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은 한 끼 굶어도 담배는 굶을 수 없다는 사람이 하나둘이 아닌 세상이외다. 우리는 밥만이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인 줄 알았더니 이것으로 보면 담배도 또한 인생 생활에 없어서는 아니 될 필수품의 하나임을 알 것이외다. 무럭무럭 허공을 돌다가 자취 없이 스러지는 담배에서 우리는 인생의 끊길 줄 모르는 자극성 요구의 일면을 볼 수 있는 것이외다. 그러고 같은 때에 시취(詩趣)로의 제법무상(諸法無常)이라는 가장 감상적 일면을 엿볼 수가 있는 것이외다.
이 글에서 김억은 담배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를 ‘자극성 추구’에서 찾는다. 인간은 끊임없이 자극을 요구하기 때문에 담배가 필수품이 됐으며, 담배는 ‘제법무상’이라는 감상적 측면으로 인해 시적 정취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김동인이 담배의 유용성을 실용적인 측면에서 논했던 것에 비하면 좀 더 미학적인 사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김억이 방송에서 말한 구체적 사실은 방송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확인할 수 없지만, 대강 어떤 내용을 말했을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밥과 같은 생활필수품
그는 1925년부터 동아일보에 ‘학창산화(學窓散話)’라는 제목의 칼럼을 연재했는데, 이 중에는 담배와 관련된 글이 여럿 있다. ‘연초’ ‘연초의 생산제한’ ‘연초의 시취(詩趣)’ ‘흡연전쟁’ ‘연초의 기원’ 등이 이때 쓴 글이고, 1934년에는 매일신보에 ‘연초의 시상(詩想)’이라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필자들의 글과 중복되는 내용이 많은 것을 보면, 김억의 글은 대부분 외국 책에서 옮겨온 것들로 보인다. 그 내용도 문학과 관련된 것은 거의 없고, 있다 해도 외국의 사례를 소개하는 데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했다.
1934년 2월 ‘신동아’는 연초세법 반포 25주년을 기념해 담배와 관련된 특집을 마련했는데, 김억의 시가 특집의 맨 첫머리를 차지한다. 김억은 모두 세 편의 작품을 기고했는데, ‘Thus think, then drink tobacco’와 ‘나무 파이프’의 번안물이 두 편이고 한 편만이 김억의 순수 창작물이었다.

담배 물고 무심히 앉았노라면
무럭무럭 하공을 연기 돌다가
자취 없이 그대로 스러지고 마네.
뜬 시름에 고요히 대를 물으니
연기는 이내 심사 모다 들뜨며
지향 없이 하늘을 덮고 덮거니,
이 시름 무겁고야 바람아 불라.
하도 답답 아닌 밤 대를 물으니
연기만 무럭무럭 천정에 닿고
내도 없이 타는 속 풀 길은 없어
다시금 가슴 치며 대를 놓노라.
이 작품에서 김억이 주목한 것은 담배 연기다. 속절없이 스러지고 마는 담배 연기는 그가 속해 있는 공간을 전부 덮어버리면서 설움을 배가한다.
그는 ‘연초의 시취’라는 글에서 “생의 고난과 생의 피로를 충분히 경험한 사람이 담배에서 나오는 연기를 바라보는 필경에는 인생의 전 광경이 번역될 것이다”라고 썼다.