이다. 이 수술은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장기적인 수술 결과는 정립되지 않았지만,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절내시경은 내시경을 통해 관절 안을 들여다보고 상태를 진단, 치료하는 의료기구다. 부분마취 후 직경 1cm 내외의 작은 구멍을 통해 수술이 이뤄지므로 흉터가 매우 작다. 통증이나 합병증 위험이 작으며 MRI로도 발견하지 못한 질환을 현재 상태를 직접 보면서 치료하므로 정확도가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